KCI등재
OECD Education 2030 학습 프레임워크 내용 맵핑(CCM: Content Curriculum Mapping)을 통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 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과 진로 선택과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Study on Critical Review on High School Art Career Elective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rough Implementing CCM(Content Curriculum Mapping) with the Learning Compass of OECD Education 2030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7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1-106(2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OECD가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The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1차 연구에서는 학습 프레임워크(학습 나침반)가 개발되었고, 7개 교과 영역에 대한 국제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맵핑이 이루어졌다. 2022년 현재, 이 학습 프레임워크를 근거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실질적인 방법을 도출하는 2차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목적은 상호협력과 융합적 사고가 강조되고 있는 21세기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 체제로 전환하는 데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공통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 고교학점제 도입을 앞두고 학생의 진로 탐색과 진로 준비를 위한 미술과 진로 선택과목인 『미술 창작』 및 『미술 감상과 비평』이 기초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OECD 학습 프레임워크의 역량 반영 경향성을 파악하여 진로 선택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CCM을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과목 모두 학습 프레임워크 역량의 반영 범주 및 수준이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 창작』은 미술 분야의 실기, 『미술 감상과 비평』은 미술 분야의 이론의 학습에 편중되어 있다. 사회 및 미술 분야에서 통섭으로의 변화를 수용하고, 학생의 진로 탐색 및 준비라는 과목의 목표가 반영될 수 있도록, 이론과 실기라는 과목 구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지성적 예술인으로서 미래의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고 사회의 웰빙을 위해 참여할 수 있는 역량 육성 을 위해서, OECD 학습 프레임워크의 역량을 미술과 진로 선택과목에 녹여내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더보기The OECD s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was undertaken in primary research from 2015 to 2019.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a learning framework consisting of 28 future competencies was developed, and analyses of the international level curriculum were conducted for seven subject areas. As of 2020, its’ secondar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erive practical method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based on this learning framework. The purpose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is to provide a common learning framework that provides a practical direction for the transition to an education system for nurturing competent citizens in the 21st century, where mutual cooperation and convergent thinking are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visual art curriculum, “Art Creation” an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which are provided for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ahead of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0. CCM(Content Curriculum Mapping)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competency reflection and explore the ways to improv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career elective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both course, the reflection category and level of the competencies in the learning framework appeared to be very low. Second, 『Art Creation』 focuses mainly on the practices of art, an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focuses mainly on learning concepts and theories in ar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ubject division of theory and practice so as to accommodate changes in social and art fields and to reflect the goals of the subjects such as student exploration and preparation. Third, in order to foster the ability to successfully live a future life as an intelligent artist and participate in the well-being of socie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o reflect the competencies of the OECD learning framework in art and career elective course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7-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KCI등재 |
2005-06-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조형교육외국어명 : ART EDUCATION REVIEW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6 | 0.941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