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唐代 瑞獸葡萄紋鏡의 제작시기와 韓・日로의 전래양상 검토-당대 기년명 묘 출토 서수포도문경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Production Period of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s in Tang Dynasty and its Transmission to Korea and Japan
저자
최주연 (단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07-453(47쪽)
제공처
서수포도문경은 중국 고대 상서로운 동물 서수와 새롭게 유입된 포도가 문양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며, 당경 중에서도 가장 화려하고, 유행했던 동경이다. 본고는 당대 제작된 서수포도문경 중 기년명 당묘에서 출토된 사례를 통한 제작시기와 한・일로의 전래양상을 검토한 연구이다.
당대 서수포도문경은 전형적 동경 형태를 따르고 있지만, 내, 외구를 표현한 문양은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화려한 문양을 고부조로 뒷면 가득 빈틈없이 채운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서수포도문경은 서수와 포도문의 위치, 뉴의 형태, 기타 문양 배치 등의 요소들을 바탕으로 Ⅰ, Ⅱ유형으로 분류했다. Ⅰ유형은 내・외구에 서수가 표현되어 있고, 중앙에 원형 뉴가 있다. Ⅱ유형은 문양구성이 복잡해지는 공통점을 갖고 있고, 뉴가 서수형으로 변화한다. 2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분석한 서수포도문경은 기년명 당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그 제작시기를 살펴보았다. 3기로 구분되는 시기는 발전기, 전성기, 쇠락기로 나눴고, 당묘 출토 서수포도문경은 대다수가 Ⅱ기에 제작되었다.
당대 성행한 서수포도문경은 주변 인접국가인 한국과 일본에도 전래되었다. 두 국가는 당에서 서수포도문경을 받아들였지만, 그 양상은 달랐다. 한국은 마로산성 출토 서수포도문경을 제외하면 주조상태가 좋지 않은 예들이 남아 있어 중국에서 답반주조된 동경류가 유입되었거나, 국내에서 주조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일본은 대표적 예로 정창원에 서수포도문경 4점이 소장되어 있는데, 주조상태가 양호하며, 정교하고 세밀한 문양표현이 이루어져 있다. 당시 흔하지 않은 양질의 동경은 일본에서 당으로 파견한 견당사에 의해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판단되며, 그 시기는 문화적 요소를 받아들이는 것에 치중했던 8세기 전반으로 보았다. 따라서 당대 서수포도문경은 제작이 성행했던 8세기에 주변 국가로 전파되었던 당의 대표적 동경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Auspicious Animals (mirror with images of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is characterized by the patterns of ancient Chinese auspicious animal character and newly introduced grapes, and it is the most colorful and popular bronze mirror among the Tang’s bronze mirror. The study on the production period and the transmission of Korea-Japan through cases excavated from articles with Chronograms from the Tang tombs among the pattern of Auspicious Animals Grapes produced at the time.
Th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of the time follows a typical bronze mirror form, but the pattern expressing the inner and outer parts shows a different pattern than before, and is characterized by filling the back of a high relief structure with ornate patterns. Thes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views were classified into types I and II based on elements such as the position of th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 patterns, the shape of New, and other pattern arrangements. Type I features auspicious animals expressed in the inner and outer parts, and there is a circular New. Type II has a common point where the pattern composi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New changes to the auspicious animals. Th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which was analyzed based on the two types, reviewed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excavated articles with Chronograms from the Tang tombs. The period divided into the third period was divided into the period of development, the period of prime time, and the period of decline, and most of the Th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excavated from the Tang Dynasty was produced during the period II.
Th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which was popular at the time, was also introduced to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Korea and Japan. The two countries accepted th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from a country called Tang, but the aspect was different. Except for the Th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excavated from Maro mountain fortress(馬老山城), Korea is presumed to have introduced the eastward trend that was cast from China as there remain examples of poor casting. On the other hand, in Japan, four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are held in Shosoin(正倉院), and they are in good casting condition and have elaborate and detailed pattern expressions. This particular example is believed to have been handed down to by Japanese missions to Tang China dispatched to Tang from Japan at the time, and the period was considered to be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when it was focused on accepting cultural element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uspicious Animals and Grapes Bronze Mirror of the Tang Dynasty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dmiration that spread to surrounding countries in the 8th century, when production was popula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