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저자

      조현정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20. 8. 졸업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Qualitative Study of the Teaching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North Korea

    • 형태사항

      xii, 212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황규호
      참고문헌: p. 192-203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68220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eachers are central to education in every society. In North Korea, secondary school teachers also have the status of “professional revolutionaries”, central to a society where education is prioritized as a means of cultivating characteristics desired by the state and raising overall cultural standards. However, existing research about the role of North Korean teachers has predominantly taken a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approach, while limited studies have considered their actions from an insider perspective. This is primarily the result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access North Korean teachers in situ.
    A practical approach to North Korean education not only sheds light on the structure of the education system, but also helps us understand the reality of teachers activities and the attitudes and values of these actors who play such a pivotal role in the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se needs,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teaching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North Korea. It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highlight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uniform “truth” of North Korean education and portray things “as they are” to as great an extent as possible. This qualitative study of the teaching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North Korea also potentially offers a realistic and practical means of approaching the future integrat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s.
    This study focuses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based on oral account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was your experience of the introductory teaching process as a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 Second, how did you experience North Korean “pedagogy”? Third, what was your experience of the teaching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earch questions, I selected as participants five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b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North Korea, and I conducted an interview-based study about their teaching experiences. An interview-based study can facilita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while preserving the meaningfulness of various events occurring in these complex educational sites. All five participants had graduated from colleges of education in North Korea, had more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middle schools, and had entered South Korea since 2010.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une 2019 and February 2020. Additional materials about the role of North Korean teachers were collected from sources including research journals, official literature, educational newspapers, and government-issued teaching handbooks. My analysis of the data is based on Giddens “structuration theory” and prioritizes a focus on the perspectives of the actors in question. Therefore, the research analysis framework is based on three areas: how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introduc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the practice of pedagogy, and the teaching environment.
    The research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findings. The first research focus, on secondary school teachers introductory teaching experiences, highlighted a tension between strict rules and idealism, and there experiences centered around four areas. First, although they felt great pride at entering colleges of education, the first step in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reality the formal admissions procedures masked various forms of illegality. Unlike in the past, when only those designated by the state were able to attend university, powerful parents (with economic power, a wide social network, etc.) were now actively involved in determining their child's career. Second,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ideology within the college of education curriculum, such that they knew they should cover its content thoroughly. Although political thought was not an interesting subject, low grades could limit their prospects for promotion. Third, although “Educational Practice”, “Pedagogy”, and “Rural Mobilization” were essential university courses, they were affected by shortened training periods and indiscriminate mobilization depending on the economic state of the country. Fourth, competition was growing for placements after graduation. Graduates were happy to be assigned to their hometowns but, as the situation rapidly changed, there was growing competition to be assigned to a city school with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f learning pedagogy, which was the second research issue, highlighted feelings which veered between passion and confusion. First, teachers verified the basic stages of the teaching process through teaching mock lessons, focusing on the “Enlightenment Teaching Method” and continually improving their skills by subdividing the teaching content, for example. Second, teachers cared for and loved their students like “their own children”, cultivating a positive emotional environment that was used to guide and control the students. Third, teachers had absolute authority in the classroom and exercised this in class management. Fourth, the teachers authority, honor, and professionalism were directly related to how well they could control their classes. Finally, teachers tried to adhere to national teaching guidelines with their teaching methods, but they had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a heavy workload.
    The third research focus,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teaching activities, emphasized the need for compromise between their vocation and the realities of the work. After the state stopped investing in education, most financial support came from parents which led to widespread illegal practice within the educational sector. In the absence of state support for teachers livelihoods, parents became responsible for the survival of their children teachers. There was also rivalry between fellow teachers, while showing unconditional submission to the principal who held authority for assigning classes. Finally, their teaching careers were exhausting and difficult but, nevertheless, the respect they received from students and parents made them extremely proud of their profe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of North Korean teachers experiences has raised a number of significant points. First, perceptions of both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college admissions process have changed in North Korea. Rather than a good social background, good grades and having financial means have become more important for students entering colleges of education. Although students are not permitted any choice in their course of study, they benefit from immediate job placement after graduation without the need to obtain a separate teaching qualification. They also recognize the honor of being considered an elite from a young age. Moreover, the perception that teachers rise to a professional position relatively quickly and are viewed as “politically loyal” has contributed to the recent popularity of the profession.
    Second, at the same time as treating students like their own children, teachers prioritized their authority as their most effective means of properly educating students. The more control and authority teachers had over students, the more they believed students would respect and trust them. They believed that teachers should lead by example.
    Third, the social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 w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Due to nominal state investment, teachers relied on parents to provide them with food, oil, firewood and money, rather than receiving this from the government. Nevertheless, teachers took pride in their profession because they were viewed positively. The prestige they received as graduates of colleges of education, compared to other graduates, led them to pledge their lives to the teaching profession. As teachers, they received respect and deep affection from students they taught from enrolment until graduation. Sharing a deeper bond than usual student-teacher relations, North Korean teachers were proud to be considered more of a “parent” than simply an educator delivering knowledge.
    Fourth, teachers did not uncritically comply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but exerted autonomy over what they taught. While on the surface teachers did not reject or resist national educational policies, they reinterpreted and modified the curriculum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in their specific classrooms. Indeed, teachers focused more on developing the “individual abilities” of specific students than on “revolution” through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has several implications. First, teaching activities are intimately connected to wider society. In fact, the varying degree to which teachers implement national educational reform policies has produced unintended results. Although teachers are reliant on the state, they also exercise their own authority within the classroom.
    Second, North Korean teachers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rather than their “intentions”. In order to be rated highly, teachers must ensure that any activities that can be visually identified are clearly demonstrated. However, much of their efforts go unacknowledged, as they struggle in competition against other classes and teachers, assessed on the basis of classroom learning, attendance, organization, class and student assignmen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abilities” which are evaluated through teaching activities span the whole potential curriculum.
    As described abov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e realities of North Korean teachers daily activities, including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they employed, the process of educating students, and the forms of interaction that took place with educational official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teach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early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mbarking on a career in North Korea. However, while this research considered individuals on a case-by-case basis, it would also have been helpful to grasp the various contradictions that lie behind the appearance of a uniform North Korean education system. Second, there are concerns about whether conclusions drawn from the experiences of five participants can be generalized and applied to all teachers in North Korea. In future research,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electing participants suitable for qualitative research about North Korean education. Third, a large proportion of the teaching experience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in urban schools. However, the vast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urban and rural educational environments mean further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hat explores teachers activities in different regions. Qualitative studies are need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objective data and to continue to promote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education system. Furtherm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sights for the discussion of all aspects of North-South Korean educational integration.

    더보기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교사는 교육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 북한 사회 역시 중등교사는 국가가 원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사회의 전반적인 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일선에서 ‘직업적 혁명가’라는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교육을 통한 재생산의 순환 고리 중심에 서있다. 그러나 북한 교사와 관련된 연구는 구조적·제도적인 관점에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그들이 실제로 수행하는 행위를 내부자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는 무엇보다 북한의 교사들에 대한 접근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북한 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은 교육의 구조뿐만 아니라, 교육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교직활동의 실제와 행위자들의 의식이나 가치관, 태도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활동 경험을 다루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의 획일적인 ‘진리’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모순을 가급적 ‘있는 그대로’ 밝혀내기 위한 질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는 분단현실에서 남·북한의 교육통합을 위한 매우 현실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활동 경험에 주목하고, 교사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의 구술자료를 통해 교직경험에 대한 실제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입문과정에 대한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북한 중등교사의 ‘교수교양’ 실천과정의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셋째,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환경에 대한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중등교사로 활동했던 다섯 명의 교사출신 북한이탈주민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교직경험에 대한 면담 연구를 진행하였다. 면담 연구는 복잡한 교육현장의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건들의 의미 있는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그 경험 속에 존재하는 인간 행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이끌어 내는 데 적합한 연구방법이기 때문이다. 연구참여자는 북한에서 사범대학(비사범대학 포함)을 졸업하고, 중학교에 배치되어 3년 이상의 교직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2010년 이후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전직 교사 다섯 명을 목적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심층면담은 2019년 6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 녹취자료와 함께 북한 교사와 관련한 연구 저널, 공식문헌, 교육신문, 인민교육, 교원선전수첩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에 기반하여 구조 안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자의 관점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북한 중등교사의 교직입문, ‘교수교양’ 실천, 교직환경의 세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북한 중등교사들의 입문과정에 대한 경험은 엄격한 규칙과 낭만사이에서 줄다리기하는 과정이었으며, 그 경험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교직입문과정의 기초단계인 사범대학에 입학하는 것은 교사들에게 큰 자부심이었지만 입학과정의 현실은 형식적인 원칙아래 여러 형태의 불법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국가에서 지정해준 대학으로만 갈 수 있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힘(권력, 경제력, 인맥 등)있는 학부모들이 자녀의 진로를 결정하는 데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었다.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이들은 정치사상과목과 전공과목, 교직과목을 어느 것 하나 뺄 게 없을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정치사상과목은 재미없지만 성적이 낮으면 진급에 지장이 있었고, 전공과목이나 교직과목은 앞으로 진로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었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의 필수 과정인 ‘교육실습’, 군사교육인 ‘교도대’와 실천교육으로 활용되는 ‘농촌동원’의 과정은 국가의 경제사정에 따라 실습기간 축소, 무분별한 노력동원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범대학을 졸업하는 것에 대한 기쁨과 함께 배치 경쟁이 나타나고 있었다. 고향으로 배치 받는 것은 졸업생에게 기쁨이었지만, 시대 상황이 급변하면서 고향보다는 교육환경이 좋은 도시 학교에 배치 받으려는 경쟁이 암암리에 벌어지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수교양’ 실천 경험은 열정과 혼란 사이에서 변주하는 과정이었으며, 그 경험을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모의수업을 통해 교수과정에 대한 기초단계를 검증받았으며,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을 핵심으로 전공지식을 잘 가르치기 위한 분과별, 분기별 모의수업, ‘방식상학’ 등을 꾸준히 진행하면서 자질 향상을 지속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실제로 ‘어머니’와 같은 마음으로 담임한 학생들을 ‘내 자식’처럼 아끼고 사랑하면서 ‘긍정감화’ 교육을 생활화하고 있었다. ‘긍정감화’ 교육은 성적향상과 학생지도, 통제에 적절히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담임학급에 대한 절대적인 책임과 함께 학급임원 선출과 학급운영에서 독자적인 권한을 행사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의 교과전문성은 수업을 통제하고 집중시키는 자질과 직결되었으며 그것을 교사의 권위와 명예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국가의 ‘교수요강’을 교수법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현장의 부족한 교구재, 업무가중 등으로 많은 딜레마를 안고 있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환경에 대한 경험은 천직과 현실 사이에서 타협하는 과정이었으며, 그 경험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교육사업에 대한 국가의 투자가 중단된 후 교사들은 대부분의 물질적 지원을 학부모들로부터 받게 되면서 교육현장의 불법 현상이 만연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가 교사들의 생활조건을 보장해주지 않게 되면서 담임교사의 생계는 학부모들이 감당하는 현상이 암묵적인 일상이 되었다. 셋째, 학급을 맡기 위해 동료교사들 사이에서 경쟁이 벌어지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학급 배정 권한을 가진 교장에게 무조건적으로 복종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에게 교직생활은 감당해야 할 무게로 인해 지치고 힘든 과정의 연속이었지만, 그럼에도 ‘선생님’을 존경하는 학생-학부모와 사회적 우대는 교직에 대한 높은 자긍심을 가지게 하였다.
    이를 토대로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사회에서 사범대학 입학과 교직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는 점이다. 사범대학을 진학 시 출신성분보다는 우수한 성적과 가정의 경제력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학의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선택권과 자율권이 허용되지 않지만, 졸업할 때 별도의 교사자격시험이 없이 바로 배치가 가능하고, 젊은 나이에 ‘간부과’ 대상이 되어 ‘민족간부’ 대열에 들어선다는 장점은 자부심과 명예로 인식되고 있다. 타 대학에 비해 ‘당의 신임’과 ‘전문직으로의 신분전환’이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인식은 교직을 선호하는 분위기로 바뀌었다.
    둘째, 교사들은 학생과의 관계에서 ‘권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이다. 물론 이들이 ‘어머니’와 같은 마음으로 학생들을 ‘내 자식’처럼 여기고 있었지만, 학생들을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권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교사가 학생에 대한 통제력과 권위를 가질수록 학생들에게 더 많은 존경과 신뢰를 받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때 교사의 이신작칙과 솔선수범의 모습은 학생들에게 거울이 된다고 믿었다.
    셋째, 교사들이 교직에 헌신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인식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그들의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 보상은 국가를 대신하여 학부모들이 발 벗고 나서 식량, 기름, 부식물, 땔나무, 돈 등을 마련해주고 있다. 그럼에도 이들이 교직에 대한 자부심을 갖는 이유는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사범대학을 졸업할 때부터 타 대학의 졸업생들과는 차별화된 사회적 우대가 평생을 교사로 살 것을 다짐하게 만들었다. 여기에 ‘선생님’에 대한 애정과 존경은 ‘학급고정담당제’의 영향이 크다. 학급고정담당제로 학생과 교사 사이에는 사제지간 이상의 끈끈한 관계가 형성되면서, 교사가 단순히 교과 지식을 전달해주는 전달자 이상의 ‘어머니’와 같은 존재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넷째, 교사들은 국가의 교육과정에 무조건적으로 순응하지 않으며,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나름의 자율성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이들은 표면적으로 볼 때, 국가의 교육강령이나 방침에 거부하거나 저항하지는 않지만, 교실 맥락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는 나름의 전문성을 가지고 교육과정에 재해석과 변형을 가하고 있다. 실제로 교사들은 교육을 통한 ‘혁명’보다는 학생의 ‘개인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실력향상에 무게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에 대한 논의를 종합해볼 때, 이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활동은 사회 구조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면서 의존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북한 중등교사들의 실천행위는 국가의 교육개혁에 반해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교사들은 국가에 의존하면서도 교실이라는 시공간에서 독자적인 권위를 행사하면서 행위의 이중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북한 중등교사들이 교직을 통해 실천하는 행위는 그것의 ‘의도’보다 그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에 의해 평가된다는 점이다. ‘의도’가 ‘능력’이라는 결과로 인정이 되려면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행위가 뚜렷하게 나타나야 한다. 실제로 북한의 중등교사들은 학급의 학습실력, 출석률, 조직생활, 학급과제, 학생과제, 과외작업 등의 학급별, 교사별 경쟁으로 하루 24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바쁜 일상을 보내면서도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들이 교직활동을 통해 평가 받는 ‘능력’은 그들이 잠재적으로 수행하는 교육과정의 전반에 해당되고 있으며 그들의 삶과도 직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북한 교육의 주 행위자였던 교사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그들이 수행했던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학생들을 교양하는 과정, 교육관계자들과의 상호작용 과정 등과 같은 교직활동의 실제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을 이해함에 있어서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직경험 연구의 시작으로서 교직활동의 전반에 대한 공통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교직활동에 대한 개별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별로 연구를 진행한다면, 획일적인 북한 교육의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모순들을 다양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둘째, 다섯 명의 연구참여자의 교직경험에 대한 논의가 북한의 모든 교사들의 활동처럼 일반화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북한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를 설계함에 있어서 연구방법에 맞는 참여자 선정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도시 중심의 학교에서 교직을 수행한 비중이 높다. 그러나 북한의 도시와 농촌의 교육환경에 대한 격차가 눈에 띠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별 교사들의 교직활동을 다각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질적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북한 교육의 실제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질적 연구들이 지속되어 객관적인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들이 남·북한 교육통합을 위한 제반 사항을 논의하는 데 유용한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A. 교직의 이해와 교직경험의 이론적 접근 10
    • 1. 교직의 개념과 특징 10
    • 2. 교직활동의 구분 12
    • 3. 교직경험 연구의 '구조화 이론' 접근 14
    • B. 사회주의 교육이론에 따른 북한 교육의 특징 19
    • 1. 마르크스의 교육이론과 레닌의 사회주의 교육학 19
    • 2. 주체사상 중심의 사회주의 교육학의 특징 23
    • 3. 북한 '중등일반교육'의 중요성과 내용 27
    • C. '직업적 혁명가'로서 북한 중등교사의 이해 29
    • 1. 북한 중등교사의 양성과정 29
    • 2. 북한 중등교사의 의무와 역할 37
    • 3. 북한 중등교사의 '교수교양' 방법과 자질 41
    • Ⅲ. 연구방법 49
    • A. 연구설계 49
    • B. 연구참여자 51
    • C. 자료수집 방법 57
    • D. 자료분석 방법 60
    • E.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63
    •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64
    • Ⅳ. 연구결과 66
    • A. 중등교사의 교직입문과정: 엄격한 규칙과 낭만 사이에서 줄다리기 66
    • 1. 교직입문을 위한 대학입시 현실 66
    • 2.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실제 78
    • 3. 수업 외 필수 과정 및 대학일상의 모습 84
    • 4. 졸업과 함께 찾아 온 환희와 배치 경쟁 96
    • B. 중등교사의 '교수교양' 실천과정: 열정과 혼란 사이에서 변주하기 105
    • 1.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의 실제 105
    • 2. '긍정감화'를 위한 교육방법에서의 열정 118
    • 3. 학급운영에서의 역할과 책임 129
    • 4.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노력 137
    • 5. '교수요강'과 교육현장의 괴리 143
    • C. 중등교사의 교직환경: 천직과 현실 사이에서 타협하기 151
    • 1. 지시는 국가가, 물질적 지원은 학부모의 몫 151
    • 2. 담임교사의 생계를 감당하는 학부모들 159
    • 3. 학급을 맡기 위한 경쟁과 교장의 절대 권력 166
    • 4. 교직의 무게와 자부심 172
    • Ⅴ. 결론 180
    • A. 요약 180
    • B. 논의 및 제언 186
    • 참고문헌 192
    • 부록1. 연구참여 설명문 204
    • 부록2. 연구참여자 동의서 206
    • ABSTRACT 207
    더보기
    • 1 김영준, 한선희, "교육심리", 평양: 교원신문사, 2001
    • 2 이칭찬, "신 교사론", 서울: 태영출판사, 2005
    • 3 리병모, "교수방법론",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88
    • 4 강유정, 최성열, 김영훈, "교육사회학", 서울: 동문사, 2018
    • 5 김동규, 김형찬, "북한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6 리영환, "조선교육사6",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5
    • 7 고미영, "질적사례연구", 서울: 청목출판사, 2009
    • 8 김동규, "북한의 교육학", 서울: 文 社, 1990
    • 9 김수진, "주체의 교육론", 東京: 학우서방, 1992
    • 10 박찬석, "북한 교육 연구",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3
    • 11 사회과학원언어학연구소, "현대조선말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8
    • 12 김동규, "社會主義 敎育學", 서울: 도서출판 主 流, 1980
    • 13 이희승, "엣센스 국어사전", 파주: 사전전문 민중서림, 2015
    • 14 Boyle, D., "The Communist Manifesto", The Ivy Press. 유강은 역(2005). 세계를 뒤흔든 공산당 선언. 서울: 도서출판 그린비, 2004
    • 15 김창호, "『조선교육사 3』",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0
    • 16 김금석, "인민들속에서 7권",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68
    • 17 김기태, 조평호, "미래지향적 교사론",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18 김영윤, 조봉현, 박현선, "북한이 변하고 있다", 서울: 통일연구원, 2007
    • 19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파주: ㈜도서출판 한길사, 2014
    • 20 윤계인, "“고이면 움직인다”", : 눈물로 쓴 탈북민 手記. 北韓, (498), 156-166, 2013
    • 21 김동규, "북한의 대학과 대학생", 서울: 민족통일중앙협의회, 1989
    • 22 조용환,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파주: 교육과학사, 2016
    • 23 임연기, 최준렬, "교육행정 및 경영 탐구", 고양: 공동체, 2017
    • 24 엄태동,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서울: 원미사, 2001
    • 25 Giddens, A., "Contral problems in social theory", London: Macmillan Press. 윤병철 박병래 공역(1991). 사회이론의 주요 쟁점. 서울: 문예출판사, 1979
    • 26 박찬석, 최영표, "북한의 교육학 체계 연구", 파주: 집문당, 2010
    • 27 박찬석, "2010년대 북한 교육의 이해", 초등도덕교육, (49), 241-268, 2015
    • 28 남정걸, "“깨우쳐주는 교육이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파주: 교육과학사. 동영준(1994), 2015
    • 29 김재현, "“주체사상과 북한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2003). 북한 연구방법론(pp. 147-169). 서울: 도서출판 한울, 2003
    • 30 신태진, "마르크스의 아동교육사상", 유아교육연구, 14(1), 91-108, 1994
    • 31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6
    • 32 최봉대, "“탈북자 면접조사 방법”",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2003). 북 한연구방법론(pp. 307-334). 서울: 도서출판 한울, 2003
    • 33 양경숙, "마르크스의 사상과 교육론", 논문집, 1, 197-214, 1995
    • 34 김기석, 이향규, "북한사회주의 형성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35 최영표, "북한 교육학의 성격과 체계", 통일교육연구, 6(1), 1-21, 2008
    • 36 조정수, "역 교육의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2010
    • 37 정혜영, "교사 관련 은유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5(1), 59-71, 2004
    • 38 이효주, "‘고난의 행군’과 교원생활", 북한연구소, (576), 142-153, 2019
    • 39 김병철, "“생동한 설명과 교수화술”", 『인민교육』, 제5호. 평양: 교육신문 사. 김정심(2018). 학생들이 주동적인 학습자, 탐구자가 되도록 우리 식의 깨우쳐 주는 교수방법을 발전시킬데 대한 사상의 정당성. 『교원선전수첩』, 제4 호. 평양: 교육신문사, 2007
    • 40 김일성, "김일성선집. 發行所: 東 方社", 김일성, 1977
    • 41 신효숙, "북한의 대학교육과 대학입시", 수행인문학, 37(2), 39-71, 2007
    • 42 엄현숙, "북한의 교수방법 연구: 1960-2015",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6
    • 43 법률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전", 평양: 법률출판사, 2016
    • 44 정근식, "북한의 대학 : 역사, 현실, 전망", 과천: 진인진, 2017
    • 45 정명호, "“북한 청소년 비행 천태만상”", 클릭! 통일교육. 탈북교사의 생생 이야기. 62-63, 2017
    • 46 조용환, "일상세계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 초등교육연구, (7), 13-22, 1995
    • 47 김희정, 최윤정, 진미정, 이유리, 이순형, 윤지현, 윤소윤, 나종연, "북 한 주민의 일상생활 둘러보기", 고양: 파워북, 2020
    • 48 손계림, 한만길, "북한의 교원양성제도와 고등교육", 대학교육, 86, 46-56, 1997
    • 49 신효숙, "“북한 교육연구의 성과와 과제”", 2007
    • 50 박찬석, "북한의 학교관리론과 교원론 연구", 통일교육연구, 6(1), 1-17, 2008
    • 51 기광서, 이신철, 김성보,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서울: ㈜웅 진씽크빅, 2013
    • 52 정성장, "현대 북한 연 구의 쟁점 2(pp. 175-213)",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07
    • 53 Hatch, J. A.,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 By Permiss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the New York Press. 진영은 역 (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서울: 학지사, 2002
    • 54 로정순, 리영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의 교육",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4
    • 55 전영국, "심층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의 수행",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9
    • 56 조정아, "북한 중등학교 규율과 ‘반학교문화’", 교육사회학연구, 14(1), 121-146, 2004
    • 57 박순성, 홍민, "역음 북한의 일상생활연구Ⅰ(pp. 200-247)",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10
    • 58 임을출, "김정은 시대의 북한경제: 사금융과 돈주", 파주: 한울, 2016
    • 59 조정아, "북한의 교육일상 연구: 접근방법과 과제", 현대북한연구, 11(3), 229-270, 2008
    • 60 김소연, "“나의 대학진학은 이렇게 이루어졌다”", 최영표 한만길 홍영란 (1994), 1994
    • 61 이건만, "마르크스주의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쟁점", 파주: 집문당, 2009
    • 62 이성희, "북한의 교원양성과정과 남북한의 차이점", 다문화교육 연구와 실천, 5, 87-109, 2014
    • 63 여금룡, "“나는 고등학교 교육을 이렇게 받았다”", 최영표, 한만길, 홍영란 (1994). 내가 받은 북한 교육(pp. 63-9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 료RM94-4, 1994
    • 64 엄현숙, "교원의 역할에 대한 북한의 인식 변화 연구", 통일연구, 21(2), 5-37, 2017
    • 65 윤기복, "교육자료집. 東京: 재일본조선인중앙교육회", 집필위원회(1975), 1967
    • 66 차승주, "김정은 시대 북한 교육부문에서의 대중운동", 통일과 평화, 8(1), 79-108, 2016
    • 67 고대혁, 홍영숙, 허숙, 이승렬, 이근호, 오만석, 영훈, 박세원, 김미정, 김대군, "교사의 재발견: 교육과정 주체로서의 참모습", 서울: 학지사, 2016
    • 68 김정원, "북한 교사가 바라보는 북한 학교교육의 의미", 통일교육연구, 13(2), 1-24, 2016
    • 69 한만길, "남북한 교육의 동질성 추구를 위한 방향 모색", 한국교육, 21, 157-174, 1994
    • 70 Hoyle, E., "The role of the teacher. 안상원 역(1985). 교사의 역할", 서울: 배영사, 1969
    • 71 최영표, 홍영란, 한만길, "내가 받 은 북한교육(pp. 95-106).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RM94-4, 1994
    • 72 최영표, 홍영란, 한만길, "내가 받은 북한교육(pp. 224-235). 한국교육개발 원", 연구자료RM94-4, 1994
    • 73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1: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서울: 도서출 판 문음사, 2005
    • 74 서근원, "해석주의 교육사회학 탐구(1): 상식 밖의 교육학", 서울: 강현출 판사, 2012
    • 75 오욱환, "교사 전문성-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서울: 교육과 학사, 2005
    • 76 김경이, "박은실 오은경 채선희 한유경 김미영 교직의 이해", 서울: 도서출판 문음사, 2001
    • 77 신효숙, "북한사회의 변화와 고등인력의 양성과 재편(1945~1960)", 현대북 한연구, 8(2), 39-83, 2005
    • 78 전미향, "현대교육발전추세와 교육내용. 『인민교육』, 제4호", 평양: 교육신 문사, 2016
    • 79 김일성, "“청소년 교양에서의 교육일군들의 임무에 대하여”", 김일성 “청소년 교양에서의 교육일군들의 임무에 대하여” - 1961년 4월 25일 전국 교육일군 열성자 대회에서 한 연설, 1965
    • 80 엄현숙, "2000년대 이후 교육법제 정비를 통한 북한 교육의 현황", 현대 북한연구, 20(1), 96-129, 2017
    • 81 이학주, "사회주의 교육이론의 전개와 그 적용.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 총, 14, 125-136, 1997
    • 82 김명철, "“간부 승진을 위해 김형직사대 야간학부에 들어가다”", 1994
    • 83 김용학, "사회 구조와 행위: 거시적 현상의 미시적 기초를 찾아서", 서울: 도서출판 나남, 1992
    • 84 강세현, "사회 이론에 있어 ‘미시-거시 연결’ 전략에 대한 고찰", 제주한라 대학 논문집, 28, 127-139, 2005
    • 85 강호제, 한승대, 조정래, 김희정, 김지혜, 김지수, 김선, 김병연, "김정 은 시대 북한 유 초 중등 교육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2019-11, 2019
    • 86 이향규, "조정아 김지수 김기석 북한 교육 60년 : 형성과 발전, 전망", 파주: 교육과학사, 2010
    • 87 김일성, "“전반적11년제의무교육을 성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김일성 “전반적11년제의무교육을 성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1975년 4월 1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5기 제5차 회의에서 한 연설, 1985
    • 88 채규철, "북한과 중국의 국가발전전략이 대학입시정책에 끼친 영향", 사 회과교육, (32), 489-503, 1999
    • 89 박정숙, "북한의 교육제도와 사교육 열풍: 꼭 알아야 할 북한상식(1)", 북 한연구소, (500), 130-137, 2013
    • 90 이향규, "통일 후 교육제도의 통합과 사회적 삼투현상: 독일과 한국", 통일 문제연구, (40). 273-293, 2003
    • 91 김형찬, "북한의 교육. 서울: ㈜을유문화사. 남경태(2006). 개념어 사전", 파주: 도서출판 들녘, 1990
    • 92 고인규, 최지연, "헤겔과 마르크스 인식론에 비추어 본 실과 ‘실천’의 의 미", 실과교육연구, 18(2), 121-140, 2012
    • 93 전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반적의무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평 양: 교육도서출판사, 1984
    • 94 임혜경, 채소린, "한마음 박순용 북한교사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9(1), 53-84, 2019
    • 95 김일성, "“모든 것을 전후 인민경제 복구 발전을 위하여”. 김일성선집", 東 方: 조선로동당출판사, 1963
    • 96 Bruner, J. S., "The Culture of Education. 강현석 이자연 역(2005). 브루 너 교육의 문화", 서울: 교육과학사, 1996
    • 97 조선로동당출판사,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로작 해설(11). 평양: 조선 로동당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등교육법, 2011
    • 98 임병숙, "2000년 이후 북한 교원양성에 관한 연구 – 교원교육의 정치 적 접근", 열린교육연구, 18(2), 241-260, 2010
    • 99 강근조, "“민족간부양성의 질적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교양사업의 강 화”", 조선교육사4.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1
    • 100 신효숙, "북한 교육의 발전과정에 대한 논의: 사회주의 교육에서 주체교 육으로", 북한연구학회보, 5(1), 57-81, 2001
    • 101 조정아, "교육에서의 실리주의와 교육의 불균등발전: 2000년대 북한 교 육의 변화", 교육사회학연구, 17(4), 109-131, 2007
    • 102 강호제 , 조정아 , 정채관, 이교덕 ,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정책, 교육 과정, 교과서.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서울: 통일연구원, 2015
    • 103 오혜심, "중등일반교육부문에서 담임교원의 학급관리. 『교원선전수첩』, 제 1호", 평양: 교육신문사, 2019
    • 104 김정일, "“온 사회에 공산주의도덕기풍을 세울데 대하여”. 김정전집 18(증 보판)",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2
    • 105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 Teachers College Press. 박혜준 이승연 공역(2009).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 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 서울: 학지사, 2006
    • 106 김정일, "“사범교육을 강화하는데 관심을 돌려야 한다”. 김정일전집 5권 (증보판)",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 107 한석현, "탈북인사대담 91; 북한의 교원 양성체계: “대학 4년이 평생을 좌 우한다”", 통일한국, (256), 74-77, 2005
    • 108 한만길, "북한에서는 어떻게 교육할까 : 북녘에서 살다 온 16인의 생생한 교육체험기", 서울: 우리교육, 1999
    • 109 김동규, "소련의 現代 敎育史 照明: 소련현대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 및 그 구조원리", 한국교육사학, 12, 63-82, 1990
    • 110 Merriam, S. B.,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허미화 역(1994). 질적 사례연구법", 서울: 양서원, 1988
    • 111 이희정, "김정은 시대 북한 원격교육 현황 연구: 교육컨텐츠, 표준, 인프 라를 중심으로", 통일교육연구, 14(2), 1-13, 2017
    • 112 권오국, "북한: 탈북인사대담99; 북한의 소학교 교육: “교원 월급만으론 살기 힘들다”", 통일한국, 265, 88-91, 2006
    • 113 오욱환,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와 교육: 마르크스주의 국가론에 서 교육의 의미", 교육사회학, 33(5), 135-161, 1995
    • 114 Bogdan, S., "Einfuehrung in die marxistische Erziehungstheorie. 오세종 역(1989). 마르크스주의 교육이론 1", 광주: 도서출판 들불, 1972
    • 115 Bogdan, S., "Einfuehrung in die marxistische Erziehungstheorie. 오세종 역(1990). 마르크수주의 교육철학 2", 광주: 도서출판 들불, 1976
    • 116 Jackson, P. W., "Life in Classroom.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차경수 역(2019). 아동의 교실생활", 고양: 배영사, 1968
    • 117 Vydrin, I. F., "Marxism-Leninism Pedagogy Methodology. 이장원 역(1989). 마르크스 레닌주의 교육학 방법론", 서울: 기획출판 거름, 1976
    • 118 이희영, "“북한 일상생활 연구자료의 생성과 해석: 구술자료 연구방법론 을 중심으로”", 2010
    • 119 김진숙, "북한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에 따른 학제와 교육과정 개편: 평가와 전망", 북한법연구, (17), 363-404, 2016
    • 120 Glesne, C.,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5th Edition). 안혜준 역(2017). 질적 연구자 되기",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6
    • 121 김명수, "교원의 이신작칙이 학생들에게 주는 사상 정신적 영향. 『교원선 전수첩』, 제3호", 평양: 교육신문사, 2018
    • 122 김동한, "북한 사회변화에 대한 교육관련 법제의 영향. 제1회 세계 북한 학 학술대회 패널 1", 북한의 새로운 세대와 교육, 2014
    • 123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 앎에서 삶으로. 파주: 교육과학사. 권기욱(2010). 교직실무", 서울: 도서출판 보현사, 2014
    • 124 김정일, "“전국고등중학교 7.15최우등상 수상자대회 참가자들에게”. 김정 일선집 19(증보판)",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 125 Apple, M. W., "Ideology and Curriculum. London: Routledge & K. Paul. 박부권 이혜영 공역(1985). 교육과 이데올로기", 서울: 한길사, 1979
    • 126 강구섭, "독일통일 후 동서독 교육통합 사례 연구-학제, 교육과정, 교사 재임용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2(1), 45-69, 2012
    • 127 Sarup, M., "Marxism and education.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이 혜영 외 역 (1987). 마르크스주의와 교육이론", 서울: 한길사, 1978
    • 128 남진우, "리영복 리병모 리성석 김강호 김필규 류진식 한상유 류승겸 사회주의 교육학: 사범대학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91
    • 129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불후의 고전적로작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 해설론문집", 평양: 과학 백과사전출판 사, 1978
    • 130 Freire, P., "Teachers as Cultural Workers: Letters to Those Who Dare Teach. 교육문화연구원 역(2000). 프레이리의 교사론", 서울: 도서출판 아 침이슬, 1998
    • 131 김덕진, "정보화된 교수환경의 특성에 맞게 교원들의 자질을 높이기 위한 방도. 『인민교육』, 제3호", 평양: 교육신문사, 2010
    • 132 조정아, "‘직업적 혁명가’와 ‘동요하는 인테리’사이에서 – 북한의 교사상 과 교원의 사회적 지위", 현대북한연구, 7(2), 127-165, 2004
    • 133 김정일, "“교원들의 역할을 높이며 교육조건을 개선할데 대하여”. 주체혁 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5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8
    • 134 최하영, "북한 대학생 군사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통일교육원(2019). 북한이해",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9
    • 135 Ritzer, G., "Sociological Theory, 5 nd ed. University of Maryland, Jeffrey Stepnisky, MacEwan University.김왕배 외 공역(2006). 사회학이론", 서울: 한올출판사, 2004
    • 136 오욱환, "사회주의 국가에서 교육 불평등과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정치경 제학적 관계-고르바쵸프 시대 이전 소련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1), 5-21, 1992
    • 137 권영걸, 박형중, 김태우, 김일기, 김영수, 김갑식, 권오국, "송영대 유호열 이무철 이정우 조봉현 최경수 한만길 (꼭 알아야 할)통일 북 한 110 가지: 교사들이 묻고 전문가들이 답하는 통일 북한 핸드북", 서 울: 평화문제연구소, 2011
    • 138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Thousand Oak, CA. Sage. 조홍식 정선옥, 김진숙 권지성 공역(2018).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13
    • 139 Lortie, D. C., "Schoolteacher: A Sociological Study. The University of Chicago. All rights reserved. 진동섭 정수현 박상완 김병찬 공역 (2017). 미국과 한국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파주: 양서원, 1975
    • 140 Ritzer, G.,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y and Its Classical Roots: The Basics, 2 nd ed. University of Maryland, Jeffrey Stepnisky, MacEwan University. 한국이론사회학회 역(2006). 현대 사회학 이론과 그 고전적 뿌리", 서울: 博英社,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