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朝鮮時代 科擧 合格者를 통해 본 在地士族의 實態 = 全羅道 長城 事例
저자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5-225(4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조선시대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던 지방양반, 즉 在地士族의 존재 양태의 한 유형으로 全羅道 長城 지방 재지사족을 살펴 본 사례 연구이다.
조선시대 전라도 장성은 金麟厚나 奇正鎭 같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인물이 있었던 지역이다. 이 지역 재지사족들은 이러한 顯祖의 명성에 힘입어 사족으로서의 사회적 위상을 쉽게 유지할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과연 그들이 조상의 명성만 가지고 사회적 지위와 위상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사족이 향촌 사회에서 자신들의 신분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科擧합격이다. 그것은 다양한 지역 사례 연구에서도 밝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했던 재지사족들의 공통점은 이들 모두 과거 합격을 위한 노력은 결코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또 하나의 사례가 장성 사족이 될 것이다. 장성 사족들은 뛰어난 조상의 명성으로 쉽게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을 것임에도 과거 합격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특히 顯祖를 가진 장성 지방 사족 가문들에서 많은 과거 합격자가 배출되고 있다는 것이 그와 같은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 같은 사실의 구체적이고 실증적 연구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Cholla(全羅) Province ChangSung(長城) area of Chosu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observ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JaejiSaok(a local nobleman) in the local society. For the JaejiSaok(a local nobleman), the examinations truly were the gateway to success. Qualifying examinations for appointment to civil offices were conducted at two levels. That was the licentiate or lower level and the higher level. The lower level was called Saengjinkwa(生進科) or Samasi(司馬試). And the higher level was called Munkwa(文科) or Taekwa(大科).
Changsung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holla. Therefore the confucians of this area led the public opinions of the others. And they had an influence on the other local society. Especially, this area had produced a many number of confucians including Kim In-Hoo(金麟厚).
Many families has passed the two examinations in ChangSung area. But the Major Family that has passed the Munkwa(文科) was Oolsan Kim(蔚山 金), Hwangju Pyen(黃州 邊), Khangsan Kim(光山 金), Hangju Ki(幸州 奇). And also the main Family that has passed the Saengjinkwa(生進科) was Oolsan Kim(蔚山 金), Hwangju Pyen(黃州 邊), Khangsan Kim(光山 金), Hangju Ki(幸州 奇).
Through this, we has realized that the JaejiSaok(a local nobleman) has focused on the two examinations. They were trying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incessant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