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마을의 위상과 마을 연구의 과제 = Status of the Chosŏn Period Villages, and Future Tasks for Village Studies
저자
심재우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51-384(34쪽)
제공처
이 글은 현재의 마을공동체 논의 속에 정작 우리의 전통 마을의 실체에 대한 이해가 불분명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시대 마을과 촌락사회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기 위해 준비되었다. 주요 분석 대상은 1980년대 이후 축적된 역사학계의 향촌사회사 연구의 성과이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자연촌의 성장, 확산의 과정 속에서 마을 또한 규모와 인구 면에서 끊임없이 유동하는 존재였다는 것이다. 조선후기부터 20세기초까지 洞里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는 통계 자료는 그러한 상황을 잘 보여주는데, 마을 연구에서는 시기에 따른 변화를 염두에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1980년대 지방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향촌사회사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우리가 관심을 갖는 촌락ㆍ마을 연구도 적지않은 성과가 이루어졌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해준ㆍ정진영의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촌락의 변화, 촌락 내부의 사회조직과 인적 구성 등에 걸쳐 의미 있는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써 촌락 연구사의 토대가 마련됐다.
셋째, 향촌사회사의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마을에 관해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쟁점과 난제들이 적지 않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마을ㆍ동리를 공동체로 볼 수 있는가와 관련한 촌락사회 성격 논쟁을 소개하고, 마을 조직인 洞契의 분포와 특성의 문제, 촌락의 발달에 따른 마을 역사 이해의 문제 등을 핵심 쟁점으로 꼽았다.
This article is conceived with a perspective that, despite the fact that studies of village communities have continued to be announced and accumulated in recent years,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villages on the other hand are still severely limited and remains unclear to this date. Hence, the author’s intention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studies focusing on village and county societies that existed during the Chosŏn period, and also ascertain what must be done in future studies. Studies by historians from the 1980s dealing with local social history are primarily examined here.
First, in the author’s opinion,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natural villages of the Chosŏn period continued to grow and expand, and their perimeters and population size was in constant state of flux. Statistics show that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Chosŏn period, and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the number of Dong’ri (洞里, counties) continued to rise, which let us realize that in village studies change that occurs over time should be duly taken into account.
Secondly, in the 1980s it seems like the scholars’ interest in local societies increased, which in turn invigorated local social historical studies and led to numerous accomplishments that would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villages and counties we came to love and know. What should be noted in particular are the studies from Lee Hae-jun and Jeong Jin-yeong, who laid out the foundation for village studies by presenting meaningful observations on issues such as the changes in villages, or the internal composition of those villages in terms of hierarchy structure or population layout.
Thirdly, although there have been so many achievements in this particular branch of studies, there are still many issues regarding Chosŏn period villages and counties that are yet to be properly discussed or illuminated enough. Some of them are tough ones that would need some extra effort to adequately address them. To that end, first introduced in this article is the ongoing debate on the village communities’ nature and identity, which posed a question of whether or not villages and counties should be perceived as communities. Then discussed next are impending tasks regarding certain topics such a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Dong’gye (洞契, aid groups) throughout the country as the most visible type of village organization, their characteristics, and how to understand the villages’ history in terms of their developmen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