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청소년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철학상담의 역할 = The Rol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Enhancing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3-158(26쪽)
제공처
청소년기는 실존의 질문에 직면하며 자아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과도기이다.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한 인지적 평가인 ‘삶의 만족도’는 이 시기의 청소년들의 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도는 개인 내적, 사회 환경적 요인 등 다차원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유동적인 환경 변인들을 통제하는 형태의 교육적 접근은 청소년들이 삶의 의미와 삶에 대한 열정을 발견할 여유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실존적 물음을 제기하고, 삶의 철학을 일깨울 수 있도록 돕는 인문학 교육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또한, 교육의 모델로 철학상담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인문학 교육, 철학상담의 개념적 이해를 토대로 이들의 상관관계를 다루고자 한다. 둘째, 청소년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기존 인문학 교육 방안들의 한계를 검토하고, 사이먼 시넥의 골든 서클 원리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철학상담과 청소년 삶의 만족도 증진의 긴밀한 접점을 발견하고, 철학상담이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dolescence is a transitional period marked by encounters with existential questions and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The cognitive evaluation of one’s quality of life, referred to as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during this stage.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ce is determined by multidimensional factors, including personal intern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influences. However, educational approaches that control for these fluid environmental variables often fail to provide adolescents with adequate opportunities to discover meaning in life and passion for liv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humanities education in assisting adolescents in raising existential inquiries and awakening their philosophies of life. In particular, we aim to highlight the rol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 concrete educational model that can effectively enhanc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the following points: First, We will address the correlation among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humanities education,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each of these three elements. Second, we will examin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rategies aimed at improving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proposing new ideas derived from Simon Sinek’s Golden Circle principle. Third, we aim to identify the close intersection betwee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 enhancement of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presenting practical roles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pla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