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 광해군대 청기와 유약의 특징과 제작의 함의 = Characteristics of the Blue Roof-Tiles glaze and Implication of Production from the Period of King Gwanghaegun of Joseon Dynas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7-98(32쪽)
제공처
이 연구에서는 조선 광해군대(재위: 1608~1623년) 청기와의 제작양상과 유약의 특징을 중심으로 제작에 담긴 함의(含意)를 고찰하였다. 조선 후기의 청기와는 광해군이 집권한 1616년에서 1622년까지 이루어진 궁궐영건(宮闕營建) 과정 중 인경궁(仁慶宮)의 홍정전(弘政殿)과 광정전(光政殿)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광해군대 궁궐영건과 청기와 관련 정책은 이슬람지역에서 수입한 회회청(回回靑)과 청기와를 연결해 사치스러운 임금으로 기록할 만큼 부정적이었다. 이 시기의 청기와는 인경궁의 광정전을 기반으로 인조 25년(1647)에 복원된 창덕궁(昌德宮) 선정전(宣政殿)의 현전유물로,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청기와 유약의 특징은 짙은 청색과 녹색의 유색을 띠며, 유층(釉層)이 두껍다.
광해군대 청기와 관련 정책은 임진왜란으로 사라진 제작방법을 모색하고 원활하게 재료를 수급하려는데 초점이 있었다. 특히 이 시기의 청기와는 ‘청화안료’와 ‘염초’의 재료를 활용한 유약의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청화안료는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아 수입에 의존한 사치스러운 물질이었고, 화약(火藥)과 청기와의 재료인 염초는 명청전쟁(明淸戰爭: 1618~1662년)으로 인하여 수급이 불안정한 상태였다. 그렇지만 광해군대 정책적으로 육성된 염초는 청기와의 재료로 활용될 만큼 안정적인 공급이 마련되었다. 이를 통해 사관이 언급한 회회청의 존재는 당시 사람들이 오인(誤認)할 만큼 짙은 청색이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광해군대 청기와의 제작에는 당시 정치・경제적인 상황을 함의한다. 아울러 이 시기에 제작된 청기와는 후대까지 영향을 줄 만큼 조선 후기 양식을 정립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lication of the production of blue roof-tiles cente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s of blue roof-tiles production and the glaze during the period of King Gwanghaegun(r. 1608-1623) of Joseon. Blue roof-til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restrictively applied to Ingyeonggung(仁慶宮), Hongjeongjeon(弘政殿), and Gwangjeongjeon(光政殿) during palace construction between 1616 and 1622 during King Gwanghaegun’s reign. However, the policies related to palace construction and blue roof-tiles were received negatively, so much so that the king was described as extravagant by associating blue roof-tiles with the grayish blue(回回靑) imported from the Islamic region. Blue roof-tiles from this period can be seen through the remaining artifacts of Seonjeongjeon(宣政殿) of Changdeokgung(昌德宮), recovered based on Gwangjeongjeon of Ingyeonggung in 1647, the 25th year in King Injo’s reig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ue roof-tiles glaze are dark blue and dark green colors and a thick glaze layer.
Policies related to blue roof-tiles during King Gwanghaegun’s reign focused on searching for the manufacturing methods los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nd securing raw materials easily. In particular, the blue roof-tiles in this period were produced based on the manufacturing glaze technique that utilized ‘cobalt pigment’ and ‘potassium nitrate.’ At the time, the cobalt pigment was a luxury item that was not produced in Korea and relied on imports, and the supply of potassium nitrate, the ingredient for gunpowder and blue roof-tiles, was unstable due to the Ming-Qing War(1618-1662). However, during King Gwanghaegun’s period, the government promoted potassium nitrate production at a policy level and secured a stable supply base that was used to produce blue roof-tiles. This implies that the grayish blue mentioned by the official historian meant the production of cobalt blue roof-tiles that were so intense that people at the time misperceived them. The production of cobalt blue roof-tiles during King Gwanghaegun’s reign impli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of the time. Furthermore, the blue roof-tile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are significant as they established the late Joseon Dynasty style that influenced later generatio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