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기술의 도서관 활용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수용의도 및 도서관 적용 모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ceptance Intention and Library Application Model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on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echnology in Libraries
저자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2023. 8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140p.; 26cm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the Acceptance Intention and Library Application Model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on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echnology in Libraries
지도교수:노동조
참고문헌: p.
UCI식별코드
I804:11028-200000692405
소장기관
A Study on the Acceptance Intention and Library Application Model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on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echnology in Libraries
As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ncreases, various studies are being attempted, but studies that reflect the lates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actual industrial sites are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most of the studie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studies that identified trends and prospects for related technologies, so research that appli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libraries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chnology readiness and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use technology for public library libraria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ublic library librarians, and a total of 202 survey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6.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26.0 statistical program. For hypothesis tes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ptimism of technology readiness index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ptimism and innovative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and discomfor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ird, optimism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and anxie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theses according to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Cognitive trus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intention to use.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with emotional trust, discomfort and anxiety responded sensitively to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anxiety and intention to use.
As a follow-up study, a library service model that can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braries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ypes and technology tren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lication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Furthermore, the public library's job area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business management, collection development, user service, and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plans applicable to each area were proposed.
This study has an academic achievement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ibrary use for librarians working in public library sites and presented specific utilization plan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library application service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echnology based on the case in which the core technolog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d in the library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ot only expected to be a basic reference for artificial intelligence's use of libraries, but also to provide library field practitioners with guidance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s library service policy and the direction of libraries.
인공지능 기반 기술의 도서관 활용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수용의도 및 도서관 적용 모델에 관한 연구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최신의 인공지능 기술을 실제의 산업 현장에 반영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가 대부분 관련 기술에 대한 동향, 전망들을 파악한 연구들이어서 인공지능 기술을 도서관에 적용한 연구 사례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기술준비도와 기술수용요인이 기술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2명의 설문 데이터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였고, AMO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유용성은 기술준비도의 낙관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감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에는 낙관성과 혁신성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편함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모두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의도에서 낙관성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감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따라서 가설 간 관계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지적 신뢰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서적 신뢰가 있는 집단에서 불편함과 불안감은 지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불안감과 사용의도에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속 연구로서 인공지능의 유형 및 기술동향 분석,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 적용사례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도서관 서비스 모델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공공도서관 직무영역을 경영관리, 장서개발, 이용자 서비스, 정보시스템 등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도서관 활용을 위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구체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학술적 성과와 함께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이 도서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반 기술의 도서관 적용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의 도서관 활용에 대한 기초적인 참고자료가 될 뿐 아니라 도서관 현장 실무자들에게도 향후 인공지능의 도서관 서비스의 정책 수립에 대한 활용 및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