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선택적 함묵아의 담임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Research on a Homeroom Teacher's Experiencing Conflicts with a Selective Mutism Chil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90(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eacher’s conflicts that a homeroom teacher experience with a selective mutism child who is 5th grade student us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classroom and school setting. A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qualitative data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pictures and reflective diary. Based on these data, a researcher applied two individualized educational activities for a selective mutism child of the class. As a result of this paper, a researcher as a homeroom teacher experienced four kinds of conflicts resulted from the experience with a selective mutism child. A researcher experienced such as 1) confusion between consideration and waiting, 2) conflict between person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3) dilemma of teacher identity, and 4) sorrow and pleasure of growth potential. But a selective mutism child didn’t give me conflicts. She gave me good conditions that a researcher could be a good teacher. A researcher found four meaning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a selective mutism child. First, a researcher could grasp the phase of deeply understanding about various students. Second, a researcher could appreciate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caring strategy for selective mutism children. Third, a researcher could appreciate early detection and quick prescription. Fourth, a researcher c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chool and classroom research in terms of teacher professionalism.
더보기이 연구는 한 선택적 함묵아의 담임교사를 맡은 연구자가 학교생활을 통해 드러난 일련의 교육 활동 속에서 경험하는 갈등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참여 관찰, 면담, 성찰 일지, 사진 자료, SNS 등과 같은 다양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하나의 유기적 체제로 보고 각 자료들 간의 연결성, 위계성,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반성적 성찰은 초기 의미를 더욱 상징적으로 정교화함으로써 질적 연구가 가진 특징인 점진적 주관성을 지향하는 데 기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가 경험한 갈등으로 배려와 관망 간의 혼란, 개인화와 개별화 사이의 갈등, 교사정체성에 대한 딜레마,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절망이라는 4가지를 표면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나리는 연구자에게 갈등만을 안겨 주지 않았다. 개나리와의 경험은 성장과 고통이 함께하는 ‘성장통’으로 교사로서 한 단계 성장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개나리 담임교사로서 경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 다양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국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아이들에 대한 입체적 돌봄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조기 발견 및 즉각적인 처방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넷째, 교사 전문성 신장의 측면에서 현장 기반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를 통해 선택적 함묵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차원에서 선택적 함묵증에 대한 연구 수행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