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한정책 -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와 안정을 위한 대안- = The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Toward Korea: An Alternative for Permenant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5-314(20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towards Korea in analyzing the early Korea-U.S. relations between 1871-1905,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for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To attain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is paper will divide the period of Korea-United States relations into three stages. The first one is the conflict period, 1871-1881. This period is viewed as conflict because there was a terrible war between both nations.
The second period is of Korean expectation towards the United States, 1882-1895. During this period the Korean government expected some assistance from the United States because Korean government faced a great many internal disturbances and external interventions from China and Japan.
The third period is a frustration, 1896-1905. The expect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United States will help us," was nullified by the United States' acquiescence to Japan's suzerainty over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Taft-Katsura secret memorandum signed on July 29, 1905. The memorandum became one of the factors which made it possible for the Japanese to dominate the Korean Peninsula as a colonial state.
In the above situation, King Kojong made his every efforts to achieve the permanent neutral policy of Korea towards the four powers in order to rescue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In addition, Kojong also sent six times the special missions to President Theodore Roosevelt for obtaining some help from the United States. Kojong, however, gained nothing from him, and failed completely. To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Korea should become a permanent neutral state as Kojong pursued.
이 글의 목적은 1871년부터 1905년까지 초기의 한국1)과 미국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미국의 대한정책을 이해하고,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와 안정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이 글은 편의상 1871년부터 1905년까지의 한국과 미국의 관계를 3단계로 구분해서 분석한다. 제1단계는 1871~1881년으로 한국과 미국간에 전개된 전쟁을 포함한 대립적 관계로 한국이 미국을 배척한 갈등기이다.
제2단계는 1882~1895년으로 한-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됨으로써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한국문제에 대한 내정간섭과 개입을 견제할 수 있는 미국의 개입과 지원을 고대한 기대기이다.
제3단계는 1896~1905년으로 한국이 미국의 안보지원을 기대했으나, 미국은 일본과 태프트-가쓰라 비밀각서를 통해 한국에 대한 일본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서울주재 미국공관을 폐쇄함으로써 한국인을 실망시킨 좌절기이다.
태프트-가쓰라 각서는 1905년 7월 29일 동경에서 미국의 육군장관 태프트와 일본의 수상인 가쓰라 타로 간에 체결된 비밀협정으로 일본은 미국의 식민지인 필립핀을 침범하지 않은 대신, 미국은 한반도에 대한 일본의 종주권을 인정한 것이다. 동 각서는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고종(高宗)은 일본의 한국 지배를 방지하고 한국에서 외국군간의 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이 한국의 영세중립 정책을 보장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지원을 받지 못하고 1904년 1월 20일 일방적으로 영세중립을 선포했다. 고종은 추가적 조치로 미국의 지원을 위해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6회의 특사를 파견하고 지원을 호소했으나, 루스벨트는 한국을 지원하지 않았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국은 고종이 추구한 영세중립국이 되어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3-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48 | 0.88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