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반계시의 실제와 복음과의 관계성: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 General Revel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Gospel: A Reformed Perspective
저자
박승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8-67(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일반계시의 교리를 탐구한다. 본고에서는 일반계시의 실제와, 중요성 및 의미와 더불어 일반계시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논의된다. 논의를 위하여 해당 주제에 대한 네덜란드의 개혁신학자 G. C. 베르까우어(Gerrit Cornelis Berkouwer)와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의 신학적 관점이 소개되고 다뤄지는데, 전자가 후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주목을 받는다. 베르까우어는 일반계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담은 저서 De Algemene Openbaring(1951)에서 해당 교리에 대한 사변적인 접근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살아 계신 하나님과의 관계성과 그리스도의 복음과의 연관성에서 이를 해설한다. 베르까우어의 작품에서 일반계시에 대한 바빙크의 논의가 긍정적인 방식으로 인용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바빙크 자신은 일반 계시에 속하는 다양한 영역에 대한 담론에서 풍부하고 확장된 내용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베르까우어와 바빙크의 관점과 함께 칼빈(Calvin)을 비롯한 다른 신학자들의 관점도 다루는 주제에 대한 논의에 포함시킴으로써 일반계시 자체의 의미와 중요성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복음과의 긴밀한 연관성과 관계를 제시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일반 계시의 신학적, 실천적 중요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더보기This paper explores the doctrine of general revelation from a Reformed perspective. The discussion focuses not only on the reality, significance and meaning of general revelation itself, but also its relationship with the gospel of Jesus Christ. Theological perspectives of the Dutch Reformed theologians Gerrit Cornelis Berkouwer and Herman Bavinck on the subject will be introduced and discussed, with the former receiving comparatively more attention than the latter. In his book De Algemene Openbaring (1951), which contains his views on general revelation, Berkouwer opposes speculative approaches to the doctrine and explains it in its relationship to the living God and its intimate connection to the gospel of Christ. In Berkouwer’s work, Bavinck's discussion of general revelation is cited in a positive manner. Bavinck himself offers expanded content in discourse on various areas that fall under general revelation. Together with the perspectives of Berkouwer and Bavinck, Calvin and other theologians’ views are incoporated in the paper’s discussion on the subject, and in doing so the article will present not only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eneral revelation itself, but, at the same time, its intimate connection and relationship to the gospel of Jesus Christ. In this way, the paper strives to point out the theolog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general revel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