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추체험을 통해 본 臺北故宮博物館本 <明皇幸蜀圖>의 작품성 = An articity of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t Taipei National Palace Museum through the vicarious experie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5-128(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is a result by looking deeply into an articity of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t Taipei National Palace Museum. Also, this study helps us experience the emperor Xuanzong's inner world through a work of literature based on the ‘Xìng shǔ’, through this, it considers an articity carefully of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t Taipei National Palace Museum by analyzing a painter's intention hidden in the paintings.
From the painter’s insight into the emperor Xuanzong's inner world in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t Taipei National Palace Museum, there is a negative feeling mainly such as a sense of grief and loss. However, it mainly uses the drawing technique of Qīng lǜ shānshuǐ and it is a remarkable work with splendid coloring especially in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t Taipei National Palace Museum, To be in harmony between protagonist’s inner world and contrary drawing technique to his inner world, the painter uses a ‘light and shade modification’ and ‘composition arrangement’ actively. For this, the painter creates a special atmosphere by describing the light and shade of painting inversely. As the emperor Xuanzong is situ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 at the bottom of painting after having a space sense of the front and the rear and also above and below maximally, it shows the emperor Xuanzong’s circumstance and his inner world efficiently as a protagonist that he can be, but can not be completely.
In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t Taipei National Palace Museum, it tries to make a phrased balance from each different content and form in describing a theme. Thus, it maximizes an articity more as a result, moreover, it adds depth to the emperor Xuanzong’s the ‘Xìng shǔ’ by building a big amplitude in his inner world through an incompatible parallel line between the emperor Xuanzong’s feeling and discordant outside world. Therefore, it is a work of outstanding artistic merit regarding maximizing an articity through a paradoxical balance between the emperor Xuanzong’s internal psychology interspersed with a sense of grief and loss and the splendid drawing technique of Qīng lǜ shānshuǐ in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t Taipei National Palace Museum.
본고는 臺北故宮博物館本 <明皇幸蜀圖>의 작품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이다. ‘행촉(幸蜀)’ 모티프를 공유하고 있는 문학작품을 통해 당 현종의 내면세계를 추체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가의 창작의도를 분석하면서 臺北故宮博物館本 <明皇幸蜀圖>의 작품성을 고찰하였다.
臺北故宮博物館本 <明皇幸蜀圖>의 화가가 바라본 현종의 내면세계는 슬픔과 상실감이 주를 이루는, 부정적인 감정으로 점철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臺北故宮博物館本 <明皇幸蜀圖>는 화려한 색채미가 두드러지는 청록산수의 화법으로 그려졌다. 주인공의 내면세계와 상치되는 화법 사이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 화가는 ‘명암의 변형’과 ‘구도의 배치’를 적극 활용하였다. 화가는 그림의 명암을 역(逆)으로 표현하면서 현 상황의 특수함을 표현했다. 그리고 그림 전-후, 상-하 공간감을 최대로 확보한 뒤, 우측하단 구석진 자리에 현종을 배치함으로써 ‘주인공임에도 완전한 주인공이 될 수 없는’ 당시 현종의 처지와 그 내면세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臺北故宮博物館本 <明皇幸蜀圖>는 주제를 표현하는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닌 내용-형식을 두고, 이에 대한 단계적 조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결과적으로 작품성을 높이는 성과로 이어졌다. 주인공 내면의 정서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외부세계는 상극(相克)의 평행선을 이루고, 더 큰 진폭을 형성하며 감상자에게 수용됨으로써 현종의 ‘행촉(幸蜀)’이라는 주제에 그 깊이를 더하게 되었다. 따라서 臺北故宮博物館本 <明皇幸蜀圖>는 슬픔과 상실감으로 점철된 현종의 내면과 화려한 청록산수의 화법이 역설적 조화를 추구하면서 작품성을 극대화시켰다는 점에서 그 예술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4 | 0.507 | 0.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