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양육비의 생존권적 의미에 대한 대법원의 오해 - 소위 ‘배드파더스'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 (2022도699)을 중심으로 - = The Supreme Court’s Misunderstanding of the Child Support as a Right to Survival - Focusing on the Supreme Court’s Ruling in the So-called ‘Badfathers’ Case (2022 Do. 699) -
정부는 2025. 7. 1.부터 양육비 선지급제도를 시행하여 중위소득 150% 이하의한부모 가족에 한하며 양육비로 월 20만원을 지급한다. 이 금액은 미성년 자녀를양육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정부가 이렇게 낮은 수준으로 양육비를 책정한 배경에는 그간 사법부가 가지고 있는 양육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깔려있다. 이러한 인식이 반영된 대표적인 사례가 인터넷사이트 “배드파더스”에 양육비 미지급자의 신상(성명, 출생년도, 거주지역, 직업 및 직장명, 얼굴사진 등)을 공개한 행위에 대한수원고등법원과 대법원의 판결이다.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은 사람의 신상을 공개한 사이트 운영자에 대하여 1심법원은 무죄를 선고하였지만 수원 고등법원과 대법원은 사이트 운영자에 대하여 유죄를 선고하였다. 유죄의 이유로 수원 고등법원과대법원은 신상을 공개한 목적에 ‘비방할 목적’이 있고 신상공개가 인터넷을 통하여이루어졌으며 신상공개로 인하여 명예훼손이 이루어졌음으로 정보통신망법 제70 조 제1항을 적용하여 배드파더스 사이트 운영자에 대하여 벌금 100만원형을 정하고 선고유예를 하였다. 그러나 이 판결에는 다음과 같은 비판이 주어진다. 우선 신상공개 행위의 목적은 “양육비 지급을 촉구함, 양육비 미지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킴”임으로 정당한 목적으로서 ‘사람을 비방할 목적’이 없다. 수원고등법원과 대법원은 명예훼손 여부를 논증할 근거로 ‘비방할 목적’이 있음을 입증하는입증상의 잘못을 범하였다. 따라서 이 사례에는 정보통신망법 제70조 제1항을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수원 고등법원과 대법원은 행위목적과 결과불법을 잘못 이해한다. 행위목적은 어떤 행위를 할 때 가지고 있었던 궁극적인 목표, 근본적인 이유를말한다. 이 행위목적은 그 행위를 중심으로 목적을 파악하여야 한다. 그와는 반대로, 하나의 행위가 만들어 내는 결과에 따라 행위목적을 달리 평가하여서는 아니된다. 그러나 수원 고등법원과 대법원은 행위목적을 결과에 따라서 달리 평가할 수있다고 보는 오류를 범한다. 여기에 더하여 수원 고등법원과 대법원은 신상공개로인하여 충돌하는 법익을 비교형량하는 과정에서 양육비가 가지는 자녀의 생존권으로서의 의미를 고려하지 않았다. 양육비를 지급받을 권리는 헌법 제36조 제1항에근거하는 하나의 기본권이므로 국가는 양육비가 적절하게 이행될 수 있도록 입법, 행정, 사법을 통하여 노력할 책무를 지며, 이때에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할 것은 양육비가 가지는 자녀의 생존권으로서의 의미, ‘자녀의 복리’이다. 그러므로 법원도 양육비 미지급과 관련된 사건을 심판하면서 ‘자녀의 복리’가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양육비 미지급자의 신상을 공개하는 행위에 대하여 심판하면서 법익형량을 할 때에 ‘자녀의 복리’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신상공개 행위가 정당한 행위라고 인정하고 이 사건에 무죄의 판결을 하였어야 한다.
더보기Beginning July 1, 2025,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ll implement a child support advance payment system, limited to single-parent households earning less than 150% of the median income. Under this system, 200,000 KRW per month will be provided as child support. However, this amount is insufficient for raising minor children. The government’s decision to set such a low level of child support stems from the judiciary’s longstanding misconceptions about child support.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the rulings of the Suwon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regarding the “Bad Fathers” website, which disclosed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names, birth years, residential areas, occupations, workplace names, and photographs) of individuals who failed to pay child support. While the trial court acquitted the operator of the website, the Suwon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found the operator guilty. The Suwon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justified their conviction by stating that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was made with the “intent to defame,” that the disclosure was conducted via the internet, and that it caused reputational harm. Consequently, they applied Article 70(1) of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and imposed a fine of 1 million KRW on the website operator, with a suspended sentence. However, this ruling warrants the following criticisms.
First, the purpose of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was to “urge payment of child support and raise public awareness of unpaid child support,” which constitutes a legitimate purpose and does not include “intent to defame.” The Suwon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erred in their reasoning by relying on flawed evidence to establish the existence of “intent to defame.” As such, Article 70(1)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is inapplicable in this case. Second, the Suwon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misinterpre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of an act and the illegality of its consequences. The purpose of an act refers to the ultimate goal or fundamental reason behind the action, which must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act itself. Conversely, the purpose of an act should not be evaluated based on its consequences. However, the Suwon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erroneously concluded that the purpose of the act could be altered based on its results. Additionally, the Suwon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failed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child support as a component of the child’s right to survival when balancing the conflicting legal interests arising from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 to receive child support is a fundamental right grounded in Article 36(1) of the Constitution, and the state bears the obligation to ensure its proper enforcement through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means. In this context, the paramount consideration should be the significance of child support as a means to secure the child’s right to survival and overall welfare. Therefore, when adjudicating cases related to unpaid child support, courts must prioritize the welfare of the child above all else. Accordingly, when determining the legality of disclo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non-compliant parents, courts should have recognized the disclosure as a justified act and ruled for an acquittal, given its alignment with the child’s welfa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