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문화 관련 자료의 매핑과 의미 -과천의 인구 및 행정구역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 Mapping of lcoal cultural materials and its meaning -focused on the change of Gwacheon population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5-277(3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최근 전자적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생성되고 수집되는 데이터의 유형을 살펴보면 비정형 데이터가 압도적으로 많고 그 규모 또한 점차 거대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하고 대규모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러한 시도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대체로 비정형 데이터의 형태인 지역문화 관련 자료는 최근 정보와 지식의 가치 활용을 중요하게 여기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아주 중요한 지적 자산으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문화원연합회와 지방문화원은 지역문화자원을 발굴하는 대표 기관으로서, 지금까지 전국 229개 문화원에서 약 150만여 건 이상의 지역문화자원을 발굴 및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이 기관들의 지역문화자원의 규모는 시간이 흐르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대규모로 축적되는 자료 및 정보의 적극적 활용과 관련하여 자연히 정보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정보와 지식을 시각화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그 가운데 매핑은 정보 속에 담긴 공간과 시간에 대한 시각화(visualizing), 개념화(conceptualizing), 기록(recording), 재현(representation) 그리고 창조(creation)가 이루어지는 장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비정형 데이터의 구조화와 시각화에 초점을 두고, 2011년 지역문화자원정보화시스템 구축에 참여하면서 확보한 자료들 중에서 과천 지역 자료의 매핑을 부분적으로 시도하였다. 이 매핑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그 의미를 소개하고자 했고, 궁극적으로 기존의 콘텐츠를 이해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천 지역 자료의 매핑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데이터 구조화와 매핑을 통해 융합 연구를 시도하였고, 그 연구 결과로 기존 자료 및 연구 성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추가가 가능했다. 둘째, 시각화를 통해 개별적인 데이터나 정보의 스토리텔링이 가능할 수 있다. 매핑 과정 중 자료에 대한 의미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었다. 셋째, 시간적 흐름을 나타내는 역사적 변천 자료의 경우 시각적 매핑을 통해 그 자료가 갖고 있는 성과 특성이 새롭게 드러난다. 하나의 개별 자료가 갖고 있는 제한적 시간의 길이는 연결과 구조화를 통해 다시 확장되었고, 이러한 시도는 개별 자료 자체를 다시 새롭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확장된 시간적 흐름 속에서 정보의 양적 및 질적 변화는 보다 분명하고 파악되었다. 결국, 인문학의 연구 성과들은 대개 비정형 데이터 또는 정보로 제시된다. 따라서 정보의 시각화는 대중의 직관적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인문학과 대중 사이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또한 인문학 연구 성과를 시각화함으로써 그 활용도는 보다 쉽고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더보기Looking into the type of data produced and collected on the electronic network, they are overwhelmingly the unstructured data and their volume is getting huge. Therefore, it tends to be getting more important to structualize and analyze big data, and to find out and use new meanings out of themMost materials related to local culture are unstructured data, and they are regarded as important intellectualassets today when the use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gets noticed. As the representatives, which discover local culture materials on a nationals scale, the Federation of Korean Cultural Cente (KCCF) and 229 Local Cultural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have more than 1.5 millions units of local cultural materials. And the volume of them is naturally getting bigger as time goes on. Recently, information visualization draws attention in relation to active use of materials and information. The ways of visualization are quite various, and mapping is just like the field of visualizing, conceptualizing, recording, representing, and creating a visual space against a certain moment. Focusing on structualization and visualization of unstructured data, I joined in building up the information system of local culture materials and resources in 2011, where I got some data on Gwacheon region and have tried to do mapping with them. By mapping, I have explained the process of deducting new reading of data and introduced its translation. And ultimately, I have examined how it would affect the understanding of existing contents. I got the following by mapping and analyzing local materials of Gwacheon region: First, I tried for a convergent research by structualizing and mappingof data, and it allowed me to read the exiting materials in new way and take out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m. Secondly, the visualization of data made it possible to do storytelling of dispersed information, because we can see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the materials have in themselves. Thirdly, visual mapping of historical cultural materials which are in traces of flowing time is likely to reveal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them. Also, it contributes to easily finding out quantitative andqualitative changes under time flow. Finally, the studies and results of the humanities are usually the unstructured data o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can enhance intuitive understanding by the mass, and in return, we can get the possibility of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humanities andthe mass. In addition, the chance of using the results of the human studies can become easier and more various owing to visualization of data.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7-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3 | 0.823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