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해안 필사본 무가의 존재양상과 기능적 특성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03-341(39쪽)
제공처
무당에 의해 제작된 필사본은 사설의 학습과 교육 또는 기억의 보조수단으로 이용된다. 이 글에서는 필사본의 전형이 비교적 완벽하게 채록되어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필사본의 존재양상과 기능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필사본 이본의 분석을 통해 살필 수 있었던 것은 필사자의 지역·무계·세대별로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무권역이나 무집단, 또는 시대별로 나타나는 필사본의 양상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박주원의『염불책』과 이옥분 소장본은 동해안 무가 중에 가장 이른 시기에 필사된 것이다. 두 이본에는 부산·경남과 경북으로 지역적 편차가 존재하고 다수의 불경과 불교가사가 포함되었다. 불경이나 불교가사가 무의례에서 구연된 배경에는 무불이 융합된 종교·문화적 전통이 자리하고 있다.
김창수본에는 다수의 불경과 불교가사가 생략되었으나, 불교의 교의를 설명하는 방식인 '-설법', 불경을 뜻하는 '-법문'을 써서 불교적 느낌을 준다. 그 외에도 작자의 창조적 능력에 따라 임의로 한시의 시구를 인용하여 제목에 명기하였다.
『강릉단오제무가』에는 연행과 관련된 제차, 무악, 의상 및 소도구, 악기, 소요시간 등이 자세하게 기록되었다. 현재 사용하지 않은 무복과 무구가 활용되었고, 현재 행하는 심청굿 거리가 제외되어 있었다.『강릉단오제무가』를 통해 1966년 이전 강릉단오굿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정무록(正巫錄)』과 김용업본은 개별 제차별로 잘 기술되어있는『강릉단오제무가』 보다도 훨씬 풍부한 무가를 수록하고 있다. 박주원의『염불책』과 이옥분 소장본이 불경이나 불교가사를 독립하여 기록한 것에 반해,『정무록(正巫錄)』은 불경을 무가의 중간이나 끝에 삽입하여 기술하여 굿거리의 완성도를 높였다.
김장길본과 김명대본은 가장 최근에 필사된 것이다. 김장길본은 다른 무집단이던 김용업의『정무록(正巫錄)』과 동일한 사설을 공유하기도 하고 서로 다른 사설이 쓰이기도 했다. 김명대본의 경우에는 김장길본과『정무록(正巫錄)』의 사설을 굿거리에 따라 취합했다.
필사본은 현행 의식자료로서 중요하다. 연행본과 달리 굿거리 구조 형성에 치중한다. 연행본의 모본이 되기도 하고, 굿을 배우는 사람에게는 구연대본이 되기도 한다. 비록 필사본이라 하더라도 거기에는 다양한 구술적 속성이 반영되어 있으며, 구연의 현장성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무당들에게 있어 연행을 지속할 수 있도록 기억의 유지와 저장을 보조해주는 장치로써 기능하고 있다.
The handwritten sample which the shaman keeps was used with the system which helps studying and an education and a memory of the song. This writing examined laying stress on handwritten sample that original state is recorded relatively. Could observe through the handwritten sample analysis is that difference was seen by writer's area, descent, age general classifications. The result which it tries to observe territory, shaman group, or time the handwritten sample aspect appeared especially different.
The handwritten sample as ceremony data of now is important. A play script attaches importance different in Gutgari structure formation. The original sample of the play script becomes to do, the oral narration script becomes does in the person who learns a shamanism.
The handwritten sample does though but to that place the oral statement quality which is various is reflected. And it is refle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 site characteristic of oral narration. Also the handwritten sample to be to shaman and it will be able to continue taking in order, the function which it assists it is doing.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