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을 위한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위기청소년의 긍정적 정서와 적응적인 학교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구조를 구성하고, 두 활동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통합적인 접근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학교생활부적응 문제로 잠재적으로 학업중단 위기에 있거나 학업지속의 의지가 부족하여 학업중단 의도를 갖고 있는 청소년 20명이며,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1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 2회, 총 16회기의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이 지각하는 학업중단 위험성과 회복탄력성, 학교적응유연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정서와 행동의 변화과정을 내용분석하여 구체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은 학업중단 위험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이 지각하는 학업중단 위험성에 대한 외적태도와 내적태도 및 부모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학업중단 위험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은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개인내적 보호요인으로 살펴본 청소년의 내부자원과 외부자원 및 사회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은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개인내적 보호요인으로 살펴 본 학교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 및 학교규범 준수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유연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정서와 행동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정서와 행동변화를 확인하고 변화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정서조절의 변화과정을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정서와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이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학업중단위기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하는 통합적인 접근방안은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예방적 접근방법의 영역을 확대시키고 긍정적인 정서와 적응적인 학교생활을 위한 심신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youth out-of-school prevention program using brain gym & artful therapy for dropout adolescents in an attempt to promote their positive emotions and school adaptation.
    In the first place for that purpose, the study established the structure of youth out-of-school prevention program using brain gym & artful therapy for dropout adolescents and sought integrated approaches to supplement the limits of the existing research for dropout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adolescents who were in the danger of temporarily being out of school or had an intention to quit school owing to the lack of the will to continue learning, comprising each 10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10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wice per week and totally 16 sessions of the youth out-of-school prevention program using brain gym & artful therapy for dropout adolescen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youth out-of-school prevention program using brain gym & artful therapy, the study measured the risk of quitting school, youth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s perceived by dropout adolescent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nalysis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nd analysis methods used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o examin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the study conducted the Mann-Whitney U test to check preliminary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ird, study conducted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urth,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changing process of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the dropout adolescents shown while the related program was carried out and was able to spot detailed changes.
    The study had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Youth out-of-school prevention program using brain gym & artful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he danger of quitting school. In other words, there appear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external attitudes, internal attitudes and attitudes to parents in regard to the danger of quitting school as perceived by dropout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ing in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anger of quitting school.
    Second,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resilience among dropout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re appear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internal resources, external resources and sociability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protective factors among dropout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ing in their significant increase of youth resilience.
    Third,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In other words, there appear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interest in school and attitude toward academic achievements as well as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protective factors among dropout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ing in their significant increase of youth resilience.
    Fourth,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change of emotions and behaviors among dropout adolescents while it was carried out. The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for problematic behaviors and changing process of emotional adjustment among the dropout adolescents in an effort to ascertain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and examine causes for the change.
    These findings may have implications for it that the youth out-of-school prevention program using brain gym & artful therapy for dropout adolesc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ng dropout adolescents from quitting school. Along the way, integrated approaches using brain gym & artful therapy for dropout adolescents may, as another contribution, expand the scope of measures to prevent dropout adolescents from quitting school and have also suggested the potential for their mental/physical healing for their positive emotions and school adaptation.
    Therefore, integrated approaches as such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methods for clinical research related with dropout adolescents and for development/application of involved programs. These approaches will also help prevent them from quitting school.

    더보기
    • 목 차
    • 표 목 차 ⅳ
    • 그림목차 ⅵ
    • 국문초록 ⅶ
    • Ⅰ. 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8
    • 1. 학업중단위기 청소년 8
    • 1)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개념 및 정의 8
    • 2)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특성 11
    • 3) 학업중단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16
    • 2.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24
    • 1) 두뇌활성화 신체활동의 이론적 기반 24
    • 2) 두뇌활성화 신체활동의 개념 및 효과 27
    • 3)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학업중단위기 청소년 33
    • 3.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37
    • 1)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을 위한 예술매체 프로그램 37
    • 2) 두뇌활성화 신체활동과 예술매체를 활용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 41
    •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46
    • 1. 연구문제 46
    • 2. 용어정의 47
    • Ⅵ. 연구방법 50
    • 1. 연구대상 50
    • 2.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구성 56
    • 1)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구성과정 56
    • 2)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목표 58
    • 3)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예비연구 실시 60
    • 4)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진행구조 68
    • 5)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실시 69
    • 3. 연구절차 83
    • 4. 측정도구 85
    • 5. 자료분석 92
    • Ⅴ. 결과 및 해석 93
    • 1.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이
    •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이 지각하는 학업중단 위험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93
    •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학업중단 위험성 사전 동질성 93
    • 2)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 실시 후 학업중단위험성 변화 95
    • 2.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이
    •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100
    •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회복탄력성 사전 동질성 100
    • 2)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 실시 후 회복탄력성 변화 101
    • 3.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이
    •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105
    •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학교적응유연성 사전 동질성 105
    • 2)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 실시 후 학교적응유연성변화 105
    • 4.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의
    •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의 정서변화 내용분석 109
    • 1)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학업중단위기 청소년 정서행동 변화 110
    • 2) 두뇌활성화 신체활동 및 예술매체활용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프로그램
    •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학업중단위기 청소년 정서조절 변화 117
    • Ⅵ. 논의 및 결론 139
    • 참고문헌 148
    • 부 록 166
    • Abstract 193
    더보기
    • 1 정광조, "예술치료",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 2 주리애, "미술치료학",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0
    • 3 김갑숙, 최오선, 이미옥, 최선남, "미술치료기법",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6
    • 4 Zimmer, R., "움직임과 이완", (김문주 역)서울: 학지사, 2007
    • 5 이미리, 박은미, 조성연, "학업중단청소년", 한국아동학회, 한국아동학회지. 30(6), 391-403, 2009
    • 6 이근매, "뇌과학과 미술치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2010 추계학술대회. 73-77, 2010
    • 7 조용태, "뇌과학과 예술치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학술대회, 84-90, 2010
    • 8 문용린, "슈퍼러닝을 아십니까?", 한국뇌과학연구원, 10(-), 38-39, 2008
    • 9 문용린, "다중지능과 잠재력개발", 국제뇌교육협회 컨퍼런스, 10, 41-51, 2006
    • 10 우남희, "뇌발달과 아동의 인지발달", 동덕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 9, 158-168, 2004
    • 11 김계현, "보상에 민감한 청소년의 뇌",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뇌기반교육학습자료, 2014
    • 12 김정숙, 최인재, 장근영, 이경남, "2015 학교밖 청소년 실태조사", 휴먼컬처아리랑,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 여성가족부, 2016
    • 13 옥금자, "청소년임상미술치료 방법론", 하나의학사, 서울: 하나의학사, 2005
    • 14 김진숙, "예술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Keapa Press, 서울: 키파프레스, 2001
    • 15 김영희, 오정아, 김정운, "청소년의 학업중도포기 과정", 한국청소년학회,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1(5), 141-168, 2014
    • 16 곽윤정, "뇌발달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뇌교육연구, 1(1), 59-79, 2006
    • 17 박현선, "학업중퇴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12(2), 69-82, 2004
    • 18 김교옥, "미술치료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 아시아문화학술원,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 21. 7(2), 117-134, 2016
    • 19 하태민, "심리적 안녕감의 뇌교육적 함의",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뇌교육연구. 2, 47-75, 2008
    • 20 최혜순, "유아교육에 관한 뇌 과학적 접근", 생활과학연구, 14, 180-182, 2007
    • 21 배영태, "학업중단청소년 실태와 지원대책", 학업중단청소년 지원정책세미나 자료, 2012
    • 22 김경철, 홍정선, "뇌과학에 기반한 유아놀이의 이해", 교원교육, 22(4), 21-46, 2006
    • 23 조아미, "청소년의 학교중퇴 의도 결정요인",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9(2), 1-22, 2002
    • 24 남상인, "학교중퇴, 청소년문제행동의 이해", 자녀안심운동 서울협의회, 2000
    • 25 김계현, "뇌친화적 교수-학습 수업활동 연구", 한국뇌기반연구소, 2013
    • 26 박성수, "학업중단예방의 필요성과 향후방안", 교육정책포럼: 245, 7(9), 1799-4325, 2013
    • 27 Greenfield, S., "Brain Story. (정병선 역). 브레인스토리", 서울: 지호, 2004
    • 28 교육부, "2016년 교육기본통계 주요내용. 2016, 08", 30 붙임자료, 1-43, 2016
    • 29 최정윤, "정서와 정서표현에 대한 아동의 이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30 배영태, "“학교중도탈락의 선행요인과 판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11(2), 23-35, 2003
    • 31 이병환,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응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29(1), 175-196, 2002
    • 32 금명자,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 제. 14(2), 299-317, 2008
    • 33 정종진, "뇌기능과 학습력 향상을 위한 브레인짐",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7
    • 34 정종진, "숨겨진 뇌를 깨우는 테니슨 두뇌체조법", 서울: 한인, 2004
    • 35 한국교육개발원, "학업중단 청소년 및 대안교육 실태조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개발원: 정책연구과제, 2002
    • 36 류정현, 장희선, 문용린, "한국 청소년들의 부정직 행위 유형분석", 한국인간발달학회, 한국인간발달학 회. 17(2), 85-106, 2010
    • 37 김영희, 최보영, "학업중단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6(2), 145-175, 2015
    • 38 이애령, "청소년비행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39 유진이,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심리적 기도방안", 청소년학연구. 16(11), 229-257, 2009
    • 40 도종수, 박창남, "청소년 학교중퇴의도의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0(3), 207-238, 2003
    • 41 고기홍, "학업중단 청소년 문제와 상담적 개입방안", 제주대학교 상담.봉사센터, 학생생활연구, 24(-), 117-136, 2003
    • 42 김래선, 황수진, 조규필, 이현진, 양대희, 박현진, 김범구, "학업중단청소년의 학 교 재적응 과정연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경북대학교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59(4), 969-1000, 2011
    • 43 공윤정, 최영희, 이정실, 오혜영, 양대희, 박현진, 김범구, "학 업중단 청소년 유형별 상담매뉴얼 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 구. 167, 2012-84, 2012
    • 44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9(4), 315-337, 2012
    • 45 박효정, 한유경, 정찬호, 정제영, 윤철경, 오인수, "위기학생 진단 및 교육적 지원 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 46 최상근, "학업중단위기 학생의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0-12. 한국교육 개발원, 2010
    • 47 이병환, "대안교육을 통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 방안",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55(1), 69-89, 2007
    • 48 양은주, 이자영, 강석영, "잠재적 학업중단을 위한 개입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 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148, 1-268, 2009
    • 49 조혜정,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997
    • 50 김선아, 윤철경, 류방란, "학업중단현황 심층분석 및 맞춤형 대책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10-R33, 2010
    • 51 Frankl, V. E., "The unconscious god. (임헌만 역). 무의식의 하나님", 서울: 그리심, 1976
    • 52 남기곤 ( Ki Gon Nam ), "고등학교 단계 학업 중단의 경제적 효과 추정", 서강대학교 시장경제연구소(구 서강대학교 경제연구소), 서강경제논집, 40(3), 63-94, 2011
    • 53 구본용, 유제민, "중퇴에 관한 위험 및 보호요인의 신경망 모형",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1), 133-146, 2003
    • 54 김혜영, "“학교중도탈락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9(3), 242-265, 2002
    • 55 김유미, "두뇌 기반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0, 247-270, 2002
    • 56 양수택, "위기청소년들의 신체활동 의미탐색 요인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57 권이종, "학업중단 아동과 청소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아동청소년가족포럼: 제4회 정책토론회. 11-42, 2010
    • 58 박윤희, "ETC 모형에 기반한 미술치료의 신경과학적 접근", 불교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6
    • 59 권현진, "인천지역 학업중단 청소년의 실태와 지원 방안", 인천발전연구원, 101. 연 구보고서, 04., 2011
    • 60 김강호, 최인재, 윤철경, 유성렬,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15-R17, 2015
    • 61 McNiff, S., "통합예술치료: 역사와 이론 및 실제. (윤혜선 역)", 서울: 이담Books, 2008
    • 62 이민경, 정연순, "교사들이 지각한 잠재적 학원중간의 유형과 특성", 한국교육. 35(1), 79-102, 2008
    • 63 곽윤정, "뇌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뇌교육연구, 2(1), 1-17, 2008
    • 64 김유미, "동작교육의 두뇌 생리학적 근거와 교육적 시사점", 한국체육교육학회지. 4(2), 280-296, 2005
    • 65 박윤희, "미술치료의 예술적 표현에 관한 신경과학적 고찰",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연구, 17(2), 497-518, 2010
    • 66 유성경, 이소래,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에 대한 개입체계 개발 연구",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8
    • 67 김한나, 최은지, 정재민, 노승현, "청소년의 학업중단위험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 구",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 16(10), 6584-6594, 2015
    • 68 Rubin, J. A., "Rubin의 통합적 예술치료 읽기. (최소영, 김혜정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 69 김민규, 신우열(Shin Woo-Yeol),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 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 년연구, 20(4), 105-131, 2009
    • 70 김연봉, 윤선아, "뇌기반교육과 뇌교육의 이론적 기초와 관련성 고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국제뇌교육 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뇌교육연구. 9(8), 79-104, 2011
    • 71 양은주, 방나미, 강석영,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열 린교육연구. 19(1), 89-125, 2011
    • 72 Wadeson, H.,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장연집 역). 미술심리치료학", 서 울: 시그마프레스, 1985
    • 73 홍미옥, "두뇌체조가 ADHD 아동의 주의산만행동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74 신혜숙, "뇌 교육이 내포하는 세 가지 교육영역의 특징과 의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뇌 교육연구, 1(1), 13-33, 2006
    • 75 장연심,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미래청소년 학회지, 4(1), 123-136, 2007
    • 76 Lown, B., "The Lost Art of Healing. (서정돈 역). 치유의 예술을 찾아서", 서울: 몸과 마음, 2003
    • 77 하태민,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 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78 성윤숙(Sung Yun-Sook),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16(2), 295-343, 2005
    • 79 김성기, "한국과 미국의 학업중단현상 및 대책에 관한 비교연구", 초등교육연구. 25(2), 141-160, 2012
    • 80 김현영, "ADHD 청소년의 정서조절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대구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81 Demos, J. N., "Getting started with neuro feedback. (권형규 역). 뇌교육 뇌치료", 경기: 교육과학사, 2009
    • 82 송수경, "청소년 대상 예술치료 연구 동향: 최근 10년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치료연 구, 10(3), 155-179, 2014
    • 83 오미경, "뇌교육이 청소년의 긍정정서와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한국청소년환경 학회, 13(4), 219-228, 2015
    • 84 김명숙, "비행 청소년의 성행동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청주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85 소수연, 홍혜영, "학교를 떠나려는 아이들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청소년 상담심포지엄. 87-157, 2001
    • 86 전성수, "뇌에 기반한 심리형성의 매커니즘과 미술적 치료의 의미", 미술교육논총. 24(1), 249-276, 2010
    • 87 조아라, "중고등학교 학업중퇴생 증가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88 유방란, "학교부적응 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2007
    • 89 Zimmer, R., "움직임 교육의 이해. (김경숙, 주성숙, 김도연, 최지현 역)", 서울: 대한미디어, 2010
    • 90 허정남, "뇌교육을 통한 창의, 인성교육 운영 사례 및 실태분석연구", 한국교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91 김내한, "두뇌체조 프로그램 수업에서 부적응 학생의 정서변화 탐색", 경인교육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92 구자경,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 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 구, 10(3). 309-330, 2003
    • 93 김현미, 정민선, 유순덕, "잠재적 학습중단 청소년의 학업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상담연구. 19(1), 87-105, 2011
    • 94 유성경, "청소년 탈비행과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38(3), 81-106, 2000
    • 95 남효순, "뇌기반교육에 기초한 유아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96 이다미, "학업중단위기 청소년을 위한 해결중심과 이야기치료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97 공윤정, 오혜영, 박현진, 김범구, "현장상담자들이 인식한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 과 개입방안", 청소년학연구. 153-179, 2013
    • 98 강은주, "위기청소년의 정서조절력 향상을 위한 집단영화치료프로그램", 경성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99 이병욱, 임유화,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3(2), 1-16, 2014
    • 100 문선화, 이춘기, 신심중, "중등학교 중퇴자의 학교복귀를 위한 학교사회사업의접근 방안", 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부산대학교 사회복지연구, 8(1), 185-207, 1998
    • 101 김효진,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02 문선영, "통합예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 예술치료 연구. 8(1), 275-301, 2008
    • 103 정재민,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과 예방을 위한 실천전략개발 질적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문 화포럼. 30. 66-81, 2012
    • 104 박현선, "“청소년의 학업중퇴 적응과정에 대한 현실기반 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 지학, 53, 75-104, 2003
    • 105 서성식, 이지현, 이근영, 송미향, 배진형, "경기도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 지원을 위한 지역 사회 연계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연구 2015-3, 2015
    • 106 김승란, "두뇌체조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 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107 조정아, "청소년의 학교적응 잠재유형 분류와 생태체계적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 소년연구, 23(1). 277-309, 2012
    • 108 서영석(Young Seok Seo), 최정윤(Jeong Yoon Choi), 최유리(Yuri Choi), 박성화(Sung Hwa Park), 김재훈(Jae Hoon Kim), 이은정(Eun Jung Lee), "학업중단위기청소년을 위한 학업중단 예방 프로그램 개관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407-436, 2015
    • 109 김경식, "중・고교 중퇴생과 재학생 교내 생활비교를 통한 중퇴요인 분석", 교육사 회학연구. 7(3), 115-138, 1997
    • 110 나숙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Schzophrenic의 사회행동증진효과", 서 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11 Jensen, E., "Introduction to brain-compatible learning. (정종진 역). 뇌기반교육의 원 리", 서울: 학지사, 2010
    • 112 박진성, 조춘호, "단전호흡수업과 스포츠활동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4(-), 155-165, 2000
    • 113 양국선, "중퇴경험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특성 연구",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114 강도형, 하태민, 정봉영, 장래혁, 이건호, 안승찬, 김성웅, 김미영, "뇌과학에 기반 한 학생 창의, 인성 함양 및 학습력 증진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1
    • 115 김성일, "뇌기반 학습과학: 뇌과학이 교육에 대해 말해주는 것은 무엇인가?", 한국인지과학회, 인지 과학. 17(4), 375-398, 2006
    • 116 유숙희, "집단게임놀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대전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17 이부연, "“미술과 융합 STEAM 교육을 통한 두뇌발달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과학문 화전시디자인연구소, 17(-), 293-304, 2014
    • 118 김유미, "뇌호흡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습능력 및 정서안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한국 아동교육학회, 16(1), 5-17, 2007
    • 119 류남애, "등교거부 학생을 위한 학교상담자용 단기개입모형의 개발 및 적용", 부산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120 전익진, "통합예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121 김유미, "교수-학습에서의 정서의 중요성과 활용: 뇌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 교육. 30(1), 155-176, 2003
    • 122 정종진, "두뇌체조의 이론적 기초와 학교 학습에의 적응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 국교육심리연구. 19(4), 897-916, 2005
    • 123 강영배, 윤지은,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청소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 연 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문화포럼. 33-69, 2014
    • 124 고병진, 심준영, "청소년의 자기조절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뇌발달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16(9), 1-29, 2009
    • 125 팽혜원, "집단게임놀이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 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126 신종호, 조영환, 이현주, 이규민, "신경과학, 교육심리, 인지심리 연구를 통해 본 뇌기반 교육의 타당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7(4), 87-109, 2006
    • 127 황춘옥, "알코올중독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단주군과 음주군의 비교", 남 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28 윤미경,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적응유연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홍익대학교 대학원, 홍 익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129 김은옥,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학교적응력 향상 집단 상담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130 김완태 ( Wown Tai Kim ), 민경옥 ( Kyung Ok Min ), "Paul Dennison의 두뇌자극운동법이 전두부 뇌파 활동 패턴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50(0), 1-26, 2010
    • 131 김택호, 배숙경, "통합예술치료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0(1), 233-261, 2013
    • 132 김성기, "학업중단 및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이해와 지원방안. 교육정책포럼", 한국교육개발원, 2013
    • 133 김유미, "뇌 기반 교수-학습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 42(1), 83-106, 2004
    • 134 김현선, "대두뇌체조가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가지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35 이연숙, 김옥엽, 원유미, "전라북도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의식 및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분석", 한국상담학회,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5(3), 725-741, 2004
    • 136 조아미, "청소년의 여가만족도, 생활만족도,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총서. 5(-). 169-189, 2006
    • 137 김로라(Kim, Ro-Ra), 이조경(Lee, Jo-Kyoung),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3(9). 53-81, 2016
    • 138 심준영 ( Jun Young Shim ), 성인제 ( In Je Seung ), "뇌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집중력 및 전두부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8(3), 19-36, 2009
    • 139 박미정, 이에스더,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 그램 개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음악교육공학, 14, 245-262, 2012
    • 140 Carr, R., Hass-Cohen, N., "Art Therapy and Clinical Neurosicence. (김영숙, 여 영 역). 미술치료와 임상 뇌과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 141 Rubin, J. A., "The art of art therapy. (김진숙 역). 미술심리치료 총론: 예술로서 의 미술치료", 서울: KEAPA Press, 2001
    • 142 교육부, "2015학년도 학업중단학생 전년대비 4,836명 감소: 2016, 09, 29 보도자료, 2016, 10", 15 내려받음, 2016
    • 143 권해수, 이소영, 안현의,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의 욕구와 심리적 경험 조사. 학교 를 떠나는 아이들",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46, 19-31, 2002
    • 144 김윤희, "학습부진아동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집단게임놀이치료프로그램의 효 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45 김정숙, "학습부진아의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통합예술치 료프로그램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46 손은정, "학업중단위기 특성화고 학생의 집단미술치료 경험 연구: 현실요법의 적 용",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47 권소연, "게임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 사례 연구: 아동의 또래관계개선을 중심으 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48 서재민, "두뇌 및 스트레칭 체조 프로그램에서 학습부진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변 화",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49 김영수, "두뇌체조 신체움직임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 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150 남상인, 이재규, 이숙영, "중도탈락 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청소년상 담연구(총서), 1-223", 한국청소년상담원, 1997
    • 151 임인섭, "초기 청소년의 정서능력과 뇌 정보처리 특성이 외현화 문제 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 감성과학, 9(4), 307-319, 2006
    • 152 이혜영, "학업중도탈락의 실태와 학교에서의 대처방안: 학업중도탈락과 청소년복 지",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7-23, 2001
    • 153 김은실,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원교육, 31(3), 167-191, 2015
    • 154 임경희, "두뇌체조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 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155 김재호, 허영준, 채영병, 정철영, 이광호, 서우석,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중도탈락 개선을 위한 진로지도 및 상담활성화 방안",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26(1), 106-133, 2007
    • 156 김범구,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심리사회적 특성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157 유옥현,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REBT 집단프로그램 모형 개발: logic Model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158 김형모, 양지원,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661-673, 2015
    • 159 정유미, "놀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60 이천무, "뇌과학연구 동향 및 시사점.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사업 동향브리프, 11(08), 1-4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실, 2011
    • 161 박성원, 이선주, "뇌기반 예술교육 융합연구의 현황: 애니메이션 드로인 교육을 위 한 기초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6, 237-257, 2014
    • 162 원유병, 유광옥,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과 학교생 활적응의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3), 61-72, 2009
    • 163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학업중단위기학생을 위한 길라잡이: 학업중단 숙려제 매뉴얼", 인천교육, 2014-0126, 1-126, 2015
    • 164 신지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표현예술치료가 산재환자의 PTSD 증상감소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65 석주영 ( Jo Yeung Suk ), 박인전 ( In Jeon Park ), 안옥희 ( Ok Hee An ), "집단게임놀이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166 정여주, "통합예술치료가 인터넷중독 고교생의 인터넷 사용조절과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15(3), 555-570, 2008
    • 167 이정하,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44-345, 2006
    • 168 양경화,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의 적응강화를 위한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69 양국선(Gook Sun Yang), 장성숙 ( Sung Sook Chang ),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특성 연구 : 야간실업고등학교 근로청소년 대상",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27-148, 2001
    • 170 박경화,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자아효능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71 김영진, "뇌 기능 특성에 기초한 수업체제 개발 및 적용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172 김정희,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불안 및 감정 표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173 이정모, "뇌기반 학습과학 페러다임, 제1회 뇌기반 학습과학 심포지엄 자료집. 55-82.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3
    • 174 정여주, 한국화,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우울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2), 119-135, 2009
    • 175 구본용, 신현숙, "중퇴생, 중퇴 고위험 및 저위험 재학생의 비교:개인 및 사회, 환 경,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6(3), 121-145, 2002
    • 176 조아미, 윤철경, 유성렬, 서정아,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종단 후 경로: 학업 중단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1), 1-323, 2014
    • 177 이주연, 정제영,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간의 ‘힘겨루 기’에 대한 질적 연구", 교육학연구, 53(3), 89-118, 2015
    • 178 김선아,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반청소년의 개인사회적요인과 중단 후 경험 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216-226, 2012
    • 179 성동제, "위기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과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 정자기효능감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80 이선영, "비행청소년에 대한 통합치료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게슈탈트 치료기 법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181 Atkins, S., "통합적 표현예술치료: 예술과 삶의 창조적 과정. (최애나, 이병국 역) 서울: 푸른솔. Atkins", Sally, 2008
    • 182 김태희, "청소년의 정서조절과 정신건강을 위한 정서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의 개발 및 적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83 최외선, 장혜경,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가치관과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6(2), 499-513, 2005
    • 184 양은주, 이유영, 김한주, 이자영, 강석영,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18(2), 225-241, 2010
    • 185 박성혜, "특별교육 대상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집중적 집 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울불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186 주정옥,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문제행동 아동의 우울, 불안, 정서 지능 및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0(1), 77-92, 2010
    • 187 정수지, "ADHD 아동의 정서지능향상과 문제행동감소를 위한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188 음윤성,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 및 자기효능감, 또래관계질 향상을 위한 집 단게임놀이 프로그램", 대전대학교 대학원,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89 박지영,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190 김옥희, "정서조절능력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 191 Rogers, N., "The Creative Connection- Expressive Arts as Healing. (이정명 역). 인간중심표현예술치료. 서울 : 시그마프레스",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2007
    • 192 김현옥, "집단미술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중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12(3), 75-108, 2015
    • 193 박재숙, "학교위험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중퇴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과다사용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 11(3), 1-23, 2009
    • 194 전효경, "학교적응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및 학습 내적통제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195 김세영, 박부진,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효 능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아동과 권리, 15(3), 455-479, 2011
    • 196 Jensen, E., "Brain-Based learning-The New Paradigm of Teaching. (손정화, 이정화 역). 뇌기반학습: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수법",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1
    • 197 김영희, 곽현주,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음악치료,미 술치료,무용동작치료,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치료연구, 9(3), 185-203, 2013
    • 198 최외선, 백경미, "학급단위의 교류분석적 미술치료 운영형태가 초등학생의 자아존 중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한국미술치료학회, 19(5), 1173-1191, 2012
    • 199 송언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불안과 우울성향, 학교 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200 신경희, 최인경, "뉴로아트테라피: 뇌과학과 예술치료 및 심신의학을 기반으로 한 통합적 심신치유기법의 개념과 원리",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7, 199-225, 2011
    • 201 이지혜, "정진선, 이수진 일상생활에서 예술매체의 활용이 청소년의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 연구. 10(2), 263-286, 2014
    • 202 김미희, "집단게임놀이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 활적응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치료연구, 10(3), 111-130, 2014
    • 203 이희숙, "청소년 부모의 자녀양육 스트레스 극복 및 부모효능감 향상을 위한 통합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204 김혜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사이코드라마를 활용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205 정제영, "학업중단 예방정책의 발전방향. 학업중단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 책의 발전방향 주제발표Ⅰ, 13-46",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 206 오지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우울 성향 여자 중학생의 우울, 정서조절,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207 윤지현, "집단게임놀이치료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실행기 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208 문용린, "학업중단위기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2009 연구지 원사업 연구과제 합동발표회, 27-51",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 2009
    • 209 김인선,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효과-인간중심미술치료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치료학회, 예술치료연구, 9(2), 1-31, 2009
    • 210 구본용, "학교를 떠나려는 아이들, 예방과 지원방안. 학업중단예방 및 학교 밖 청 소년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특강, 1-12",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 211 김미희, 김정일, "신체놀이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령기 아동의 또래관계 기술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13(4), 123-139, 2015
    • 212 이서경,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있는 중학생의 우울과 자기통제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213 허은하, "잠재적 중도탈락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입에 관한 연구: 인지, 정서, 행동모델을 적용하여", 한일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214 최보영, "고등학생의 진로성격 유형에 따른 부모 진로지지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 능감의 관계: Holland 진로탐색 검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40, 31-50, 2011
    • 215 이정명, "소마(soma), 정서적 몸(emotional body) 그리고 이들 재료의 창조적 변형: 타말파 연구소의 삶, 예술과정(Life Art process)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 20, 85-105, 2012
    • 216 이상경, "놀이를 통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고등학생의 성취 동기, 진로결정, 자아효능감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217 양지원, "학교부적응 청소년에 대한 해결중심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에 관한 연구-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의 사전사후 비교를 중심 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