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y researchers have regarded private tutoring as “shadow education.” A shadow is a silhouette; it is subordinate to the substance. Its size changes with the angle of the light, and it is dark. In light of these attributes, private tutoring as a shadow is characterized, first, by its boundaries being unclear and ambiguous. Second, it is dependent on the public education curriculm, especially content. Third, it is more flexible than public education in terms of form. Fourth, it has the dark and negative risk of hindering the complete pursuit of truth or balanced or broad-based development of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educational policy with shadow as a metaphor for private tutoring are as follows. The phenomenon of shadow education conversely affecting public education can be compared to a shadow encroaching on the body. This reveals that private tutoring as shadow education is no longer subordinate or supplementary to public education. Recently, there has been a strong tendency to regard education as a means of obtaining favorable positional goods. The direction of private tutoring policy should move toward pursuing the essence of education while accepting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classes in public education. Private tutoring requires a policy that strengthens educational accountability. By focusing on “the good life (well-being)” of students, how to understand private tutoring along with public education is left as a future task.
더보기사교육 연구자들은 사교육을 공교육의 ‘그림자’로 비유해 왔다. 메타포로서의 ‘그림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그림자는 실루엣이고, 본체에 종속적이며, 빛의 각도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고, 어둡다. 이러한 속성에 비추어 볼 때, 그림자로서의 사교육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첫째, 그 경계가 불분명하고 모호하다. 둘째, 공교육의 교육과정, 특히 내용 면에서 의존적이다. 셋째, 형식면에서 공교육에 비해 유연하다. 넷째, 온전한 진리 추구나 학생의 균형있는 발달을 저해하는 어둡고 부정적인 위험성을 안고 있다. 사교육의 은유로서 ‘그림자’가 주는 교육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그림자 교육이 역으로 공교육에 영향을 주는 현상은 그림자가 본체를 잠식하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 이것은 그림자 교육으로서의 사교육이 더 이상 공교육에 종속되거나 보충적인 성격만 갖는 것이 아님을 드러내 준다. 최근 들어, 교육을 좋은 위치재의 획득 수단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것은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공교육은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좋은 교육이고, 사교육은 위치재를 획득하기 위한 나쁜 교육이라는 이분법적 패러다임에 갇히게 되면, 우리는 이 둘의 관계를 제로섬 게임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 사교육 정책의 방향은 공교육에는 맞춤형 개별화 수업 등을 활용하며 교육의 본질을 추구하도록 하고, 위치재 획득 경쟁에 매몰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사교육에는 교육적 책무성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림자로서의 사교육에서 벗어나, 사교육이 공교육과 더불어 학생들의 ‘좋은 삶(웰빙)’ 추구에 비추어 이해할 가능성은 없는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