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려의 다원적 종족 구성과 ‘我國·我東方’ 의식의 추이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9-145(37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소장기관
고려에서는 초기부터 다양한 이종족·이국인이 내조·내헌과 내투·내부의 방식을 통해 한시적 거주 내지 영구 거주하면서 고려 해동천하를 이루고 있었다. 고려 해동천하에서 탐라·발해 출신은 한인 출신과 같이 국가명을 출자로 표시하여 관리되었지만, 한인 출신과는 다르게 고려 사회에 깊이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한편 여진, 거란, 몽골 등 북방 출신은 그 종족명으로 출자를 표시하였지만 고려 정부에서 종족 단위로 파악하여 관리하였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여진 등은 지역적, 공간적 통제로 관리되었다. 그런 배경 속에 고려에서는 ‘族類’가 조선 전기와 달리 같은 친족의 사람이란 좁은 의미로 활용되었다. 종족과 유사한 용어인 ‘遺種’ ‘種類’도 그 의미를 특정하기 힘들게 활용되었고 송으로부터 들어와 정부에서도 알고 있었던 ‘種族’ 용어도 활용되지 않았다. 그와 같은 고려의 ‘종족’ 인식 위에서 고려의 자기의식도 점차 조정되어 갔다.
고려 초기부터 태조 왕건과 최승로로 대표되는 국왕과 신료의 사고 범주 중심에 ‘우리나라(我國)’가 있었고 ‘아국’으로의 집단귀속의식은 강조, 하공진 등으로 대표되는 ‘고려인’으로서의 강렬한 귀속의식이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거란과 대립 속에서 발전된 지방인들의 집단귀속의식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그 위에 ‘我東方’ ‘我海東’ ‘我大邦’ ‘我日月’ ‘我乾坤’ 등으로 표현되는 해동천하로서의 집단귀속의식이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아일월’과 ‘아건곤’은 백성과 함께 하는 소천하로서의 면모를 가지고 있었고, 해동천하에서는 이종족도 ‘우리’로 포함되어 ‘我蕃軍’이 보고문에서 활용되었다. 이는 지리 공간을 중심축으로 하는 집단귀속의식으로서의 성격을 보여준다.
고려 중·후기 국제관계의 변화 속에서 고려의 역사의식은 과거로 확장되어 갔고 ‘우리나라’의 ‘우리(我)’는 과거 우리나라의 왕조를 포괄하는 의미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고려 말에 ‘고려인’은 선조 혈통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개념으로 조정되어갔다. 고려 전기의 국가귀속의식을 보여주는 ‘고려인’이 고려 말에 와서는 종족적인 함의를 품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우리 동방(我東方)’도 기자 이래 수천년 역사를 담는 개념으로 조정되었다. 이는 고려 말로 갈수록 시간을 중심축으로 한 집단귀속의식으로 점차 조정되어 갔던 것을 보여준다.
‘삼한’은 韓이란 출자로 표현된, 정체성 있는 역사적 영역세계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시간을 중심축으로 한 집단귀속의식을 잘 보여주는 것이지만, 韓이 셋으로 분리된 것을 내포한 것이란 점에서 근원적으로 하나의 우리 종족 단위가 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그런 한계는 고려 후기 ‘조선’의 재발견을 통해 극복되었다. 고려 말 ‘조선’은 고려의 별칭으로 활용되었고 國祖로서의 ‘조선’이 외교문서에서도 활용된 결과, 이후 신왕조 개국 후 조선으로 국호가 결정되는 배경이 되었다.
Since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various ethnic groups and foreigners have been living in Goryeo for a while or for a long time. Various species and foreigners were not managed by ethnic groups but by local control. Against this backdrop since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the king and his officials had a strong sense as a Goryeoin(高麗人). Such a sense of belongingness was composed of the state and the units of the Goryeo world. The sense of belongingness as a member of the Goryeo Dynasty was expressed as the consciousness of Aguk(我國). And the one as a member of the Goryeo world was expressed as the consciousness of Adongbang(我東方). However in a common historical experience, such as the loss of the eastern and western jurchens of Goryeo, the long-standing war with Mongols and Yuan interference, the sense of history of Goryeo expanded to the past in search of a root that could not be shaken. During the chan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term "Goryeoin(高麗人)" was used based on ethnic consciousness, and Samhan(三韓) which had a limited ethnic meaning, was replaced by Joseon(朝鮮).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1.012 | 0.2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