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과 기술을 컨버전스(Convegence)한 ‘테크놀로지 아트(Technology Art)’ 사례 연구 : 실감미디어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 2024. 8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700.105 판사항(23)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 Case Study of ‘Technology Art’ through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Techology : Focused on Immersive 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형태사항
290 p.; 26 cm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서용석
참고문헌 수록
UCI식별코드
I804:11028-200000810030
소장기관
무용과 기술을 컨버전스(Convergence)한 ‘테크놀로지 아트(Technology Art)’ 사례 연구 - 실감미디어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 본 논문은 ‘테크놀로지 아트’의 사례를 연구하여 무용과 기술의 컨버전스를 기반으로 ‘실감미디어’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술적 시도를 탐구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발전이 예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미래 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술의 발전은 무용의 표현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용의 미래를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술과 기술의 컨버전스 역사는 고대 그리스어 테크네에서 시작된다. 테크네는 생산과 제작의 기술을 의미한다. 르네상스 이후 예술은 심미적 측면을 강조하며 기술과 구분되었으나, 현대에 들어 기술과 예술의 컨버전스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실감미디어’는 관객에게 실감을 제공하는 기술로, 무용과의 컨버전스를 통해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제공한다. ‘인공지능’은 안무, 작곡 등 다양한 예술 창작 활동에 적용되며, 예술가의 창의성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실감미디어’와 ‘인공지능’을 함께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두 기술이 상호 보완적이기 때문이다. ‘실감미디어’는 무용 공연의 몰입감을 극대화하여 관객의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고, ‘인공지능’은 창작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예술가가 창의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상호 보완적 관계는 무용 콘텐츠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형태의 예술 창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실감미디어’와 ‘인공지능’의 컨버전스가 예술 창작에 있어 중요한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몇 가지 한계점도 지적한다. 특히 많은 예술과 기술 컨버전스 프로젝트들에 대한 체계적인 아카이빙이 부족하다. 이는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부재로, 후속 연구에 필요한 자료 접근성을 저해하고 예술과 기술의 컨버전스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실감미디어’와 ‘인공지능’의 컨버전스가 예술 창작에 있어 중요한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체계적인 아카이빙과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무용과 기술의 컨버전스를 통해 새로운 예술적 표현과 창작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술과 기술 컨버전스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이를 통해 무용 예술의 미래를 제시하고, 무용 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과 문화적 가치를 확장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실감미디어’와 ‘인공지능’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후속 연구에서는 무용과 기술의 컨버전스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술들의 개념을 정리하고, 본 연구 사례들의 장 · 단점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도출하며, 기술 발전 방향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무용과 기술의 컨버전스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기술 · 예술적 요소들을 제시한다. 이러한 후속 연구는 무용과 기술의 컨버전스가 예술 창작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예술과 기술의 컨버전스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This paper investigates cases of ‘Technology Art’ by exploring artistic attempts that utilize ‘Immersive 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technology. The aim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art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artistic development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transforming the expression of dance, necessitating an exploration of the future of dance.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has historical roots in the ancient Greek word techne, meaning the art of production and craftsmanship. Post-Renaissance, art emphasized aesthetic aspects distinct from technology, but modern times have seen an acceleration in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Immersive Media’ provides a sense of reality to the audience, offering new artistic experiences through its convergence with danc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pplied in various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such as choreography and composition, supplementing or potentially replacing the creativity of artists. The study of ‘Immersive 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gether is crucial because these technologies are complementary.
‘Immersive Media’ enhances the immersive experience of dance performances, enriching the audience's exper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offers new ideas during the creation process and automates repetitive tasks, enabling artists to focus on creative work. This complementary relationship enhances the quality of dance content and enables new forms of artistic creation.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t potential of the convergence of ‘Immersive 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artistic creation while also identifying several limitations. Specifically,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rchiving for many art and technology convergence projects. This lack of accessible databases hinders subsequent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art and technology convergence. Therefore, the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systematic archiving, ongoing interest, and support.This paper makes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presenting new artistic expressions and creation methods through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technology. It proposes the future direction of dance art and plays a crucial role in expanding the industrial utilization and cultural value of dance content. Additionally, by exploring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Immersive 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t opens up new possibilities across various art fields. Future research will organize the concepts of the main technologies used in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technology. It will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ases studied in this research to derive improvements and explore directions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This subsequent research aims to present technical and artistic elements to further develop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technology. By doing so, it will concretely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technology on artistic creation and industry, thereby promoting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