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수목원의 보전 기능을 중심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Conservation Function of the Arboretum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centered on the conservation role of the arboretum, this study sets the priority goal of understanding forest ecosystems and practicing actions through fostering awareness of forest species conserva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which is the program design procedure, by setting detailed educational goals. For a total of 3 month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conducted in the children's education space of the National Arboretum, ‘Supiiorae’ for children and adult leaders. We tried to repor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transcriptional discours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showed that the average of items exceeded 4.3 or higher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5-point Likert scale, indicating high satisfaction with both operation and content. Definitions and behavioral aspects have improved compared to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among them, awareness of protected species such as endangered wildlife and rare endemic plants in forest ecosystems, expression of forest ecosystem conservation measures, and practice of forest life behavior were ranked in the top order. This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achievement standar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oal of the program of conservation of forest organism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orest ecosystem.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 in the same area between the items, and it is meaningful to see the connectivity to think from the overall perspective in terms of the forest ecosystem system.
The program centered on the conservation function of the arboretum had the potential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place as an arboretum, as well as to inspire the participan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will to practice conservation. Therefore, by suggesting a follow-up study on the sense of place in the arboretum, we want to consider what the program the arboretum should aim for.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provides valu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eaningful experiences that can change the behavior of participants as non-formal educa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through qualitative improvement of arboretum education.
이 연구는 수목원의 보전적 역할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목적인 산림생태계 이해 및 산림생물종 보전 의식 함양을 통한 행동 실천이라는 우선 목적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인지, 정의, 행동적 차원의 세부 교육목표를 설정하여 프로그램 설계 절차인 ADDIE 모형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총 3개월간 어린이와 성인 인솔자를 대상으로 국립수목원 어린이 교육공간인 ‘숲이오래’에서 실행을 통해 기술통계, t-검정,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정량 분석과, 전사 담화를 활용한 정성 분석을 통해 적용의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 만족도는 5점 리커트 척도 기술통계 결과로 항목 평균이 4.3 이상을 상회하여 운영․내용 만족이 모두 높았으며, 학습목표에 대한 성취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후 분석한 결과, 인지, 정의, 행동적 측면이 프로그램 실행 이전보다 향상되었고, 그중에서도 산림생태계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이나 희귀특산식물과 같은 보호종에 대한 인지, 산림생태계 보전 방안에 대한 표현, 산림생물 행동 실천 순으로 상위에 나타났는데, 이는 산림생태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산림생물 보전이라는 프로그램 교육목표에 따른 성취 기준에 적합하였다. 항목 간 동일 영역에 상관계수가 높았으며, 산림생태계라는 시스템으로 보면 전체적 관점에서 사고하고자 하는 연결성이 보인 것이 유의미하다고 보여진다.
수목원의 보전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보전에 대한 지식, 이해, 실천 의지를 고취시키는 것은 물론 수목원이라는 장소에 대한 인식을 가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수목원에서의 장소감에 대한 후속 연구 제안을 통해 수목원이 지향해야 할 프로그램은 무엇인지를 고민하고자 하며, 추가적으로 보전 기능뿐만 아니라, 수집, 증식 기능이나 자원화와 같이 수목원의 장소적 역할과 기능을 알리고, 교육적 가치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를 기반으로 수목원 교육의 질적 향상을 통하여 비형식교육으로서, 생태환경교육으로서 참여자의 생활 속 행동을 변화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현장에서 노력하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5-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8-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4-2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환경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2 | 0.94 | 0.3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