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와 방향 = Principles of Designing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Classroom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7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5-221(37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은 국어 수업 환경의 최근 변화 상황, 국어 수업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와 방향에 관해 모색해 본 것이다.
국어 수업 환경 가운데 국어 교육에서의 최근의 변화관은 쓰기 혹은 쓰기와 읽기의 관계에 대한 특별한 강조, 학교 교재 이외의 다른 시판 국어 학습서의 증대, 국어수업에서의 학생 선택권에 대한 남다른 인식, 국어과에서의 범교과적 통합에 대한 높은 관심, 국어과 평가에서의 발달적 평가관의 대두 등이다. 국어 수업 환경 가운데 국어 교육에서의 과제의 변화는, 문식 능력에 대한 견해, 학생 및 교사 수행에 대한 기대치, 이해 및 표현 활동에 관한 학생 성취에 대한 책무성, 학교 교실에서의 학생들의 구성 분포의 변화, 효과적인 언어 기능 교육 과정을 위한 노력 등이다.
국어 수업에 대한 기본적 이해 가운데 국어 수업의 핵심 가치는 다음 네 가지다:국어 교육의 궁극적 지향점; 국어 수업이 제공해야 할 경험의 성격; 국어 수업 시간에반드시 밟아야 할 과정; 국어 수업이 다른 교과와 달리 특히 강조해야 할 책무성.국어 수업에 대한 기본적 이해 가운데 국어 수업 과정에 대한 관점은 사회적 구성주의적 관점이 큰 흐름인데,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는, 과정으로서의 언어 기능 학습을 능동적이고 적극적 과정; 사회적이고 상호 작용적 과정; 인지적 과정; 정서적과정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 가운데 국어과 교수−학습의 기본 원리로는 다음 일곱 가지를 들 수 있다:학습자 중심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 개별성의 원리; 실제성의원리; 과제 기반성의 원리; 활동 지향성의 원리; 상호 작용성의 원리.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 가운데 좋은 국어 수업 설계를 위한 기본 방향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필 수 있다. 첫째, 초등 국어 교육이란 관점에서의 국어 수업 설계의 방향; 둘째,초등학교 과정에서의 국어 학습의 과제란 관점에서의 방향; 셋째, 초등학교 단계에서의 국어 수업 과정에서의 절차라는 관점에서의 방향.
This paper aims to research on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designing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classroom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Principal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Recently, there are several changing views conce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greater emphasis on writing and its relationship to reading;greater use of trade books combined with the use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s; increase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tudent choice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s; increased attention the integration of the language arts with each other and across the curriculum;appearance of perspective on developmental assessment.
(2) The task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 global, informational society have many changed comparing with 10 ~ 20 years ago:change of thinking about literacy in our society; expectation for performance of student and teacher have increased; responsibility about student performance in terms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change of students' popul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trouble for effective language arts curriculum.
(3) Core valu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are as follows: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efficient promotion of Korean language abilities); nature of experiences that Korean language classrooms will serve(experiences related with acception and production of multiple media−text materials); obligatory cours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similar with authentic language use out of classrooms);especially emphasized responsibiliti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different from other learning subjects(learners' own responsibilities concerned with all communications).
(4) The process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according to building approach of certain perspective expose very different appearances. Having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learning language arts is as follows:learning language arts can be explained an active, a positive process; a social, interactive process; a cognitive process; an affective process.
(5) Basic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as follows:learner−centred; integration; individuality; authenticity; task−based; activity−directed; interactivity.
(6) Basic directions of designing effective Korean language classrooms can be discussed as follows:perspective abou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spective about basic task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perspective about special emphasis about processe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 | 0.9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4 | 1.458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