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유적 집장묘의 계통과 성격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1-227(37쪽)
KCI 피인용횟수
0
비고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제공처
소장기관
통화 만발발자 유적은 고구려 물질문화의 기원 및 계승 관계를 밝힐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특히 기원전 4~3세기경에 출현한 토광묘와 집장묘는 선고구려문화의 기원과 백제 계승 관계를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자료이다. 이 유적에서는 모두 21기의 토광묘가 발견되었는데, 모두 관곽을 사용하지 않은 순수토광묘이며, 이른 시기의 A조 토광묘와 늦은 시기의 B조 토광묘로 구분된다. 집장묘인 20호와 21호는 하나의 묘광에 4인과 35인이 매장되어 있다.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20호는 지배층 무덤, 21호는 일반 계층을 집단 매장한 무덤으로 볼 수 있다. 무덤의 시간적 추이는 기원전 4세기경 처음으로 만발발자 유적에 A조 토광묘가 출현하며, 이후 B조 토광묘로 변화하면서 기원전 3세기경까지 석관묘, 대개석묘 등과 함께 사용되다가 기원전 2세기경에는 적석묘로 전환되고 있다.
만발발자 토광묘의 기원은 고조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가와자유형에서 찾을 수 있다. 기원전 5세기경 요서 지역에서 요동지역으로 유입된 토광묘가 점차 주변으로 확대되면서 기원전 4세기경에는 혼강 유역까지 전파되었다. 만발발자 유적 토광묘 사용집단은 체질인류학적으로 고동북유형에 속하며, 당시 요동과 장백산맥 일대에 거주하던 고조선 혹은 예맥계 종족으로 볼 수 있다. 유적에서 다량의 설치류 동물 뼈와 가공에 사용되는 석기, 운송에 사용되던 말 재감 멈치 등이 출토되고 있고, 당시 이 지역의 특산품이 모피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만발발자 유적의 성격은 혼강 유역의 모피 중간집하지로 볼 수 있으며, 주민집단은 주로 주변지역에서 사냥한 모피동물을 수합하고 가공하여 공급하는 일에 종사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집장묘는 비정상적 사망에 의한 결과로, 전염병이 발생하여 많은 사람이 사망하는 긴급 상황에서 조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합민망합 유적과 1910년대 동북지역 페스트 유행 자료를 통해 보면 설치류 동물과 관련된 페스트 창궐과 관련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나, 기타 다른 전염병에 의한 결과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선고구려문화의 백제 계승과 관련하여 석촌동고분군 대형 토광묘와 비교해본 결과 문화내용과 시간적으로 동질성이 확인되지 않아 계승성을 연결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Tongwha Wanfabozi ruins of pit burial and mass graves provide important data to clarify the origin of the ancient Goguryeo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ion of Baekje.
In these ruins, 21 pit burials were found, divided into early group A pit burials and late group B pit burials. Among them, the mass graves are M20 and M21, and 4 and 35 people are buried in one grave pit. Group A pit burials first appeared in Wanfabozi ruins around the 4th century BC, and later changed into group B pit burials, and were used together with stonecoffin tombs and Dolmen until around the 3rd century BC, and then converted to stone-mound tombs by the 2nd century BC.
The origin of the pit burial of the Wanfabozi ruins can be found in the Zhengjiawozi Type in Liaodong region,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Gojoseon culture. The group using the Wanfabozi ruins pit burial belonged to the Paleo-Northeast type in Physical anthropology, and it can be seen as a Gojoseon or Yemaek-type race that lived in the Liaodong and Changbaek Mountains at that time.
The character of Wanfabozi ruins is the middle collection of fur in the Hon River basin, and can be understood as a community engaged in the livelihood of collecting, processing, and supplying hunted fur animals.
The background of the mass graves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in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die due to an epidemic. The type of infectious disease is most likely a plague associated with rodents.
In relation to the succession of culture to Baekje, a comparison with the large-scale pit bourial in Seokchon-dong Ancient Tombs shows that the commonalities and succession between the two is not confirmed in terms of culture content and tim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0.98 | 2.155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