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학교 교사용 과정 중심 평가 전문성 척도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of Process-based Assessement Scale for Middle School Teachers' Expertis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Process-based Assessement Scale for meddle school teachers' expertise to enhance the assessment competencey.
Methods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scale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a theoretically grounded definition of teacher’s evaluation expertise and Process-based Assessment was refined and revis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teache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A pilot test was conducted on samples of 315 middle school teachers to perform Rasch item fit, category probability curve, item difficul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statistical programs Jmetrik, AMOS 22.0, SPSS 26.0 were used.
Results The result supporting the model fit, construct,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5 factors. And the item fit, categorical probability curve, and item difficulty on the five-point scale were also acceptable. Consequently, 16 items were derived with 5 factors: ‘understanding Process-based Assessment’, ‘establishment of Process-based Assessment plan’, ‘development of Process-based Assessment tool’, ‘execu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and ‘sharing and utiliz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results’.
Conclusions We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e aspect of the diffusion and substantialization of the policy, especially, as a tool for measuring educational performance outcomes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scale will be used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middle school teachers by identify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m to have Process-based Assessment expertise.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평가전문성 제고를 위해 과정 중심 평가 전문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있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교사의 평가전문성과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적 정의를 기반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평가전문가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가 집단 회의를 실시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교육경력과 교과를 고려하여지원자 표집과 스노우볼 표집을 활용하여 31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Rasch의 문항적합도, 응답범주의 적절성, 문항곤란도를 검토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및 문항을 선정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Jmetrik, AMOS 22.0, SPSS 26.0이다.
결과 분석결과, 5요인의 모형적합도, 개념신뢰도, 판별타당도는 기준치를 상회하였으며, 5점 척도의 문항적합도, 범주확률곡선, 문항곤란도도 양호하였다. 최종적으로 ‘과정 중심 평가의 이해’, ‘과정 중심 평가 계획수립’, ‘과정 중심 평가 도구개발’, ‘과정 중심평가 실행’, ‘과정 줌심 평가 결과 해석 및 활용’ 5개의 능력 요인으로 구성된 16문항의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결론 교육부가 과정 중심 평가의 내실화 및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새로운 척도는 과정 중심 평가 운영에따른 교육성과 측정 도구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가 중학교 교사가 과정 중심 평가전문성을 갖추는 데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나가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