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서 속도감의 극대화를 위한 효과적 타입 연구 = A Study on the Efficient Type for Maximizing Motion Effect in Kinetic Typograph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1(10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Unlike that in the existing printing media, the typography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is called ‘kinetic typography' because it is moved by plastic elements in a three-dimensional screen and determined by spatial changes to which the time element is added. Kinetic typography are also adopted as a means to more easily and accurately interact among cyber literature lovers and functions as a factor to attract the user's attention in the Internet banner ads, e-mails, and intros. It, of course, delivers information at the time of URL movement.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how receivers perceiv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s and the speed of kinetic typography, which was in motion to maximize its informative feature as a form of visual arts. It also aimed to suggest letter types that could exert the most effects. The first experiment included 55 people living in Seoul, who were surveyed. In the second and third experiment, 104 people in Seoul were surveyed. The database included the 320*420 size, which was based on the 4:3 ratio of the scan resolution used in the digital media, as well as the 30-frame that is popular in kinetic typography. The velocity of 0.5 second and the movement directions of left to right, right to left, up to down and down to up were applied. Through 3kinds of experiments, I can find that the directions and forms affected the results when the typefaces were applied, which implies that the maximization of sense of speed is influenced by the form, the angle of the letter, the thickness of a stroke, the space within the letter and seri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now how to make an appropriate use of fonts in kinetic works in order to increase or inhibit the sense of spe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더보기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속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할 극대화를 위해 속도감과 서체와의 관계가 어떻게 수용자들에게 지각되는지를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글자의 형태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조사를 위해 조사 대상자는 글을 읽기가 적당하다고 판단된 20세이상 35세 미만으로 제한하였으며 데이터 베이스는 디지털 매체에서 사용되는 주사해상도 4:3 비율에 근거한 320*420 사이즈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서 많이 사용되는 30프레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같은 0.5초의 속도와 좌우, 우좌, 상하, 하상 운동방향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형태가 다른 사각형들은 운동 방향에 따라 속도를 느끼는 정도가 달랐다. 좌→우의 운동방향에서는 세로가 긴 사각형이 가장 빠르게 지각되었고, 우→좌의 운동방향에서는 가로가 긴 사각형이 가장 빠르게 지각되었으며, 상→하의 운동방향에서는 가로가 긴사각형이, 하→상의 운동방향에서는 세로가 긴 사각형이 각각 빠르게 지각되었다. 사각형에 변형서체를 적용하여 실험한 2차 실험조사의 결과는 좌→우의 운동방향에서 고딕체의 경우는 ‘사체’가 가장 빠르게 지각되었고, 명조체의 경우는 ‘평체’가 빠르게 지각되었다. 또한 우→좌의 운동방향에서도 고딕체의 경우는 ‘사체’가 가장 빠르게 지각되었으며, 명조체의 경우는 ‘평체’가 빠르게 지각되었다. 즉, 수평 운동방향에서 고딕체의 경우는 ‘사체’가 가장 빠르게 지각되었고, 명조체의 경우는 ‘평체’가 빠르게 지각되었다. 각각의 변형서체에 명조체와 고딕체를 대입하여 실시한 3차 실험에서는 좌→우의 운동방향, 우→좌의 운동방향, 상→하의 운동방향, 하→상의 운동방향에서 각각의 변형체 모두 명조체 가장 빠르게 지각되었다.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서체를 대입시켜 실험하였을 때 사각형태로 실험하였을 경우와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글자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형태 즉 글자의 각도, 글자 획의 굵기와 글자가 품고 있는 공간과 세리프의 유무가 속도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화 타이틀이나 TV타이틀, 또는 크레딧 등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서 속도감을 증가시키거나 속도감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형태의 글자체 사용이 그 효과를 더해 줄 수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