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노동판례에서의 기대권법리 적용에 관한 검토 = Legal Review of the Right of Reasonable Expectation in Labor Law Cas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87-616(30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판례는 근로자에게 근로계약이 갱신될 수 있으리라는 정당한 기대권이 인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위반하여 부당하게 근로계약의 갱신을 거절하는 것은 부당해고와 마찬가지로 아무런 효력이 없고, 이 경우 기간만료 후의 근로관계는 종전의 근로계약이 갱신된 것과 동일하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 판례에서는 기간제 법 시행 이후에도 갱신기대권이 인정된다고 하면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전환될 수 있으리라는 정당한 기대권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판례태도는 기간제 근로자의 보호라는 법정책적 관점에서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나 법리적 또는 법해석론 측면에서는 수긍하기 어렵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갱신기대권에 관한 판례법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갱신·전환에 관한 규정이나 형성된 신뢰의 구체적 내용에 따른 침해의 효과를 구분하지 않고, 정당한 기대권이 부당하게 침해되면 계약갱신 또는 무기직 전환의 효과를 일률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더욱이 갱신기대권에 반하는 갱신거절을 부당해고와 마찬가지로 무효로 보는 판례의 입장은 기간제 근로계약은 합의한 기간의 만료로 종료하는 것일 뿐 사용자의 기간만료 또는 갱신거절의 통지로 비로소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 기간만료 또는 갱신거절의 통지는 의사표시가 아니라 근로계약에서 정한 기간의 만료로 근로관계가 종료된다는 사실과 갱신의사가 없음을 알리는 관념의 통지라는 점과 조화되기 어렵다.
갱신기대권 침해에 대하여 근로계약의 갱신이나 무기직 전환의 효과를 인정하는 것은 법령이나 근로계약 등에 근거가 있거나, 사용자의 계약갱신이나 무기직 전환 의사가 추론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이에 대한 근거가 있는 경우에 한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간제법 시행과 상관없이 갱신(전환)기대권이 인정될 수 있다 할지라도 이러한 기대권에 반하는 기간만료통지에 대하여 무기직 전환의 법률효과를 인정하는 것은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다. 계약갱신과 달리 무기직 전환은 근로계약관계의 연장을 넘어 당사자 사이에 전제한 고용형태의 변경을 초래하기 때문에 그 인정요건 면에서 달리 판단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If the employee has explicitly agreed with his employer to work for a fixed period, the contract ends automatically by operation of law when the contract reaches the agreed time. So, within the frame of the fixed-term contract, there’s no guarantee this contract will be renewed or converted into a permanent one. To protect the temporary workers therefor court have established a precedent in which the employee is entitled in certain cases to renew his contract or convert his contract into a permanent. As this cases, the court refers to the two Situations. First, the employee can renew or convert his contract when the right of renewal or right of converting to permanent is stipulated in the contract or written in the employment rules or collective agreements, etc. Second, the employee can ask the same right even though there are no such contract, rules, and agreement, provided the employee’s specific reliance on the continuing or converting is established. Whether this Expectation is grounded, is decided by the cour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labor relationship being discussed.
This court decision is called ‘Breach of trust related to renewal and conversion of the fixed-term labor contract’ and widely supported by the literature to protect the less favorable contractual position of fixed-term employees than permanent. However, a close look at the decision reveals severe logical inconsistencies. First, the court does not clearly distinguish the first situation from the second in its ruling. Especially, the cases, by which the employee’s right to extend his contract is explicitly stipulated, must be separated from the cases, by which the employer merely mentioned the possibility of renewal in the terms of contract. Second, to decline an extension of the contract does not directly mean that the employer dismisses the employee unfairly. The contract can be renewed or converted in a permanent only when the behavior of employer has caused a reasonable reliance of employee on continued employment or changed time-condition. Even in this case, the contract ends automatically on the agreed date. The employee has only the right to extend the contract or to convert the contract into a permanent. Only after his request is accepted by the employer, the unfair dismissal can be discussed. Otherwise, the employer is only liable for the damages.
To make this court decision more reasonable, the court needs to put emphasis on the basic rules of contract. The contract ends automati- cally by operation of law at the agreed time, if the both parties have agreed on the term of a contract. The intention of both parties to establish a legal relationship is essential for the renewal or conversion of the contract. From the reasonable expectation of one party only the right to renew and convert the contract can be granted. The need to protect the fixed-term employee should not change the basic framework of contract improperly. A court decision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contract law is also necessary in the employment cas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3 | 0.667 | 0.3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