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 개국‧좌명공신 이직(李稷)의 삶과 정치활동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5-142(3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은 조선 초기의 개국·좌명공신 이직(李稷)의 삶과 정치활동을 다루었다. 이직은 고려 말에 숙부 이인임의 실각, 윤이·이초사건 등을 겪으면서 정치적 위기를 맞지만, 정몽주의 제거 이후 이성계 세력으로 편입되었다. 조선 건국 후에는 개국공신에 책봉되어 대명 외교, 한양 건설 등에서 활약하였다. 그런데 제1차 왕자의 난 발생시에 정도전 세력에 속했다가 변란이 끝난 이후 태종의 정권에 협력하는 면모를 나타냈다. 그는 곧 좌명공신에 책봉되었으며, 관제·의례 정비, 외교, 한양의 기간 시설 완성 등 제반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하지만 1415년(태종 15) 민무휼이 죽임을 당하면서 그의 장인인 이직 역시 7년 가까이 정계에서 배제되었다. 1422년(세종 4) 이직의 정계 복귀는 태상왕 태종의 뜻에 따라 이루어졌는데, 이는 세종 친정 이후 의정부를 맡을 만한 인물로 적합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외교, 의례, 법제 등의 운영 면에서 오랜 경험이 있었고, 이전 태종대에 육조 직계가 행해졌을때 의정부의 각료로서 그 운영이 어떻게 행해져야 하는지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세종대 초기 정치 기반 구축에 조력자 역할을 하기에 적절한 인물이었다.
이처럼 여말선초의 정치 변동기에 이직은 상당히 오랫동안 정계에서 활약하였다. 그러나 고려 말 이성계 반대 세력에 있다가 조선 건국에 참여하며 개국공신에 책봉되는 과정,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정도전 세력이었다가 태종 집권을 수용하며 좌명공신에 책봉되는 과정이 명쾌하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이직이 민무휼 옥사에 연루되었을 때 태종이 그의 과거 행적을 ‘반룡부봉’으로 평가했다는 점은 참고가 되는데, 이는 그가 정국 변동을 주도했다기보다 이미 가시화된 정치적 동향에 순응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어찌 보면 그는 여말선초의 권력 변동에 매우 유연하게 대처했다고 볼 수도 있는데, 결과적으로 관료로서의 직분을 다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특히 태종 즉위 이후 조선의 정치체제 확립 과정에서 그의 역량은 가장 적극적으로 발휘되었다. 그리고 1422년(세종 4)정계 복귀 이후에는 친정을 하게 된 세종의 정치적 기반 구축에 조력했으며, 기존에 태종이 계획했던 정치체제를 후대에 이어나가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life and political activities of Yi Jik(李稷, 1362∼1431), Gaegukgongsin(Dynastic Foundation Merit Subject), Jwamyeonggongsin(Taejong Merit Subjec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Yi Jik faced a political crisis in the late Goryeo Dynasty due to the fall of his uncle Yi In-im and the Yun Yi·Yi Cho incidents, but after Jeong Mong-joo was assassinated, he was incorporated into the Yi Seong-gye faction.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he played an active role in diplomacy and capital relocation and construction as a Gaegukgongsin. However, during the First Prince’s Rebellion, he was in Jeong Do-jeon’s faction, and after the uprising ended, he cooperated with King Taejong’s regime. After King Taejong ascended the throne, he was activ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ceremonial maintenance, as a Jwamyeonggongsin.
However, after Min Mu-hyul’s death in 1415, his father-in-law, Yi Jik, was also expelled from politics for nearly seven years. In addition, his return to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Retired King Taejong’s wishes,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was because he was a suitable person to take charge of Uijeongbu(Board of Supreme Council) in the reign of King Sejong. He had long experience in the management of diplomacy, rituals, and legislation, and was familiar with government administration as he served as a minister of Uijeongbu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Afterwards, h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facilitator in establishing the political foundation of King Sejong.
During the period of political change from Goryeo to Joseon, Yi Jik was active in politics for quite a long time. However, the process of being in the opposing faction of Yi Seong-gye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being appointed as a Gaegukgongsin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process of being a member of Jeong Do-jeon’s faction during the First Prince’s Rebellion and being appointed as a Jwamyeonggongsin after King Taejong came to power, are not clearly explained.
In this regard, it is noteworthy that when Yi Jik was involved in the Min Mu-hyul incident, King Taejong evaluated his past actions as ‘Banryongbubong(Grab the dragon’s scales and climb on the phoenix’s wings to achieve success; Pursuing a great king and making achievements)’. It is believed that he wanted to fulfill his duties as a bureaucrat rather than leading a change in power. On the one hand, he can be seen to have responded very flexibly to changes in power at the time. He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political system at the beginning of the founding of the nation. His political capabilities were most actively display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Joseon’s political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In addition, after returning to politics in 1422, he became a great helper in establishing King Sejong’s political foundation and also played a role in continuing the political system previously planned by King Taejong.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