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토양특성을 이용한 우리나라 토양에 적합한 토양발달지수 개발 = Establishment of soil development index suitable for Korean soils using soil properties
토양은 모재, 기후, 생물, 시간, 지형 등의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끊임없이 변화하는 동적인 자연체이다. 인간 활동에 의해 기후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토양 발달 패턴도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토양 관리 및 활용을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토양 발달은 정성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므로 토양 특성을 이용한 토양 발달 정량화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토양 발달 요인을 파악하고, 토양 발달 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토양에적합한 토양 발달 요인으로서 토색(적색도), 점토 함량, 양이온 교환 용량, 교환성 양이온, 유효 토심, 토양 구조(등급), pH를 선정하였다. 토양 발달 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토양 층위별 데이터를 수집하여 용탈층과 집적층을 비교하여 하나의 토양 단면 값을 계산하였다. 토양의 생성을 일반화 할 수 없는 인위토양, 화산회토, 유기질 토양 등을 제외한 총 301개의 토양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토양 발달 지수는 정규화된 인자 값의 합을 인자의 개수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우리나라 토양의 발달 지수 값은 최소 0.009에서 최대 0.673의 범위를 나타냈다. 지수를 검증하기 위해 토양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분산 분석과 판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Alfisols와Ultisols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Inceptisols와 Entisols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토양발달지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판별 분석 결과 Alfisols/Ultisols는 83.3%, Inceptisols는 78.9%, Entisols는 72.1%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감식 차표층은 Argillic horizon이 93.0%, Cambic horizon이 72.6%, 전체적으로 80.4%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양 발달 지수는 소수의 특성만으로 토양 발달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지수는 토양 특성 예측 및 토양분류에 활용이 기대된다.
Soil is a dynamic natural body that changes continuously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parent material, climate, biological factors, time, and topography. As climate change accelerates due to human activities, soil development patterns are also shifting, making it essential to understand these changes for effective soil management and utilization. However, since soil development is not a quantifiable property, it must be quantified through characteristic analysis to facilitate prediction and management. This study aimed to (1) identify soil development factors through literature, (2) develop a soil development index, and (3) use this index to evaluate soil development in Korea. Through data surveys, soil color (redness), clay content, cation exchange capacity, exchangeable cations, effective soil depth, soil structure (grade), and pH were selected as suitable soil development factors for Korean soils. To develop the soil development index, data from each soil layer related to each factor were compiled, and values were calculated by comparing eluvial and illuvial horizons.
The properties of the B horizon were predominant, and layers with properties of both A and B horizons, such as the BA layer, were classified as B horizon for calculation. A total of 301 soil containers were analyzed, excluding volcanic ash soils, organic soils, anthropogenic soils, and others that could not be compared due to differing properties or analysis methods. In developing the index, each factor’s effect was normalized to the same scale using scaling techniques to account for variations across factors. The soil development index was calculated by summing all normalized factor values for each soil container and dividing by the number of factors. The resulting values for Korean soil development ranged from a minimum of 0.009 to a maximum of 0.673.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dex, distribut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soil taxonomy, revealing greater variance between soil order groups than within them. Post hoc analysi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fisols and Ultisols, but other group comparis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showed accuracy rates of 83.3% for Alfisols/Ultisols, 78.9% for Inceptisols, and 72.1% for Entisols. Analysis by diagnostic horizon yielded 93.0% accuracy for Argillic horizons, 72.6% for Cambic horizons, and an overall accuracy rate of 80.4%. The soil development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allowing easy assessment of soil development using only a few properties.
Furthermore, this index is expected to be valuable in predicting soil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