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강릉 옥계굴 석순에서 발현되는 발광 특성과 향후 고기후 연구로의 적용가능성 = Luminescence property in a stalagmite from Okgye Cave and applicability for paleoclimate research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SCOPUS,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3-71(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동굴생성물 내의 발광 특성은 안정동위원소비 및 미량원소 성분과 함께 연계하여 고해상도 고기후 연구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동굴생성물에 대한 발광 특성 연구사례는 공식적으로 보고된 바 없으며, 이를 활용한 연구는전무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 분석기법(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을 활용하여 옥계굴 석순(OG1)의 발광 특성을 보고하고, 이를 이용한 고기후 연구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석순 OG1은 내부 단면에서 관찰되는 암석학적 특징 및 결정 성장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발광 특성을 보이며, 발광띠와 비발광띠가 쌍을 이루는 발광 엽층리 구조를 뚜렷하게 보존하고 있다. 동굴생성물이 발광 특성을 띠기 위해서는 토양기원 유기물이 동굴 내부로 이동될 만큼의 충분한 침출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OG1에서 관찰되는 발광띠는 한반도의 강수량 및 침출수가 크게 집중되는 여름철 우기 동안 형성된 것으로해석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 석순의 발광 특성을 통해 성장 당시의 계절 및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아울러 발광띠 쌍을 활용한 누적집계 연대측정기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Luminescence properties in speleothems have been widely used for high-resolution paleoclimate studies combined with stable isotope and trace element records. However, luminescence in Korean speleothems has not been reported before, and there is no research on it. Here, we describe luminescence properties of a stalagmite (OG1) from Okgye Cave, South Korea,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and discuss its applicability for the paleoclimate research. The stalagmite exhibits lithology-dependent luminescence properties, including crystal habit, and preserves luminescence lamination consisting of couplets of bright and non-luminescent bands. Based on previous reports, luminescence in speleothems is mostly caused by sufficient water infiltration to transport soil-derived organic matter into the cave.
Therefore, the bright luminescent band in OG1 would have formed during summer rainy season, when extreme rainfall events occur over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suggests that luminescence properties of Korean speleothems may provide information on seasonal paleoclimatic changes during the growth, and can also be used to improve geochronological uncertainty with an incremental age dating metho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