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南冥學의 淵源과 本質 = A Study on the Origin and Essence of Nammyeongha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33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은 南冥學의 본질과 특색에 대해 재조명한 것이다. 南冥은 16세기 사화기에 현실정치의 참여를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한 인물인데, 25세 때부터 孔子 를 배우고자 하여 顔回의 克己復5를 통해 근본을 확립하는 구도의 길로 들어섰다. 남명학의 淵源은 남명이 학문을 전환한 뒤 孔子·周敦頤·程Ⅱ·朱熹의 초상을 그려 봉안해 놓고 참배한 데서 단서를 찾을 수 있는데, 주자의 博文約5의학문과 程明道의 揚休山立의 氣節과 周濂溪의 光風霽月의 흉금을 추구하고, 나아가 안회의 克己復5를 통해 공자의 경지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남명학의 요체를 敬·義라 하는데, 이는 『주역』 「坤卦-文言」의 ‘敬以直內 義以 方外’에서 나온 것으로, 주자도 학문의 요체로 삼은 것이다. 따라서 경의학의 연원은 주자를 통해 『주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경의학은 마음을 眞實無妄하게하는 공부로, 敬은 마음을 고요하고 또렷하게 하여 긴장감과 경건함을 유지하는 것이고, 義는 마음이 발한 뒤 판단이나 조처를 올바르고 합리적으로 하는 것이다.
남명학의 본질은 남명이 남긴 3편의 賦와 『學記類編』의 「誠圖」·「易書學庸語 孟一道圖」·「心爲嚴師圖」·「幾圖」 및 「神明舍圖」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原泉賦」에는 근본을 중시하는 사유가 근저에 깔려 있으며, 「民巖賦」는 나라의 근본을 백성으로 보고 정치의 근본이 임금에게 달려있음을 말한 것이며, 「軍法行酒 賦」는 나라의 근본은 禮義라는 점을 역설한 글이다. 또한 「誠圖」와 「易書學庸 語孟一道圖」는 남명학의 본체에 해당하는데, 「誠圖」는 眞實無妄의 誠을 목표로그 공부방법과 실천요령을 적시한 도표이며, 「易書學庸語孟一道圖」는 惟精·惟 一의 공부를 통해 誠을 추구하는 것을 형상한 것이다. 「心爲嚴師圖」·「幾圖」 및「神明舍圖」는 남명학의 작용에 해당하는데, 「心爲嚴師圖」는 心을 嚴師로 삼아存養·省察을 나타낸 것이고, 「幾圖」는 省察과 克己에 초점을 맞추어 그린 것이며, 「神明舍圖」는 극기복례하여 至善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남명학의 특색은 「神明舍圖」의 ‘天德’과 ‘王道’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천덕은 하늘이 부여한 본성을 얻어 나의 인격을 완성하는 것으로 內聖에 해당하고, 王道는 그 덕을 현실사회에 펴는 것으로 外王에 해당한다. 천덕을 추구하는것은 人道를 닦아 天道에 배합하는 誠을 추구하는 것으로, 남명학의 특색은 居 敬行義의 공부를 통해 『中庸』의 大旨인 誠을 추구한 데 있다. 이는 퇴계가 『소학』·『대학』을 근본으로 한 것과는 다른 시각으로, 『중용』을 所依經傳으로 삼은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re-illuminate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of Nammyeonghak. Nam Myeong gave up on his participation in real politics during the Sahwa period in the 16th century and devoted himself to study. At the age of 25, he decided to learn Confucius and entered the path of seeking truth to establish the basis through the Geukgibokrye of Yan Hui. The origin of Nammyeonghak finds its clues in Nam Myeong changing his path of study, enshrining the portraits of Confucius, Chou Tuni, Cheng Hao and Zhu Xi, and worshiping them before their portraits. He traced the root of his study to the stage of Confucius through the Geukgibokrye of Yan Hui, pursuing Zhu Xi's study of Bakmunyakrye, Jeong Myeong-do's integrity of Yanghyusanrip, and Ju Ryeom-gye's heart of Gwangpungjewol.
The key points of Nammyeonghak are defined as Gyeong and Ui, which are from "Gyeongijiknae Uiibangoi" in "Gongoae-Muneon" of Book of Changes· Zhu Xi, too, considered them as the key points of his study. The origin of Gyeonguihak is thus traced to Book of Changes through Zhu Xi. In Gyeonguihak, Gyeong means maintaining tension and reverence by keep the mind in a calm and clear state, whereas Ui means making the right and rational judgment or measure after the ignition of mind.
The essence of Nammyeonghak can be figured out in three Bus left by Nam Myeong along with "Seongdo," "Yeokseohakyongeomaengildodo," "Shimuieomsado," "Gido," and "Shinmyeongsado" of Hakgiryupyeon. The reasoning for the emphasis on the root is at the bottom of "Woncheonbu." "Minambu" sees the people as the root of a state and finds the political root in the king. "Gunbeophaengjubu" highlights that the basis of a state is the courtesy. "Seongdo" and "Yeokseohakyongeomaengildodo" make up the main body of Nammyeonghak. While the former offers a diagram for the learning methods and practice tricks for the goal of achieving Jinsilmumang, the latter embodies the pursuit of truth through the study of Yujeong and Yuil. "Shimuieomsado," "Gido," and "Shinmyeongsado" represent the operation of Nammyeonghak.
"Shimuieomsado" takes the mind as a strict teacher and represents Jonyang and Seolchal. "Gido" focuses on Seolchal and Geukgi. Finally, "Shinmyeongsado" paints a route to the stage of Jiseon through Geukgibokrye.
The characteristics of Nammyeonghak can find their clues in "Cheondeok" and "Wangdo" of "Shinmyeongsado." While Cheondeok is part of Naeseong to acquire one's nature from the Heaven and complete his or her character, Wangdo is part of Oiwang to implement the virtue in the real society. What Cheondeok seeks after is to pursue truth that mixes with Cheondo by cultivating Indo.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of Nammyeonghak derive from the pursuit of truth that is the land of The Doctrine of the Mean through the study of Geogyeonghaengui, which presents a different viewpoint of Toigye that found the basis in Lesser Learning and Great Learning and finds Souigyeongjeon in The Doctrine of the Mea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98 | 0.2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