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양산 신흥사 대광전 벽화 연구 = A Study on the Mural of Daegwangjeon Hall at Shinheungsa Temple in Yangsan
저자
박세진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1(27쪽)
제공처
본고는 신흥사 대광전 내부 벽화의 조성 시기에 대한 추정과 벽화의 배치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건물의 중창과 불상의 조성과 함께 살펴보았다.
신흥사 대광전 내부 벽화의 조성 시기는 1657년에 쓴 대광전 상량기록과 1801년 중창기록에의존하여 추정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같은 벽화의 편년을 상량기록에 맞춘 17세기 후반과 중창기록에 맞춘 19~20세기까지, 하나의 벽화를 두고 길게는 200년 정도의 편년 차이를 추정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본고에서는 내부 벽화 중 가장 잘 남아있는 〈아미타삼존도〉와 〈약사삼존도〉 두 벽화를 구체적인 양식분석과, 당시 조성된 작품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두 벽화 모두 17세기 말에 조성되었을것으로 추정하였다. 두 벽화를 기준으로 하단부, 포벽, 내부 고주, 후불벽 뒷면 등에 그려진 벽화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상호의 표현, 채색, 문양, 도상 등을 통해 신흥사 내부 벽화는 17세기 말에 일괄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양측 포벽에 위치한 〈불전도〉 4점은 팔상도의 장면이 벽화로 그려진 유일한 사례이며, 현존하는 조선후기 불전도 중 가장 연대가 올라가는 작품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일괄 조성된 벽화와 불단에 모셔져 있는 〈석가여래삼존좌상〉의 상관성을 통해서건물내부는 삼불회도로 장엄하였으며, 불전의 중수 당시 불상과 벽화의 조형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신흥사 동·서측 벽화 배치와 같은 사례는 범어사 대웅전 내부, 통도사 응진전 내부 벽화에도나타나며, 이는 모두 경상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당시 이 지역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사례였을가능성도 있다. 또한 신흥사 대광전 벽화는 세 벽화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이러한배치에 대한 규범과도 같은 역할을 하는 벽화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stimated time of creation of the murals inside Daegwangjeon of Sinheungsa Temple and the meaning of the arrangement of the murals along with the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a statu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murals inside Daegwangjeon of Sinheungsa Temple is mostly estimated based on the Daegwangjeon record written in 1657 and the reconstruction record in 1801. As a result, the chronological age of the same mural was estimated to be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19th and 20th century, and there were cases where the chronological difference for a single mural was estimated to be as long as 200 years.
In this study, through a detailed stylistic analysis of the two murals, “the painting of Amitabha triad” and “the painting of Bhaisajyaguru triad,” which are the best surviving interior murals, an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works created at the time, it was estimated that both murals were created in the late 17th century.
Based on the two mural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urals painted on the lower part, side walls, internal columns, and the back of the post-painted wall. As a result, the murals inside Sinheungsa Temple were grouped together in the late 17th century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names, colors, patterns, and icons. It was assumed that it had been created.
In particular, the four〈illustration of the Life of Buddha〉located on both side walls are the only examples of scenes from the Iconography of Palsang-do painted as murals, and are the oldest surviving illustrations of the Life of Buddha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Lastly,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rals created en masse and the Buddha Triad enshrined in the Buddhist altar,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as majestic with the Three Buddhas Hall, and that there was a specific plan for the shaping of the Buddha statues and murals at the time of the repair of the Buddhist temple.
Cases similar to the arrangement of murals on the east and west sides of Sinheungsa Temple also appear in murals inside the main hall of Beomeosa Temple and Eungjinjeon Hall of Tongdosa Temple, and since these are all located in the Gyeongsang-do region, it is possible that they were frequent examples in this area at the time. In addition, the mural in Daegwangjeon at Sinheungsa Temple was created in the earliest period among the three murals, and is thought to have been a mural that served as a standard for such arrangemen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