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역사문화자원으로서 경기도 동학 유적 활용 의미와 방안 고찰 - 여주 전거론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Strategies for Utilizing Donghak Historical Sites in Gyeonggi-do a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 Focusing on Jeongeolon in Yeoju
저자
김성하 (경기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7-231(35쪽)
제공처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의미를 살펴보고 경기도 동학 유적중 하나인 여주 전거론을 중심으로 경기도 동학 유적이 역사문화자원으로서 어떤 의미가 있으며, 활용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논의하기 위해, 사회 개혁 운동으로서 동학의 의미와 함께 경기도 동학 관련 사례를 검토하고, 단계별(자원화, 지식화, 문화화) 접근을 통한 역사문화자원으로서 여주 전거론 및 경기도 동학 유적 활용 방안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역사문화자원이 과거를 기억하는 매개물이자 동시에 미래 가치를 창출하며 지역의 문화정체성을 확립하는 원동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먼저 최근 제정·시행된 『국가유산기본법』의의미를 살펴 봄으로써, 기존의 문화재 중심의 보존과 보호 정책에서 나아가 국가유산의 적극적인 활용과 진흥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어서 역사문화자원으로서 유산과 유적의 활용 의미를 검토한다. 특히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단계별(자원화, 지식화, 문화화) 접근의 의미를 설명하고 각 단계별 특성과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학농민혁명에 내재된 사회개혁 운동의 관점에서 동학 유적의 의미와 경기도 동학 관련 사례를 살펴보고, 역사문화자원으로서 여주 전거론의 활용 방안을 검토한다. 이는 조선 후기 사회의 불평등을 개혁하려는 민(民)의 실천 운동으로서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역사문화자원으로서 여주 전거론을 중심으로 한 경기도 동학 유적의 활용 의미와 방안을 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여주 전거론을 중심으로 한 경기도 동학 유적의 활용이 사회 불평등을 개혁하고자 하는 실천운동으로서 현재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줄 뿐 아니라, 역사문화자원으로서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개발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과 동시에 경기도라는 지역의 역사적 의미와 미래 가치를 창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cusing on Jeongeolon in Yeoju, one of the Donghak historical sites in Gyeonggi-do.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Gyeonggido Donghak historical sites a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o discuss what is needed for their effective utilization. This will be done by reviewing the meaning of the Donghak movement as a social reform movement, examining cases related to Donghak in Gyeonggi-do, and exploring historical sites in Gyeonggido through a phased approach(resource develoment, knowledge dissemination, and cultural transformation). This is important because historical and cultural recources serve not only as intermediaries for remembering the past but also as a driving force for creative future value and establishing the cultural identity of a reg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recently enacted and implemented National Heritage Basic Act. By doing so,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ctively utilizing and promoting national heritage beyond the traditional focus on conservation and protection. Next, the study reviewx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heritage and historical sites a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particular, it explains the meaning of the phased approach(resource develoment, knowledge dissemination, and cultural transformation) in utilizing ho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each phase.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reform movement inherent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study examines the sigificance of Donghak historical sites and reviews related cases in Gyeonggi-do, while also considering strategies for utilizing Jeongeolon in Yeoju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This approach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strategies for utilizing the Donghak historical sites in Gyeonggi-do, centered on Jeongeolon in Yeoju,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connecting the past with the present and future, focusing on the people’s reform efforts against social inequalit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utilization of Gyeongg i-do Donghak historical sites, with a focus on the Jeongeolon in Yeoju, will not only offer insights into contemporary efforts to address social inequality but also provide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diverse cultural content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Futhermore, this study aims to create opportunities for generating historical significance and future value for the region of Gyeonggi-do.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