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경쟁가치모형을 활용한 사회복지시설 효과성 연구 : 한국 재림교회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dministered by Adventist Churches in South Korea: Using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재림교회가 운영하는 사회복지시설( 이하, 삼육복지시설)의 효과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그 영향요인을 찾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경쟁가치모형(CVF: Competing Values Framework)을 활용하여, 삼육복지시설의 문화, 리더십 그리고 관리기술에 따라 조직 효과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활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시설 종사들이 인식하는 조직의 문화, 리더십, 그리고 관리기술은 조직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시설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조직의 문화, 리더십, 그리고 관리기술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시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셋째, 시설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조직의 문화, 리더십 그리고 관리기술은 조직 효과성에 상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15개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와 최고경영자 그리고 핵심 중간관리자 중에 편의 표집에 의해 설문에 참여한 총 323명에게 조직문화, 리더십, 조직효과성 그리고 관리기술에 대해 2020년 9월 한 달간 설문조사 하였다. 시설별 조사원 1명을 선정하여 설문내용과 조사방법을 교육하고 이들을 통해 해당 시설의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였다. 응답자 총 323명 중에 미응답 항목이 많은 18명의 설문을 제외하고, 총 305명 사례를 위계적 다층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설종사들이 인식하는 조직의 문화, 리더십, 그리고 관리기술은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개별 시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조직의 문화, 리더십 그리고 관리기술은 조직효과성에 상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육복지시설의 효과성은 종사자 개인의 현재의 관계지향문화가 높을수록 높아지며, 시설별 핵심중간관리자의 대인관계 관리와 리더의 중개자적 리더십은 조직의 효과성을 낮추지만, 중개자적 리더십과 핵심중간관리자의 경쟁력지향 관리는 시설종사자들의 현재 관계지향문화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리더의 중개자적 역할과 핵심중간관리자의 경쟁력지향 관리가 삼육복지시설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본 연구에서 발견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한국 재림교회 사회복지시설 조직의 문화, 조직의 리더십 그리고 조직의 핵심 중간관리자의 관리기술이 조직 효과성에 어떤 관계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삼육복지시설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시설 운영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삼육복지시설의 효과성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현재 종사자들이 느끼는 관계지향의 문화에 있다. 소속된 구성원들에 의해 관계지향의 문화가 유지되고 확산될 수 있는 지원이 요망된다. 둘째, 핵심중간관리자의 경쟁지향관리는 조직의 관계지향문화에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핵심중간관리자는 보다 경쟁지향적인 관리를 전문화 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설장의 중재자 리더십 역시 관계지향의 문화를 조성하는 데 양적 영향을 더하고 있기에 시설장의 리더십이 중재자의 성향을 가질 수 있도록 설득하고 안내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 1. 서론 1
    • A. 연구의 배경과 대상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사회복지시설의 효과성 연구대상 3
    • B. 연구목적 및 질문 6
    • 2. 이론적 배경 7
    • A.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성 7
    • B. 조직문화 9
    • 1. 조직문화의 개념과 정의 9
    • 2. 조직문화와 경쟁가치모형 13
    • 3. 조직문화와 효과성 19
    • C. 조직 리더십 22
    • 1. 리더십의 개념과 정의 23
    • 2. 리더십 유형과 경쟁가치모형 25
    • 3. 리더십의 측정 28
    • D. 조직의 관리기술 29
    • 1. 관리기술의 개념과 정의 29
    • 2. 관리기술의 유형과 경쟁가치 30
    • 3. 관리기술의 측정 31
    • E. 조직의 효과성 33
    • 1. 효과성 접근과 경쟁가치모형 33
    • 2. 효과성의 측정 38
    • F. 경쟁가치 모형(Competing Values Framework) 40
    • 3. 연구방법 44
    • A.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과 윤리적 고려 44
    • B. 연구모형 45
    • 1. 연구분석 틀 45
    • 2. 종속변수 46
    • 3. 독립변수 46
    • 4. 집단변수 47
    • 5. 연구가설(귀무가설) 47
    • 6. 측정 도구 48
    • C. 다층모형(Multilevel Model) 49
    • 1. 기본모형(Null Model; One Way ANOVA) 51
    • 2. 집단변수와 개인변수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는 다층모형들 53
    • 4. 연구결과 58
    • A.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58
    • 1. 연구대상 시설 및 설문참여자 58
    • 2. 참여자 특성 59
    • 3. 각 변수에 따른 기술통계 65
    • B. 조직의 문화, 리더십 그리고 관리기술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67
    • C. 시설 간 차이를 보이는 조직 효과성, 리더십과 관리기술 70
    • 1. 시설 간 차이가 있는 조직 효과성, 리더십과 관리기술 70
    • 2. 집단수준의 차이 정도 72
    • 3. 개인수준의 차이 정도 74
    • 4. 조직문화와 리더십 그리고 관리기술의 상호작용 78
    • 5. 연구결과의 요약 84
    • 5. 결론 87
    • A. 의의 87
    • B. 함의 90
    • C. 연구의 제한점 97
    • D. 제언 98
    더보기
    • 1 조석준, "조직론", 서울: 법문사, 1985
    • 2 오석홍, "조직이론", 서울: 박영사, 2014
    • 3 이창원, 최창현, "새 조직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5
    • 4 박선경, 하재룡, 정우일, 이영균, 양승범, "공공조직론", 서울: 박영사, 2011
    • 5 윤재풍, "조직학개론", 서울: 박영사, 1985
    • 6 김인수, "거시조직이론", 서울: 무역경영사, 1997
    • 7 성규탁,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법문사, 1998
    • 8 남기민, 최성재, "사회복지행정론", 경기: 나남출판, 2000
    • 9 민진, "조직관리론 제3판", 서울: 대영문화사, 2009
    • 10 박원우, "조직문화 변화관리", 경기: 생능출판사, 2019
    • 11 Kotter , J, "What leaders really do ’", 23(2), 1990
    • 12 김병섭, 조경호, 박광국, "조직의 이해와 관리", 서울: 대영문화사, 2001
    • 13 Ouchi, W. G., "Markets, Bureaucracies and Clan", 25(1):129-141, 1980
    • 14 강상진, "다층모형(Multilevel Models)", 서울: 학지사, 2020
    • 15 전병선, "왜, 사람중심 경영인가?", 서울: 말, 2016
    • 16 남기민, "사회복지조직과 리이더쉽", 서울: 대영문화사, 1990
    • 17 Pettigrew, M. A,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s", 24 (4):570-581, 1979
    • 18 Quinn, J. B, "Questioning The New Energy of Growth", 41(4): 13-28, 2000
    • 19 최윤철, "조직효과성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책개발학회, 12(2): 1-35, 2012
    • 20 Goffee, R., & Jones, G., "What holds the modern company together?", 74(6): 133-148, 1996
    • 21 Pfeffer , J ., "Seven practices of successful organizations", 40(2):96-125, 1998
    • 22 김문석, 이정남,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간의 관계", 인적자원개발연구, 12(2): 31-49, 2009
    • 23 신유근, "조직발전과 조직행동의 변화관리", 서울대 경영연구소 경영논집, 22(3): 1-32, 1988
    • 24 김호정, "한국행정문화연구와 경쟁가치모형", 한국정책학회, 11(3): 219-238, 2002
    • 25 Smircich , L., "Concepts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28(3):339-358, 1983
    • 26 박순애, 오현주, "성과지향적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한국행정학보, 40(4): 225-252, 2006
    • 27 Wallach, E. J, "Individuals and Organization: The Cultural Match", 37:29-36, 1983
    • 28 Herman, R. D. and Renz, D. O, "Theses on Nonprofi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8(2): 107-126, 1999
    • 29 House, Robert J, "Leadership training: Some dysfunction consequences", 12(4), 1968
    • 30 Schein , E. H., "Coming to a new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25(2):3-16, 1984
    • 31 서인덕,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유형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10: 130-133, 1986
    • 32 Bititci, U. S., Martinez, V., Albores, P., & Parung, J, "Creating and managing value in collaborative networks", 34(3/4). 251-268, 2004
    • 33 윤기찬, "사회복지서비스 능률성에 관한 비교평가", 한국행정논집, 17(1): 1-30, 2005
    • 34 김영미, 조상미,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행 정학, 13(2): 55-90, 2011
    • 35 나현민, 황설화, 하태수, 임혜경, "일선관료제 조직문화에 대한 탐색 적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12(1): 81-110, 2015
    • 36 박은주, 조상미, 박지혜,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연구경향 분석", 한국 사회복지학회, 61(1): 33-55, 2009
    • 37 김영춘,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영향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0
    • 38 강희경, 추교완, 신지민, "조직문화가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 향,", 전문경 영연구, 20(2): 105-128, 2017
    • 39 Seashore, S. E. & Yuchtman, E., "A system Resource Approach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32(6):891-903, 1967
    • 40 Gordon, G.G. & Ditomaso, N.,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from organization culture", 29(6): 783-798, 1992
    • 41 노현욱, "교육신학에 근거한 기독교학교 유형화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42 최성욱, "조직문화의 이해와 연구논쟁점에 관한 고찰", 정부학연구, 7(2): 142-171, 2001
    • 43 박동필, "조직효과성에 대한 리더십의 효과 메타문석", 한양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9
    • 44 김영우, 홍진식,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 구, 27(4): 35-100, 2018
    • 45 박노윤, "조직문화와 전략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학연구, 26(2): 303-329, 1997
    • 46 김정식, ""리더십과 흡수역량 및 조직유효성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8
    • 47 Sathe , V., "Implications of Corporate Culture : A Manager 's Guide to Action", 12(2):4-23, 1983
    • 48 Langer, J. L. & LeRoux, K., "Developmental Culture and Effectiveness in Nonprofit Organizations", 40(3): 457-479, 2017
    • 49 오경훈, "연고주의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50 홍진식, "조직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51 Cunningham, J. B, "A System-Resource Approach for Evalua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31(7), 631-657, 1978
    • 52 Bryman, A, "Charismatic leadership in business organizations: Some neglected issue", 4(3-4): 289-304, 1993
    • 53 Cameron, K. S. & Freeman, S. J, "Cultural Congruence Strength, and Type: Relationships to Effectiveness", 5 : 23-58, 1991
    • 54 Boggs, B., & Dail Fields, "Explor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of Christian Churches", 13(3), 305-334, 2010
    • 55 강종수, 박은미,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 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1), 247-256, 2013
    • 56 김두선, "조직역량 강화를 위한 공공조직의 조직문화 비교분석", 충북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2
    • 57 서인덕,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유형과 조직특성간의 관련성 연구",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 58 민진, "“조직 효과성에 관한 개념 정의의 분석 및 재개념화,”", 한국행정학보, 37(2): 83-105, 2003
    • 59 강종수, "사회복지조직의 조직구조와 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복지행 정논총, 16(2): 287-311, 2006
    • 60 박지환, 최인옥, "중간관리자의 영향력 전술이 관리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8(2): 781-803, 2015
    • 61 Mass, H. 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at Facilitate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22(4):881-886, 1987
    • 62 Ershova, M. & Hermelink, J, "Spirituality, Administration, and Normativity in Current Church Organization", 16(2): 221-242, 2012
    • 63 최윤철, "조직효과성의 결정요인 분석: 공조직과 사조직의 비교분석", 가톨 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64 Moynihan, donald P. & Sanjay K. Pandey, "Testing How Management Matters in an Era of Government by Performance Management", 15(3):421-439, 2004
    • 65 이승희, "노인요양시설의 질 지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다수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66 김현철, "리더쉽과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67 Khuntia , R. , & Suar , D., "A scale to assess ethical leadership of Indi an private and public sector managers", 49(1), 2004
    • 68 Ketchen, D.D. Thomas, J. B. Snow, C.C., "Organization configuration and performance: A comparison of theoretical approaches", 36(6), 1993
    • 69 Weisbord , M. R., "Organizational diagnosis : Six places to look for trouble with or without a theory", 1(4):430-447, 1976
    • 70 Luthans , 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ths", 16(1):57-75, 2002
    • 71 김호정, "조직문화, 리더십, 조직 효과성의 관례-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37(4): 103-123, 2003
    • 72 Brown, M. E., Treviño, L. K. & Harrison, D. A, "Ethical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for construct development and testing", 97(2):117-134, 2005
    • 73 김홍규, 석기준, "기업규모별 리더십, 조직문화 및 조직유효성의 인식에 관 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26(2): 195-222, 2011
    • 74 김영조, 박상언, "조직문화 유형, 조직문화 강도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 조직연구, 6(2): 195-238, 1998
    • 75 Sparrow, P. & Cooper C.,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ople and performance: New challenge, new research agendas", 1(1): 2-3, 2014
    • 76 임효진, "복부비만과 사회경제적인 요인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다수준분 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77 권혁철, "경쟁가치모형을 적용한 한국군 조직문화 차이에 관한 실 증적 연구,",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78 김길훈, "다수준분석을 적용한 지역박탈지수의 개인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79 박원우, "조직 내 문화단위간 적합성에 따른 구성원 유형 분류의 실증적 연구", 인사관리학회, 17: 349-362, 1993
    • 80 Pandey, S. K. & James L. G., "Exploring Public Sector Communication Performance: Testing a Model and Drawing Implications", 66(1):37-51, 2006
    • 81 박승범, "해병대 조직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서울벤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82 한수미, "재가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 는 영향",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83 Wiener, Y, "Forms of Value System: A Focu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ltural Change and Maintenance", 13(4):534-545, 1988
    • 84 홍판석,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85 김태한, 정상홍, "조직문화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광역시 소방 조직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5(4): 85-106, 2011
    • 86 김영헌,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연구: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87 김대건, 허성욱, "조직무화격차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 조 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공공관리학보, 29(3): 1-28, 2015
    • 88 차완규, "조직문화, 특허전략 및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경 쟁가치모델 관점)",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89 홍승활, "기초자치단체장의 경쟁가치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90 박영준, "생활시설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91 Quinn, R. E. & Rohrbaugh, J, "A spatial model of effectiveness criteria: Towarda competing values approach to organizational analysis", 29(3):363-377, 1983
    • 92 신원철,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남양주 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93 이미영,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 과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94 강현구,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 지향성과 센터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 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95 손성철, 주지훈, 정범구, "조직연구에서 다층모형 적용에 관한 고찰- 위계적 선형모형(HLM) 활용을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0(3): 75-97, 2013
    • 96 이미경, 전상길, "구성원의 조직유형화 강도 인식 차이에 따른 개인 태도 및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인적 자원개발연구, 19(3): 1-29, 2016
    • 97 윤상근,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쟁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98 변미희, "서번트 리더십이 종사원의 임파워먼트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99 도운섭.,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경향 분석 : 행정학 분 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3(3): 75-95, 2005
    • 100 김근세, 이경호,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운전 면허시험관리단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9(3): 179-203, 2005
    • 101 박광국,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리더십의 조 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3(3): 1-23, 2019
    • 102 공민영, "중소기업에서의 조직학습과 변혁적 리더십, 학습문화 및 사회관 계망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103 강영숙, 이미영,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영리연구, 18(2): 183-213, 2019
    • 104 서강석, "조직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본청조직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105 김용준, "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매 개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106 김광웅, "조직형태와 조직성과 간의 인과관계 모형 정립–수출산업의 구성 원 보호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14(1): 1122-1150, 1976
    • 107 이영희, "사회복지기관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및 조 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108 최종혁, "사회복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요소와 유형화 탐색-서울시 6 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9(8): 283-291, 2018
    • 109 신운화, "조직문화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종합사회복지관을 중 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110 이정주, "지방공기업에서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지하철공사의 사례", 지방정부연구, 9(4): 71-93, 2006
    • 111 문학선, "조직구성원의 개인 성격특성에 따라 리더십이 조직문화, 조직유 효성에 미치는 역향력 차이",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112 김운기,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조직몰 입과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113 이병철, "조직문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 리더십, 조직구조, 조직문화의 조직효 과성에 대한 영향력 분석",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6): 485-494, 2015
    • 114 도운섭, "지방정부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행정학 분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3(3): 75-95, 1999
    • 115 홍장표, "경쟁가치모형에 입각한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고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116 이병석, "우리나라 기업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한 CEO의 리더십 스타일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117 최소연,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공공복지조 직과 민간지역 사회복지관 비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118 황성운, "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 연령, 가구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19 김태랑,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변혁적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 향: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20
    • 120 김현진, "사회복지관 종사자가 인지하는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121 권석민, "긍정적 및 부정적 조직창의성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기술계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122 유광영, 이영균, "지방자치단체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책개발연구, 18(2): 123-154, 2018
    • 123 김정필, "리더쉽, 조직문화,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경쟁가 치모형을 적용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124 최두용, "과학기술계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 는 영향 연구: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8
    • 125 주우철, "공동생태군내 조직문화, 커뮤니케이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통일그룹의 영리조직과 비영리조직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6
    • 126 오정순, "가톨릭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 는 영향: 대전교구 관할 사회복지기관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2
    • 127 남기민, "사회복지조직에서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중간관리층의 리더십 행 동, 상황 및 리더쉽 효과성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9
    • 128 조경훈,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종 의 고성과 기업과 저성과 기업의 차이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129 홍병윤, "일과 삶의 균형(WLB)지원제도와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조직효과 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공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7
    • 130 박종국, 신부경, "사회복지 조직의 리더십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실증적 연구-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 정학회보, (19)3: 187-209, 2020
    • 131 박종국, 신부경, "사회복지 조직의 리더십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실증적 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 정학회보, 19(3), 187-209, 2022
    • 132 김나영, 임채홍, 안경섭, "국토해양부의 조직문화 변화와 공무원 직무행태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조직융합관리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행정논집, 21(2): 651-679, 2009
    • 133 유광수, "종합사회복지관 관리자가 인식하는 기관장 리더십이 조직효과성 에 미치는 영향-조직몰입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5
    • 134 신부경, "“사회복지 조직의 서번트 리더십과 사회 자본이 조 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조직 사기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20
    • 135 박보생, "중간관리자 이슈리더십과 진성리더십,그리고 조직효과성의 관계 에 관한 실증 분석-경상북도 시ㆍ군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북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136 안춘윤, "지방공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환경요인이 성과관리 효과성 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 자치구 산하 10개 시설관리공단을 대상으로-", 건 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137 정재근, "지방자치단체 중간관리자 리더십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임파워먼트 매개효과와 팔로우십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