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 : 성매매 여성의 권익보호를 중심으로 = Revision Direction of Act on the Punishment of Intermediating in Sex Trade and Associated Acts - for the Right of Women Involved in Sex Trad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7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44(22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controversy over the effectiveness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Intermediating in Sex Trade and Associated Acts has been going on since the legislation and enforcement of this law.
Especially in the spring of 2011 the attempts to eradicate sex trade in the red light districts in Yeongdeungpo, mainly led by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met with failure because of organized responses and fierce protests from pimps and women involved in sex trade. Their main argument is the law just makes ordinary people criminals and is no use restraining or reducing sex trade industry.
In addition, in December 2012 The Seoul Northern District Court has requested The Constitutional Court to rule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enal provision that punish ‘anyone who (voluntarily) trade sex’. This incident raised issues not only about the effectiveness of law but the invasion of constitutional rights.
But sex trade is fundamentally not the same as general trade because sex trade is very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 So the intermediaries (for typical example, pimps) who gained immense profits from this business and clients who buy sex all deserve to be severly punished, then we shouldn’t deny the need for this law.
After this request of the court anti sex trade agencies anticipate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decide to decriminalize only women(part of providing sex) and on the other hand make much efforts to revise this provision in the direction of decriminalizing women.
By the way the law says ‘victims of the sex trade shall not be subjected to punishment for sex trade’. So Anti sex trade agencies also try to revise the definition of victims of sex trade toward enlarging the concept of victims and rearranging the provisions related to protective procedure for women involved in sex trade during police investigation and trial. This is the second-best solution in preparation for possibilities that the decision of Constitutional Court doesn’t meet our hope or the movement for revision in the direction of decriminalizing women is frustrated.
Also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punishment of a person who intermediate in sex trade and associated acts, employ or recruit another person for the purpose of sex selling, introduce work with knowledge that sex trade occurs and advertise activities or agencies where such activities are carried out above mentioned. And it’s needed to adopt the new penal provision that regulate the advertisement on sex trade through the internet.
This paper is mainly about the revision direction of act on the punishment of intermediating in sex trade and associated acts for the right of women involved in sex trade.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의 실효성 논란은 법 제정 및 시행이후 계속되어 왔다. 특히 2011년 봄에는 경찰이 주축이 된 집결지의 집중단속을 통한 영업 폐쇄 계획에 반대하는 성매매 알선업주들의 연합체인 한터의 조직적 대응 및 성매매 여성들의 격렬한 시위로 이러한 논란이 증폭되었었고, 또한 2012년 12월에는 서울북부지방법원이 위 법률의 성매매자 처벌조항에 대해 위헌제청을 함으로써 법 자체의 실효성은 물론 법의 기본권 침해 논의까지도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그러나 성매매는 중대한 인권침해행위라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일반적인 매매계약과는 다르고 업주 등 성매매 알선행위자들 및 성구매자는 중대하게 처벌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법 자체의 실효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이번 위헌제청을 계기로 성매매 피해상담소는 성매매 여성 즉, 성을 구매하는 자의 상대방이 된 자는 처벌하지 않는 헌법재판소의 일부위헌결정을 기대하며 한편으로는 위와 같은 성매매 여성의 비범죄화 취지를 반영한 법률 개정을 위한 노력을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 헌법재판소의 결정이나 법률개정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는 특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성매매 여성도 처벌받지 않도록 하고 있는 현행법상 성매매 피해자 조항을 확대하고 수사절차 등에서 성매매 여성을 보호하는 규정을 정비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여성만의 비범죄화를 인정하는 취지의 헌법재판소의 결정이나 그러한 내용의 법률개정이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에 대비한 차선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업주 등의 처벌조항의 법정형을 상향조정하고 인터넷을 통한 성매매 광고 등에 대한 처벌 조항을 도입하여 업주 등의 확실한 처벌을 통한 성산업 근절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이 논문은 성매매 여성의 비범죄화 및 차선책으로서의 성매매 피해자 조항의 내실화 등 성매매 여성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개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