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반도 분단체제하 종교폭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27(3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종교폭력(religious violence)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반도 분단체제 생성기에 종교폭력으로서 나타난 전투적 반공주의를 평가한 것이다. 국내에 구체적으로 소개된 적이 없는 대표적 종교폭력이론가들인 마크저겐스마이어와 스콧 애플비가 주장하는 폭력의 발생 원인이나 확증자로서 종교의 역할에 대한 주장들을 정리하며 비판적 성찰을 한다. 이들은 세계 도처에서 종교가 폭력을 조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종교가 세속의 이념이나 제도들과 달리 역사와 지역을 초월해 인간을 충동적으로 만들며 좀 더 폭력을 촉진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들을 거부하며 이를 위해 한국전쟁 전후 한국개신교가 행한 종교폭력으로서 전투적 반공주의를 검토할 것이다. 한국교회의 전투적 반공주의는 분단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종교폭력이 발생하였음을 강조할 것이다. 분단체제의 비극은 하나의 민족에서 두 신생국가가 탄생함으로써 시작된다. 국가의 폭력과 희생의 요청에 한국개신교는 생존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냉전체제의 구조적 압박과 무신론-공산주의와 종교자유-자본주의라는 이항대립적 세계관의 형성은 기독교와 반공주의가 선택적 친화성으로 결합하게 만들었고 전투적 반공주의가 발현되게 하였다. 미소냉전의 이념 차이로 발생한 한국전쟁은 한반도를 선과 악의 종말론적 싸움으로 채색시킨 우주적 전쟁터로 만들었다. 한국교회는 분단체제로부터 폭력으로의 요청을 강요받았고 생존과 이익을 위해 합리적으로 이 기회를 적극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신의 뜻으로 행한 종교폭력은 세속적 폭력과의 다양한 관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종교는 폭력을 조장하지 않는다. 냉전과 분단체제에 의해 요청되고 허용되었던 특별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종교에 의한 시연적 폭력이 발생했던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provides a sociological study of militant anti-communism that propagated religious violence during the Korean War. The Cold war system brought out a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1940s and 50s. According to religious violence theory, religion has a peculiarly dangerous inclination to promote violence. After being exiled from communist North Korea, North Korean Christian defectors vigilantly served for South Korean military with militant, anti-communism during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ey were often involved with anti-communist terrors under the Korean government. Korean churches adopted this militant anti-communism from the defectors that came from up North. Furthermore, they became the leading group and the majority power of South Korean Church. By evaluating anti-communism as religious violence by the Korean Church, the Church did not promote violence. What I challenge is the argument that the Korean Church was more inclined toward violence than were both governments of the two new Korean states during war time. This study reveals that, rather, two Korean governments coercively required the killing and sacrifice of their people. It is evident that North Korea Christian defectors were raised as militant, anti-communist warriors against communist North Korea during Korean war. I would help us to see that they were the scapegoat of the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constructed by the Cold War.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