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SCOPUS
가치평가오류, 투자자별 거래행태,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 = Misvaluation, Trading Behavior of Investor Types and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5-128(5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Stock misvaluation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rket value and the intrinsic value. If the market value is higher than the intrinsic value, it is defined as an overvaluation. Investors will sell the shares if they realize that the stock is overvalued. However, if investors are not aware of whether stock prices are overvalued, or if they have misleading expectations about the future performance of the firm, they may buy overvalued shares.
When an investor is divided into institutional investors, who are professional investors and individual investors, who are non-professional investors according to their expertise, the institutional investor may sell shares that are higher than their intrinsic value by assessing the value relatively accurately on the basis of their high information and analytical capabilities.
Individual investors, on the other hand, find it difficult to properly assess value with their low information gathering ability and analytical ability and may buy overvalued stocks.
If financial statement is comparable, investors can more easily grasp the value through easy comparison with other companies, so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investors can benefit greatly from thi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rading behavior of individual investor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in overvalued stocks and studies how comparability affects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investors are found to be net buyers of overvalued shares, while institutional investors are net sellers. This means that unlike institutional investors, individual investors are not aware of the overvaluation. Second, the higher the comparability, the lower the tendency of individual investors to buy overvalued shares.
Comparability, on the other hand,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stitutional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s. This is interpreted 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bility of valuation of individual investors rather than institutional investors through comparable financial statement.
Because institutional investors already identify the firm value, the additional benefits from comparable accounting information may be low.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trading behavior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for overvalued stocks,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mparability in this process.
주식 가치평가오류(misvaluation)란 기업의 시장가치와 본질가치 간에 차이가 있는상태로 시장가치가 본질가치보다 높을수록 과대평가되어있다고 한다. 투자자들이 투자 대상기업의 주가가 과대평가 되어있음을 파악한다면 이 주식을 매도 할 것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혹은 기업의 미래 성과에 잘못된 기대를 가진다면 과대평가가 큰 주식을 매수할 수 있다. 투자자를 전문성에 따라 전문적투자자인 기관투자자와 비전문적투자자인 개인투자자로 구분할 때, 기관투자자는 높은 정보력과 분석능력을 토대로 기업 가치를 비교적 정확히 평가하여 과대평가가 큰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낮은 정보 수집 능력과 분석능력으로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어려워, 과대평가가 큰 주식을 매수할 수 있다. 한편 회계정보가 비교가능하다면 개인 및 기관투자자들은 타기업과의 용이한 비교를 통해 기업 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되어 효익을 누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과대평가 주식에 대한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를 살펴보고, 비교가능성이 투자자들의 투자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투자자는 과대평가가 큰 주식을 순매수하는 반면 기관투자자들은 이를순매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관투자자들과 달리 개인투자자들은 주식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비교가능이 높을수록 개인투자자들이 과대평가가 큰 주식을 순매수하는 경향은 감소하였다. 반면 기관투자자들의 투자결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는 비교가능한 회계정보를 통해 개인투자자들의 가치평가 능력이크게 향상 된 반면, 기관투자자들은 이미 기업의 가치를 식별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가능한회계정보를 통해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적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과대평가 주식에 대한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들의 거래행태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비교가능성의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6 | 1.96 | 2.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65 | 2.74 | 5.829 | 0.2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