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독일 통일 후 인문학의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 베를린 지역에서의 철학과와 독어학과의 개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OLE OF THE HUMAN SCIENCES (ESPECIALLY PHILOSOPHY AND GERMAN LINGUISTICS) IN BERLIN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저자
권용혁 (울산대 철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349.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7-132(26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독일 재통일 후 베를린 지역 훔볼트 대학의 인적·구조적 개편 내용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인문학 분야 중 이데올로기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던 철학과와 가장 적게 받았던 독어학과의 인적·구조적 개편을 살펴보고 있다. 이 두 학과의 개편 내용은 매우 다르게 진행되었는데, 이를 통해서 논자는 구 동독 대학에 있어서의 인문학의 개편 기준과 방향을 정리·평가하고 있다. 그 후 논자는 우리의 통일에 있어서 바람직한 대학 개편 방향에 대한 몇 가지 대한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이 논의되고 있다.
첫째, 구 동독 대학의 인력 개편 및 구조 개혁을 베를린 지역을 모델로 삼아 살펴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특히 훔볼트 대학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둘째, 훔볼트 대학의 철학과와 독어학과의 커리큘럼 변화 및 전문인력 수급 현황을 독일 재통일 전·후를 대비해서 비교하고 있다. 그 다음 재통일 후 두 학과의 인력 및 구조 개편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두 학과의 상이한 변화 과정과 그 기준을 밝히고 있다. 셋째, 앞의 두 가지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독일 재통일 후 대학 개편과정에서 발생했던 장단점을 분류·평가했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작업으로부터 얻은 긍정적인 측면들을 다가올 우리의 통일에 있어서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personnel and structure reformation in the Departments of philosophy and of German Linguistics of Humboldt University in Berlin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The reformation of the two departments was pursued in the very different manners. We could classify and evaluat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se two different ways,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of the liberal arts reformation in the old East-German universities. This case could give a few references, I think, for the reformation of the universities in the course of the unification of Korea.
This thesis deals with the following points in general:
First, Berlin area is taken as a model for examining the personnel and structure reformation of the old East-German universities. I specifically pay attention to the case of Humboldt university.
Secondly, I compare the curriculum-changes and the personnel rearrangement of the two departments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 clarify the different courses and standards of their respective changes.
Thirdly, on the basis of the two preceding points I classify and evaluate the merits and demerits which resulted from the reformation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Lastly, I examine the plausibility of applying the positive results acquired from the above study to our situation in the course of our unifica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