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성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저자

        신앙생활백과 편찬위원회

      • 발행사항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2

      • 발행연도

        199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230.3 판사항(3)

      • DDC

        220.3 판사항(19)

      • ISBN

        8936000055 34230: ₩14000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성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신앙생활백과편찬위원회 편역

      • 형태사항

        283p.: 삽도; 27cm

      • 총서사항

        신앙생활백과; 6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성경의 권위와 영감
      • 계시(啓示)와 성경(聖經) = 38
      • 계시의 개념(槪念) = 38
      • 계시의 명칭(名稱) = 38
      • 계시의 개념(槪念) = 38
      • 계시의 종류(種類) = 38
      • 계시의 구분(區分) = 38
      • 자연계시와 초자연계시(超自然 啓示) = 39
      • 일반계시(一般 啓示)와 특별계시(特別 啓示) = 40
      • 일반계시(一般啓示) = 40
      • 일반계시의 정의(定義) = 40
      • 일반계시의 가치(價値) = 40
      • 일반계시와 이방종교(異邦宗敎) = 41
      • 일반계시와 기독교(基督敎) = 41
      • 일반계시의 불충분성(不充分性) = 41
      • 특별계시(特別啓示) = 42
      • 특별계시의 필요성(必要性) = 42
      • 특별계시의 방법(方法) = 42
      • (1) 하나님의 현현 = 42
      • (2) 직접적인 전달 = 42
      • (3) 이적 = 43
      • 특별계시의 내용(內容) = 43
      • (1) 구속의 계시 = 43
      • (2) 역사적 계시 = 43
      • (3) 말씀과 사실의 계시 = 43
      • 계시와 성경과의 관계(關係) = 44
      • 계시(啓示)와 성경(聖經) = 44
      • 특별계시와 성경의 차이(差異) = 44
      • 특별계시와 성경의 동일성(同一性) = 44
      • 성서적 권위(聖書的 權威) = 46
      • 하나님의 말씀 = 46
      •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 = 46
      • 성경의 명칭(名稱) = 46
      • 하나님의 말씀과 인간의 말 = 46
      • 성령의 이중증거(二重證據) = 47
      • 이성적 이해(理性的 理解) = 48
      • 이성과 계시(啓示) = 48
      • 하나님의 자기계시(自己啓示) = 48
      • 이성적 이해(理性的 理解) = 49
      • 역동적(力動的)인 말씀 = 50
      • 말씀의 역동성(力動性) = 50
      • 역동성과 성경의 권위(權威) = 50
      • 기록된 말씀 = 51
      • 성경의 유일성(唯一性) = 51
      • 성경의 영원성(永遠性) = 51
      • 성경의 완전성(完全性) = 52
      •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통과 성경 = 52
      • 성경의 신적 권위(神的 權威) = 53
      • 성경의 필요성(必要性) = 53
      • 성경의 명료성(明瞭性) = 54
      • 성경의 충족성(充足性) = 55
      • 성경의 영감(靈感) = 56
      • 영감의 정의(定義) = 56
      • 영감과 성령(聖靈) = 56
      • 영감의 목적(目的) = 56
      • 영감과 절대무오성(絶對無誤性) = 56
      • 절대무오성 = 56
      • 절대무오성의 역사와 성격 = 57
      • 영감설(靈感說)의 종류(種類) = 58
      • 영감의 성질(性質)에 관한 영감설 = 58
      • (1) 기계적 영감설= 58
      • (2) 역동적 영감설= 59
      • (3) 유기적 영감설 = 59
      • 영감의 범위(範圍)에 관한 영감설 = 59
      • (1) 부분적 영감설 = 59
      • (2) 사실적 영감설 = 60
      • (3) 축자적 영감설 = 60
      • 성경(聖經)의 영감 = 61
      • 구약(舊約)의 영감 = 61
      • 구약의 영감에 대한 그리스도의 증거 = 61
      • 구약의 영감에 대한 신약(新約)의 증거 = 62
      • 신약성경의 영감(靈感) = 62
      • 성경영감(聖經靈感)의 성격 = 62
      • 영감의 근원(根源)과 주체 = 62
      • 독자의 영감(靈感) = 64
      • 성경의 기본교리(基本敎理)
      • 신론(神論) = 68
      • 하나님의 존재(存在) = 68
      • 하나님의 인식방법(認識方法) = 68
      •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여러 논증들 = 68
      • (1) 본체론적 논증 = 68
      • (2) 종교적 논증 = 69
      • (3) 우주론적 논증 = 69
      • (4) 목적론적 논증 = 69
      • (5) 도덕적 논증 = 69
      • (6) 역사적 또는 종족적 논증 = 69
      •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성경의 증거 = 70
      • 하나님의 본질(本質) = 70
      • 계시에서 알려진 하나님의 존재 = 70
      • (1) 순결한 영이신 하나님 = 71
      • (2) 인격적인 하나님 = 71
      • (3) 완전하신 하나님 = 71
      • (4) 단일성의 하나님 = 71
      • 하나님의 속성(屬性) = 71
      • (1) 비공유적 속성 = 71
      • (2) 공유적 속성 = 73
      • 삼위일체(三位一體)의 하나님 = 76
      • (1)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양대 이단 = 76
      • (2)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성경의 증거 = 77
      • (3) 삼위의 개별적 고찰 = 78
      • 하나님의 명칭(名稱)과 사역(事役) = 79
      • 하나님의 명칭(名稱) = 79
      • (1) 구약의 명칭들 = 79
      • (2) 신약의 명칭들 = 80
      • 하나님의 사역(事役) = 80
      • (1) 작정 = 80
      • (2) 예정 = 82
      • (3) 창조 = 83
      • (4) 섭리 = 85
      • 인간론(人間論) = 86
      • 인간론 개관(槪觀) = 86
      • 원인(原人) = 86
      • 사람의 기원(起源) = 86
      • (1) 인류창조의 성서적 기사 = 86
      • (2) 진화론 = 87
      • (3) 인류의 통일성과 출현연대 = 88
      • 인간본성(人間本性)의 구조(構造) = 89
      • (1) 이분설 = 89
      • (2) 삼분설 = 90
      • (3) 영혼의 기원 = 90
      • 하나님의 형상(形像)으로서의 인간 = 93
      • (1) 하나님 형상의 성서적 근거 = 93
      • (2)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역사적 개념 = 94
      • 행위언약(行爲言約)에서의 인간 = 95
      • (1) 행위언약의 뜻 = 95
      • (2) 행위언약의 성서적 근거 = 95
      • (3) 행위언약의 요소 = 96
      • (4) 행위언약의 유효성 = 96
      • 죄인(罪人) = 97
      • 죄의 기원(起源) = 97
      • (1) 죄의 기원에 관한 성서적 근거 = 97
      • (2) 인간 최초의 범죄의 성격 = 98
      • (3) 최초의 죄의 결과 = 98
      • 죄의 본질(本質) = 99
      • (1) 죄에 대한 철학적 이론 = 99
      • (2) 죄에 대한 성서적 개념 = 99
      • 죄의 구별과 내용(內容) = 100
      • (1) 원죄 = 100
      • (2) 본죄 = 100
      • 죄의 전가(轉嫁) = 100
      • (1) 실제설 = 100
      • (2) 직접 전가설 = 101
      • (3) 간접 전가설 = 101
      • (4) 죄의 보편성 = 101
      • 언약인(言約人) = 101
      • 언약의 명칭과 개념(槪念) = 101
      • (1) 구약의 용례 = 101
      • (2) 신약의 용례 = 102
      • 구속언약(救贖言約) = 102
      • (1) 구속언약의 성서적 근거 = 102
      • (2) 구속언약의 요구와 약속 = 102
      • 은혜언약(恩惠言約) = 103
      • (1) 은혜언약과 행위언약의 비교 = 103
      • (2) 은혜언약과 구속언약의 비교 = 103
      • (3) 은혜언약의 약속과 요구 = 104
      • (4) 언약의 특징 = 105
      • (5) 은혜언약의 시대 = 106
      • 기독론(基督論) = 107
      • 기독론 개관(槪觀) = 107
      • 그리스도의 칭호(稱號) = 107
      • 예수(Jesus) = 107
      • 그리스도(Christ) = 107
      • 인자(人子 : the Son of God) = 108
      • 하나님의 아들(the Son of God) = 109
      • 주(the Lord) = 109
      • 하나님의 독생자(獨生子) = 110
      • 그리스도의 품성(品性) = 110
      • 그리스도의 품성(品性) = 110
      • 그리스도의 신성(神性) = 110
      • (1) 구약성경의 증거 = 110
      • (2) 사도들의 증거 = 111
      • (3) 공관복음서의 증거 = 111
      • (4) 예수의 자의식 = 111
      • 그리스도의 인성(人性) = 112
      • (1) 구약성서의 증거 = 112
      • (2) 자칭과 타칭 = 112
      • (3) 신체와 영혼 = 112
      • (4) 인적발달 = 112
      • (5) 인적 경험 = 112
      • 그리스도의 이성(二性)의 필요성과 중요성 = 113
      • (1) 필요성 = 113
      • (2) 중요성 = 113
      • 이성(二性)교리에 대한 오류들 = 114
      • (1) 신성의 실재성에 대한 부정 = 114
      • (2) 인성의 실재성에 대한 부정 = 114
      • (3) 이성의 완전성에 대한 부정 = 115
      • (4) 그리스도의 인격의 통일성에 대한 부정[이성분리] = 115
      • (5) 그리스도의 이성에 대한 부정 = 115
      • (6) 이성교리의 정립 = 115
      • 그리스도의 신분(身分) = 115
      • 그리스도의 선재(先在) = 115
      • (1) 하나님과 함께 계신 말씀 = 116
      • (2) 창조사역의 참여자 = 116
      • (3) 성서적 증거 = 116
      • 비하(卑下)의 신분 = 116
      • (1)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탄생 = 116
      • (2) 그리스도의 고난 = 117
      • (3) 그리스도의 죽음 = 118
      • (4) 그리스도의 장사 = 118
      • (5) 그리스도의 지옥강하 = 118
      • 승귀(昇貴)의 신분 = 118
      • (1) 부활 = 118
      • (2) 승천 = 119
      • (3) 하나님 우편에 앉으심 = 119
      • (4) 그리스도의 유형적 귀환 = 120
      • 그리스도의 사역(事役) = 120
      • 그리스도의 직분 = 120
      • (1) 선지직 = 120
      • (2) 제사직 = 121
      • (3) 왕직 = 122
      • 그리스도의 속죄사역 = 123
      • (1) 속죄의 이유와 필요성 = 123
      • (2) 속죄의 성격 = 124
      • 성령론(聖靈論) = 126
      • 구약성경의 성령관(聖靈觀) = 126
      • 언어적 이해(理解) = 126
      • 성령의 본질(本質) = 126
      • (1) 현상적인 특징 = 126
      • (2) 성령과 하나님 = 126
      • (3) 성령과 인간 = 127
      • 성령의 사역(事役) = 127
      • (1) 이스라엘 영웅들의 특별한 능력 = 127
      • (2) 지혜와 재질의 능력 = 127
      • (3) 선지자의 예언능력 = 128
      • (4) 도덕적 능력과 영적 능력 = 128
      • 신약성경의 성령관(聖靈觀) = 128
      • 언어적 이해(理解) = 128
      • 성령과 예수의 생애(生涯) = 128
      • (1) 예수의 탄생 = 128
      • (2) 예수의 수세 = 129
      • (3) 예수의 시험 = 129
      • (4) 예수의 공적 사역 = 129
      • (5) 예수의 죽음과 오순절 성령강림 = 130
      • 성령의 사역(事役) = 130
      • (1) 공관복음의 이해 = 130
      • (2) 요한복음의 이해 = 130
      • (3) 사도행전의 이해 = 131
      • (4) 바울 서신의 이해 = 131
      • 구원론(救援論) = 134
      • 구원론 개관(槪觀) = 134
      • 선택(選擇)과 소명(召命) = 134
      • 선택(選擇) = 134
      • (1) 선택의 의미 = 134
      • (2) 예지적 선택 = 134
      • (3) 주권적 선택 = 135
      • 소명(召命) = 136
      • (1) 소명의 대상 = 136
      • (2) 소명의 방법과 목적 = 136
      • 회심(回心) = 137
      • 회개(悔改) = 137
      • (1) 회개의 중요성 = 137
      • (2) 회개의 의미 = 137
      • (3) 회개의 수단 = 137
      • 믿음 = 137
      • (1) 믿음의 중요성 = 137
      • (2) 믿음의 의미 = 137
      • (3) 믿음의 원천 = 138
      • (4) 믿음의 결과 = 138
      • 칭의(稱義)와 중생(重生) = 138
      • 칭의(稱義) = 138
      • (1) 칭의의 의미 = 138
      • (2) 칭의의 방법 = 139
      • (3) 칭의의 결과 = 140
      • 중생(重生) = 140
      • (1) 중생의 필요성 = 140
      • (2) 중생[거듭남]의 의미 = 140
      • (3) 중생의 수단 = 140
      • (4) 중생의 결과 = 141
      • 양자(養子) = 141
      • (1) 양자의 의미 = 141
      • (2) 양자의 시기 = 141
      • (3) 양자의 결과 = 141
      • 성화(聖化)와 견인(堅忍) = 141
      • 성화의 의미(意味) = 141
      • (1) 신적인 성별 = 141
      • (2) 그리스도의 성성 = 142
      • (3) 부도덕한 악의 정화 = 142
      • (4) 그리스도 형상의 추종 = 142
      • 성화(聖化)의 시기(時期) = 142
      • (1) 성화의 시초단계 = 142
      • (2) 성화의 과정 = 143
      • (3) 성화의 완성 = 143
      • 성화(聖化)의 수단(手段) = 143
      • 견인(堅忍) = 144
      • (1) 견인의 의미 = 144
      • (2) 견인의 부정적 견해 = 145
      • 교회론(敎會論) = 146
      • 교회(敎會)의 본질(本質) = 146
      • 교회의 정의(定義) = 146
      • (1) 언어적 정의 = 146
      • (2) 교회의 특성 = 146
      • (3) 여러 시대의 교회 = 147
      • 교회의 본질(本質) = 147
      • (1)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개념 = 147
      • (2) 헬라 정교회의 개념 = 149
      • (3) 개신교회의 개념 = 149
      • 교회의 속성(屬性) = 149
      • (1) 통일성 = 149
      • (2) 보편성 = 150
      • (3) 거룩성 = 151
      • 교회의 권위(權威) = 151
      • 교회 권위의 원천(源泉) = 151
      • 교회 권의의 본질(本質) = 152
      • (1) 영적 권위 = 152
      • (2) 사역적〔행정적〕권위 = 152
      • 교회 권위의 종류(種類) = 153
      • (1) 교리권〔교훈권〕 = 153
      • (2) 치리권 = 154
      • (3) 봉사권〔사역권〕 = 155
      • 교회의 구성적 요소(構成的 要素) = 156
      • 말씀 = 156
      • (1) 은혜의 수단 = 156
      • (2) 말씀의 사역과 성령 = 156
      • (3) 말씀의 두 기능 = 156
      • 성례전(聖禮典) = 157
      • (1) 성례의 본질 = 157
      • (2) 세례 = 158
      • (3) 성찬 = 159
      • 종말론(終末論) = 161
      • 그리스도 재림의 본질과 목적 = 161
      • 그리스도 재림(再臨)의 본질 = 161
      • (1) 성서에 나타난 재림의 형태 = 161
      • (2) 잘못된 해석들 = 161
      • (3) 재림의 양상 = 162
      • 공중재림(空中再臨)의 목적 = 162
      • (1) 권속들을 받으심 = 162
      • (2) 심판과 보상 = 163
      • (3) 압제자의 제거 = 164
      • 지상재림의 목적(目的) = 164
      • (1) 권속들을 나타내 보이심 = 164
      • (2) 짐승과 거짓 선지자와 그들의 군대의 심판 = 164
      • (3) 사단의 결박 = 164
      • (4) 이스라엘의 구원 = 165
      • (5) 나라들의 심판 = 165
      • (6) 피조물의 구원과 축복 = 165
      • (7) 왕국의 설립 = 165
      • 재림(再臨)의 시기(時期) = 166
      • 전천년설(前天年說) = 166
      • (1) 천년왕국의 어의 = 166
      • (2) 천년왕국에 대한 초대교회의 입장 = 166
      • (3) 전천년설의 내용 = 166
      • 전환란설(前患亂說) = 167
      • (1) 초기 기독교의 가르침 = 167
      • (2) 전환란설의 내용과 근거 = 167
      • 부활(復活) = 169
      • 부활의 확실성(確實性) = 169
      • (1) 죽은 후의 존재상태 = 169
      • (2) 육체의 부활 = 169
      • 부활의 본질(本質) = 169
      • (1) 육체적 부활의 사실 = 169
      • (2) 부활된 몸의 본질 = 169
      • 부활의 시기(時期) = 170
      • 심판(審判) = 170
      • 심판의 확실성(確實性) = 170
      • 심판의 종류(種類) = 170
      • (1) 믿는 자의 심판 = 170
      • (2) 이스라엘의 심판 = 170
      • (3) 짐승과 거짓 선지자와 그 군대에 대한 심판 = 170
      • (4) 열방의 심판 = 171
      • (5) 사단과 그의 천사들의 심판 = 171
      • (6) 구원받지 못한 죽은 자들의 심판 = 171
      • 천년왕국과 종말(終末)의 상황(狀況) = 171
      • 천년왕국의 성서적 근거(聖書的 根據) = 171
      • 천년왕국의 성격(性格) = 171
      • 최후의 상황(狀況) = 173
      • 새 창조(創造) = 173
      • (1) 새 하늘과 새 땅 = 173
      • (2) 새 예루살렘 = 173
      • 성경해석(聖經解釋)의 원리
      • 성서해석과 주석(註釋)의 역사 = 176
      • 기독교 초기(初期) = 176
      • 기독교 이전시대(以前時代) = 176
      • (1) 유대교의 문자적 해석 = 176
      • (2) 유대교의 우의적 해석 = 177
      • 예수의 성서해석(聖書解釋) = 178
      • (1) 랍비들과의 관계 = 178
      • (2) 구약에 대한 예수의 견해 = 178
      • (3) 구약에 대한 지식 = 178
      • (4) 구약에 대한 해석 = 178
      • 사도(使徒)들의 성서해석(聖書解釋) = 178
      • (1) 예수와 사도들의 구약이해의 차이점 = 178
      • (2) 랍비들과의 관계 = 179
      • (3) 구약에 대한 존중 = 179
      • 교부시대(敎父時代)와 중세 = 179
      • 교부들의 성서해석(聖書解釋) = 179
      • (1) 베드로후서의 증언 = 179
      • (2) 바나바 서신 = 180
      • (3) 이단자 마르시온 = 180
      • (4) 이레니우스 = 180
      • (5) 오리겐 = 182
      • (6) 어거스틴 = 182
      • (7) 이 시기의 주석서들 = 182
      • 중세교회(中世敎會)의 성서해석 = 183
      • (1) 교부 저작자들에의 존속 = 183
      • (2) 스콜라 신학 = 183
      • (3) 신비주의 = 183
      • (4) 중세의 주석들 = 183
      • 종교개혁시대와 현대 = 184
      • 종교개혁자들의 성서해석 = 184
      • (1) 마틴 루터 = 184
      • (2) 필립 멜랑히톤 = 184
      • (3) 존 칼빈 = 184
      • (4) 종교개혁시대의 주석서들 = 184
      • 현대의 성서해석(聖書解釋) = 185
      • (1) 역사비평적 성서해석 = 185
      • (2) 신정통주의적 성서해석 = 185
      • (3) 양식사학파의 성서해석 = 185
      • (4) 성서해석에의 정통주의적 입장 = 185
      • (5) 근대·현대의 주석사들 = 185
      • 성경주석의 원리(原理) = 187
      • 성경주석의 본질(本質) = 187
      • 주석(註釋)의 전제(前題) = 187
      • 용어(用語) = 187
      • 주석(註釋)의 필요성 = 188
      • 주석(註釋)의 기초 = 188
      • 주석의 목표 = 189
      • 주석자의 자격과 주석의 도구 = 189
      • 주석자의 자격(資格) = 189
      • (1) 영적 자격 = 189
      • (2) 지적 자격 = 189
      • 주석의 도구(道具) = 190
      • 성경주석(聖經註釋)의 원리(原理) = 192
      • 문법적 원리(文法的 原理) = 192
      • (1) 단어연구 = 192
      • (2) 문법연구 = 193
      • 역사적 원리(歷史的 原理) = 194
      • (1) 저자의 개인적 특성 = 195
      • (2) 저자의 사회적 환경 = 195
      • (3) 특별한 역사적 환경 = 196
      • 신학적 원리(神學的 原理) = 197
      • (1) 성경의 통일성 = 197
      • (2) 초월적 의미 연구 = 198
      • (3) 예언의 의미 = 200
      • 성경주석의 실제(實際) = 201
      • 일반적인 주석과정(註釋過程) = 201
      • 배경연구(背景硏究) = 201
      • (1) 필요성 = 201
      • (2) 배경이해의 요소들 = 201
      • (3) 배경연구를 위한 자료 = 201
      • (4) 배경연구의 과정 = 202
      • 저자의 의도파악(意圖把握) = 202
      • (1) 저자의 목적 = 202
      • (2) 저자의 구상[계획] = 202
      • (3) 목적과 구상을 찾는 법 = 202
      • 문맥이해(文脈理解) = 203
      • (1) 필요성 = 203
      • (2) 방법 = 204
      • (3) 주의사항 = 204
      • 문법이해(文法理解) = 204
      • (1) 문법의 역할 = 204
      • (2) 성경해석에 필요한 문법적 요소들 = 204
      • (3) 문법이해를 위한 지침 = 205
      • 어휘연구(語彙硏究) = 205
      • (1) 성경사전 이요 = 205
      • (2) 문맥연구 = 206
      • (3) 성구사전의 이용 = 206
      • 본문(本文)의 주석방법(註釋方法) = 206
      • 비사(比辭) = 206
      • (1) 대조비사 = 206
      • (2) 관계비사 = 207
      • 상징(象徵) = 207
      • (1) 일반적 상징 = 207
      • (2) 수자의 상징 = 208
      • (3) 해석방법 = 208
      • 모형(模型) = 208
      • (1) 모형의 특징 = 208
      • (2) 해석원칙 = 208
      • 비유(比喩)와 풍유(諷諭) = 209
      • (1) 비유 = 209
      • (2) 풍유 = 209
      • 히브리 시(詩) = 210
      • (1) 시의 형태 = 210
      • (2) 해석방법 = 211
      • 예언(豫言) = 211
      • (1) 예언의 의미와 종류 = 211
      • (2) 해석방법 = 212
      • (3) 드러내는 예언과 감추는 예언 = 212
      • 교리(敎理) = 212
      • (1) 성경의 교리 = 212
      • (2) 교리해석의 선행요건 = 213
      • (3) 해석원칙 = 213
      • 현대 성경연구(聖經硏究)
      • 성경연구의 본질(本質) = 216
      • 성경연구의 필요성(必要性) = 216
      • 성경의 가치(價値) = 216
      • (1) 현대인과 성경 = 216
      • (2) 그리스도인의 규범 = 216
      • 그리스도인의 성경연구(聖經硏究) = 217
      • (1) 하나님의 명령 = 217
      • (2) 그리스도인의 책임 = 217
      • 성경연구의 필요성(必要性) = 218
      • (1) 기록된 말씀 = 218
      • (2) 시대적 산물 = 219
      • (3) 전승된 말씀 = 220
      • (4) 역사적 말씀 = 220
      • 성경연구의 요소(要素) = 221
      • 현재적(現在的)말씀 = 221
      • 신앙(信仰) = 221
      • 성령(聖靈) = 222
      • 기도(祈禱) = 222
      • 성도(聖徒)의 교제(交際) = 222
      • 복종(服從) = 223
      • 감사(感謝)와 찬양(讚揚) = 223
      • 성경 연구자의 자세(姿勢) = 224
      • 연구자(硏究者)의 자세 = 224
      • (1) 일정한 시간과 장소 = 224
      • (2) 계속적인 연구 = 224
      • (3) 반복적인 연구 = 224
      • (4) 보조물의 활용 = 224
      • 본문에 임하는 태도(態度) = 225
      • 성경연구(聖經硏究)의 내용(內容) = 226
      • 성경해석의 다양성(多樣性) = 226
      • 성경의 다양성 = 226
      • 연구관점(硏究觀點)의 다양성 = 226
      • 그리스도론적 이해(理解) = 227
      • 그리스도론적 접근방법의 원리(原理) = 227
      • 신구약성경의 중심인 그리스도 = 227
      • 성경 여덟 부분의 주제인 그리스도 = 228
      • (1) 율법서 = 228
      • (2) 역사서 = 228
      • (3) 시가서 = 229
      • (4) 예언서 = 229
      • (5) 복음서 = 229
      • (6) 사도행전 = 229
      • (7) 서신들 = 230
      • (8) 계시록 = 230
      • 성경 66권의 중심인 그리스도 = 230
      • 인간 구원의 구속사적(救贖史的) 이해 = 232
      • 성경 이해의 원리(原理) = 232
      • 성경의 구조(構造) = 232
      • (1) 구약성경 = 232
      • (2) 신약성경 = 233
      • 구약성경 해설(解說) = 233
      • (1) 하나님의 위대한 창조 = 233
      • (2) 인간의 타락 = 233
      • (3) 선택과 축복 = 233
      • (4) 출애굽과 광야생활 = 234
      • (5) 심판으로서의 역사 = 234
      • 신약성경 해설(解說) = 235
      • (1) 참된 교사 예수 = 235
      • (2) 구세주 예수 = 236
      • (3) 칭의 = 236
      • (4) 성화 = 237
      • 역사(歷史)구원의 구속사적 이해 = 237
      • 성경의 구조(構造) = 237
      • (1) 구약성경 = 237
      • (2) 신약성경 = 237
      • 구약성경 해설(解說) = 237
      • (1) 하나님과의 만남 = 237
      • (2) 고난을 통한 훈련 = 238
      • 신약성경 해설(解說) = 240
      • (1) 십자가를 통한 승리 = 240
      • (2) 교회와 세계 = 240
      • (3) 역사의 종말 = 241
      • 성경연구의 방법(方法) = 242
      • 내용(內容)의 선택(選擇) = 242
      • 기초연구(基礎硏究) = 242
      • (1) 성경의 명칭 = 242
      • (2) 성경의 구조 = 242
      • (3) 성경의 권위와 영감 = 242
      • (4) 성경의 형성사 = 243
      • (5) 이스라엘의 역사 = 243
      • (6) 성경의 통일성 = 243
      • 각 책별 연구(冊別硏究) = 244
      • (1) 연구방법 = 244
      • (2) 실례[야고보서 연구] = 244
      • (3) 특징 = 245
      • 교리별 연구(敎理別 硏究) = 246
      • (1) 연구방법 = 246
      • (2) 실례[기독론 연구] = 246
      • (3) 특징 = 247
      • (4) 과제 및 참고구절 = 247
      • 주제별 연구(主題別 硏究) = 249
      • (1) 연구방법 = 249
      • (2) 실례[순종] = 250
      • (3) 특징 = 251
      • (4) 연구주제 = 251
      • 시대별 연구(時代別 硏究) = 251
      • (1) 연구방법 = 251
      • (2) 실례[아모스와 아마샤의 대결] = 251
      • (3) 특징 = 252
      • (4) 성경의 역사와 본문(참고) = 253
      • 인물연구(人物硏究) = 253
      • (1) 연구방법 = 253
      • (2) 실례[세례요한의 생애] = 253
      • (3) 특징 = 254
      • 양식별 연구(樣式別 硏究) = 255
      • (1) 비유 = 255
      • (2) 시 = 256
      • (3) 서간 = 257
      • (4) 예언 = 257
      • 성경연구의 실제(實際) = 258
      • 개인 성경연구(聖經硏究) = 258
      • 개인 성경연구의 목적(目的) = 258
      • 개인 성경연구의 내용(內容) = 259
      • (1) 신앙 = 259
      • (2) 사랑 = 260
      • (3) 지혜 = 260
      • 개인 성경연구의 방법(方法) = 260
      • 가정 성경연구(聖經硏究) = 261
      • 가정 성경연구의 필요성(必要性) = 261
      • 예수와 가정 성경연구 = 263
      • 가정 성경연구의 특징(特徵) = 263
      • 가정 성경연구의 방법(方法) = 264
      • (1) 가정예배를 통한 성경연구 = 264
      • (2) 정기적 성경연구 = 264
      • (3) 비정기적 성경연구 = 264
      • 부모의 역할(役割) = 265
      • 지역 성경연구(地域聖經硏究) = 265
      • 지역 성경연구의 특징(特徵) = 265
      • 지역 성경연구의 필요성(必要性) = 266
      • 지역 성경연구의 방법(方法) = 266
      • 지역 성경연구의 실례(實例) = 267
      • (1) 주부모임 = 267
      • (2) 노인모임 = 267
      • 교회 성경연구(敎會 聖經(硏究) = 268
      • 교회학교(敎會學校) = 268
      • 정기집회(定期集會) = 268
      • 특별집회(特別集會) = 269
      • (1) 부흥사경회 = 269
      • (2) 제직수련회 = 269
      • (3) 하기수양회 = 269
      • 성서대학(聖書大學) = 269
      • (1) 기간 및 시간 = 269
      • (2) 과목 소개 = 270
      • (3) 특강 = 270
      • (4) 시간표 = 270
      • (5) 강사진 = 270
      • 지도자 양성 및 훈련반(訓練班) = 270
      • (1) 자격 = 271
      • (2) 교육내용 = 271
      • (3) 강사 = 271
      • (4) 수료 및 임명 = 271
      • (5) 계속교육 = 271
      • 지도자의 임무(任務) = 272
      • 지도자(指導者)의 자세(姿勢) = 272
      • (1) 소명감 = 272
      • (2) 좋은 심성과 태도 = 272
      • (3) 계속적인 연구 = 273
      • (4) 일에 대한 의욕과 흥미 = 273
      • (5) 경건의 훈련 = 274
      • 교재선정(敎材選定)과 연구 = 274
      • (1) 교재의 의미 = 274
      • (2) 교재의 선택 = 274
      • (3) 교재의 연구 = 276
      • (4) 교재의 작성 = 277
      • 성경공부 모임 인도(引導) = 278
      • (1) 단계적 공부 = 278
      • (2) 화법 = 278
      • (3) 관계 형성 = 280
      • (4) 기도와 찬양 = 280
      • 소그룹 운영법(運營法) = 281
      • (1) 소그룹의 정의 = 281
      • (2) 목표 설정 = 281
      • (3) 역할 분담 = 281
      • (4) 친교와 나눔 = 282
      • 효과적인 토론의 규칙(規則) = 2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