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가상현실을 통한 정보 전달 시 존재감과 뇌 활성화의 관계
가상현실은 감각기관에 전달하는 정보를 조작하여 가상의 경험을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사람은 가상현실에서 제공하는 감각적인 정보를 뇌에서 통합하여 상황을 판단한다. 그러한 판단을 통해 가상현실이 얼마나 실제와 같은지 아닌지 지각하고 판단하게 된다. 이렇게 어떤 특정한 또는 이해할 수 있는 장소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인간의 지각상태를 나타내는 요소를 ‘존재감’이라고 한다. 가상의 환경을 사용자가 실제처럼 느끼고 그 내용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목표이다. 또한 존재감은 가상현실에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 가지 감각적인 정보들을 통하여 느끼는 종합적인 느낌을 반영한다. 따라서 여러 가지 감각적인 정보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존재감과 관련된 뇌의 메커니즘이 존재할 것이다. 또한 같은 가상현실을 경험한다 할지라도 개인마다 느끼는 존재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관련된 뇌의 메커니즘 역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회적인 상황에서의 대화와 관련된 내용을 아바타를 통해 전달하고 피험자가 그 내용을 바탕으로 추론해보는 가상현실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피험자 개개인이 전달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추론하는 동안 뇌 영역 활성화의 차이와 가상현실에 대한 존재감 점수가 관련된 뇌 영역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우측 혀이랑(16, -95, 14), 우측 쐐기소엽(3, -67, 3), 좌측 혀이랑(-15, -88, -16), 우측 방추상이랑(35, -81, -14), 좌측 하측두이랑(-43, -1, -36), 전대상피질(0, -38, -10) 그리고 우측 후대상피질(2, -50, 10)에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통한 정보의 전달 시 존재감과 관련하여 기능적인 측면에서 뇌의 영역들의 작용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서 처음으로 알아보았다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The virtual reality(VR) manipulates informations transferred to sensories, then provides virtual experiments(VEs) to the user. The user integrates those informations in the brain to interpret the circumstance. Then, the user perceive and recognize through these interpretation. The presence is often thought of as the sense of 'being there' in the VE, and i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estimate the VE. Also, the presence indicates overall feelings about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ed form a virtual avata to the user's sensories. Therefore, there are the brain mechanism to integrating a sensory informations processes about the presence. Even though in the same VR contents, users experience and perceive differently the VE. These differences could influence not presence score but also brain mechanism to the perception. To know about these mechanism, the VR contents consist of an avatar telling a story about social conversation with ambiguous level. Then we performed covariance analysis the subjective brain activity contrast during inferring about the story and presence score. The fMRI data analysis results revealed several brain areas to be related to the presence score. A positive correlation is shown in the right lingual gyrus(16, -95, 14), right cuneus(3, -67, 3), left lingual gyrus(-15, -88, -16), right fusiform gyrus(35, -81, -14), left inferior temporal gyrus(-43, -1, -36), anterior cingulate cortex(0, -38, -10) and right posterior cingulate cortex(2, -50, 10) of the brain. In this study, in communicating information using VR, we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 of subjects about a brain mechanism with the feeling of presenc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