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나병은 낫는다”: “당신은 (이 사실을) 아십니까?” -잡지 『새빛』 수록 나병 계몽운동 자료 검토(1964∼1970) = “Leprosy Heals”: “Do You Know (The Fact)?” ―Review on the materials of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in Magazine THE VISION(1964∼1970)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57-489(33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As we know, the Korean Hansen’s disease literature requires differentiated approaches from other types of literature due to the different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specialities that the lepers and Hansen’s disease experienced. Especially, literary works that emerged during the period of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should be reviewed in the flow of leprosy enlightenment policy and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ity of leprosy literature by reviewing the enlightenment materials in the magazine THE VISION published between 1964 and 1970, of course there needs more discussions in details.
The full-scale study on the magazine THE VISION has not yet been made. it is not an easy task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such as discussion, lecture, and advertisement. This was written in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how to approach the Korean Hansen's disease literature through the data of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period.
The magazine, THE VISION was published with the enlightening purpose to give a ‘new vision’ to ‘lepers’ in ‘the dark’. As the English title ‘Vision’ shows, the magazine began with the will to find hope in a desperate reality and to set a vision in the vision-less society. However, even under such a slogan of the enlightening movement, the social atmosphere did not change easily. It emphasized ‘enlightenment education’ to eliminate discriminative language and emotions, such as the term ‘Migama’[未感兒]. The social rehabilitation of lepers was still controversial.
In this situation,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could go forward to the direction which was set originally? One thing to remember here is that the state of ‘ignorance’ about leprosy has become a standard for the boundary between Oriental medicine[韓醫學] and modern medicine, or traditional superstition and modern knowledge. Leprosy focused as the object of conquest and pioneering was not limited only to the problem of physical disease, and expanded to the problem of mental and cognitive dimension. Facing with the series of events caused by ignorance, the Enlightenment Movement presented medical common sense as an indispensable requirement to maintain a healthy life of daily life.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has been made through mass media such as advertising, broadcasting, theater, movies, and public lectures such as medical classes and medical consultations since mid-1960s.
The advertising included the ads such as “Do You Know (The Fact)?”, “Leprosy Heals”, and “Danger and Safety of Leprosy”. What we need to pay attention is that not only the leprosy but also disease were pointed as the ‘common sense of health’ that the public should learn. As the common sense of disease was regarded as the ‘knowledge’ to keep health, ignorance of disease was the object to ‘enlighten’.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Hansen's disease literature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expert symposiums on leprosy, common sense lectures on leprosy, and ads of leprosy healing. ‘Leprosy Enlightenment Literary Works’[癩病啓蒙文藝作品], which the general readers participated in shows not only recognition change, but also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followed further detailed discussions in the future.
알다시피 한국 한센병문학은 한센인과 한센병이 겪어온 역사적, 사회적, 정치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유형의 문학과 차별화된 접근을 요구한다. 계몽운동 시기에 나온 한센병문학은 당시 나병 계몽정책과 운동의 흐름 속에서 살펴야 한다. 앞으로 자세한 논의가 이루어져야겠지만 이 글의 목적은 우선 1964년부터 1970년 사이에 출간된 잡지 『새빛』에 수록된 계몽운동 자료들을 검토하면서 한센병문학의 특수성을 헤아려보는 것이다.
잡지 『새빛』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좌담회, 강좌, 광고 등을 통해 계몽운동의 실상을 살피는 작업은 결코 가볍지 않은 과제들을 안겨 준다. 이 글은 부족하게나마 나병 계몽운동 시기의 자료들을 통해 앞으로 ‘한국’ 한센병문학을 어떤 각도에서 다가갈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쓴 것이다.
잡지 『새빛』은 ‘어둠’ 속에 있는 ‘문둥이’들에게 ‘새빛’을 주기 위한 계몽적 성격을 표방하면서 출간되었다. 잡지의 영문 제목인 ‘비전(Vision)’이 지시하는 것처럼 절망적 현실에서 희망을 찾고 비전 없는 사회에서 비전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안고 출발했다. 그러나 계몽운동의 구호 아래에서도 사회의 분위기는 쉽게 달라지지 않았다. ‘미감아’를 비롯해 차별적인 언어와 감정을 없애기 위한 ‘계몽교육’을 강조했으나 나환자의 사회복귀는 여전히 논란거리였다.
나병 계몽운동은 애초에 설정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었을까. 여기에서 한 가지 기억해둘 것은 한센병에 대한 ‘무지’의 상태가 한방의학과 현대의학, 전통적 미신과 근대적 지식의 경계를 나누는 기준이 되고 있는 점이다. 한센병은 단지 신체적인 질병의 문제로만 한정되지 않고 정신적, 인식적인 차원의 문제로 확장되었다. 무지로 인해 생긴 일련의 사태들 앞에서 계몽운동은 일상의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의학적인 상식을 필수불가결한 요건으로 제시했다. 광고, 방송, 연극, 영화 등 대중매체, 그리고 의학교실, 의학상담 등 대중강좌들이 1960년대 중반 이후 나병 계몽운동의 한 축을 형성했다.
대중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강연’과 ‘광고’가 활용되었다. 광고 「당신은 (이 사실을) 아십니까」, 「나병은 낫는다」, 「나병의 危險과 安全」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이 광고들에서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은 나병만이 아니라 질병을 대중들이 습득해야 할 ‘건강 상식’으로 초점화하고 있는 점이다. 질병에 대한 상식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지식’으로 부상하면서 질병에 대한 무지함은 우선 ‘계몽’해야 할 대상이 된다.
나병 계몽운동 시기 전문가들의 좌담회, ‘나병 상식 강좌’, ‘한센병 치료 광고’ 등은 당시 한센병문학의 성격과 방향을 결정했다. 일반 독자들이 참여한 ‘나병 계몽 문예작품’은 일반인들의 인식 변화와 그 한계를 보여준다. 이에 관한 자세한 논의는 다음을 기약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