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C 명세에 기반한 병렬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간 테스팅 = Inter-Process Testing of Parallel Programs based on Message Sequence Charts Specifications
저자
배현섭(Hyun Seop Bae) ; 정인상(In Sang Chung) ; 김현수(Hyeon Soo Kim) ; 권용래(Yong Rae Kwon) ; 정영식(Young Sik Chung) ; 이병선(Byung Sun Lee)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569
등재정보
구)KCI등재(통합)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8-119(12쪽)
제공처
소장기관
병렬 프로그램 테스팅을 위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프로그램 수행 중에 얻어진 이벤트 트레이스(event trace)를 바탕으로 재수행성을 보장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반면에 개발과정에서 만들어진 요구/설계 명세로부터 테스팅을 위한 이벤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빈약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통신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메시지 순차도(MSC)로부터 병렬 프로그램의 모듈 테스팅을 위한 이벤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명세로부터 이벤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명세 내에 묵시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이벤트들과 그들 간의 선후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이벤트들의 발생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해오던 논리시간 벡터(logical time stamp)를 MSC 명세에 적용함으로써 이벤트 간의 선후관계를 추출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이벤트 시퀀스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전화 통화 예제를 사용해서 제시한 방법의 효용성을 보인다.
더보기Most of prior works on testing parallel programs have concentrated on how to guarantee the reproducibility by employing event traces exercised during executions of a program. Consequently, little work has been done to generate meaningful event sequences, especially, from specifications. This paper describes techniques for deriving event sequences from Message Sequence Charts(MSCs) which are widely used in telecommunication areas for its simplicity in specifying the behaviors of a program. For deriving event sequences from MSCs, we have to uncover the causality relations among events embedded implicitly in MSCs.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we adapt vector time stamping which has been previously used to determine the ordering of events taken place during an execution of interacting processes. Then, valid event sequences, satisfying the causality relation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terleaving rule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feasibility of our testing technique was investigated using the phone conversation example. In addition, we discus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gained from the example and how to combine various test criteria into our testing environment.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