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漢文科 敎室授業 硏究의 動向과 課題 = The Recent Research Trend and Tasks of the Classroom Lecture for the Chinese Classics
저자
엄선용 (대전중앙고등학교)
발행기관
한국한문교육학회(The educational Society of Korean Chinese Classics)
학술지명
한문교육논집(Journal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 (CCEK))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9-243(35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을 통해서 연구자는 한문과 교실 수업 연구의 동향과 특징에 대하여 언급하고, 최근에 발표된 한문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를 위해 유념해야 할 것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두 한문교육 관련 학회 논문을 보면 엄밀한 의미의 교실수업 연구물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처럼 엄밀한 의미에서 한문과 수업 연구의 동향이 미미하다는 것을 전제한 상태에서 ‘넓은 의미의 수업 연구’라고 이름 붙일 수 있는 연구물들의 몇 가지 특징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한문과 수업 연구들이 처방적(prescriptive)이다. 여기서 ‘처방적’이라는 말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바는 기술적 혹은 해석적 전통의 부재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우리의 한문과 교실 수업 현상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고 그대로 이해하려는 전통이 빈약하다.
둘째, 다양한 수업 연구 전통에 입각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수행된 연구조차도 연구가 갖추어야 할 엄격한 규준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
셋째,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는 교실수업 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참여자의 시각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많은 교실수업 연구들이 연구자의 맥락에서 수행되었으며 교실 사태를 만들어가는 교사나 학생의 시각을 드러내는데 실패하고 있다.
많은 교실수업 연구가 외부 연구자의 시각에서 수업 현상에 대한 처방을 내리는데 급급한 나머지, 그 수업이 수업 행위를 하는 교사에게 무엇을 의미하며 그 수업 상황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질문하지 않았다. 그래서 수많은 한문 수업 방안과 전략에 대한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실에 대한 이해는 초보적인 수준에 있다.
최근의 한문교육관련 박사학위 연구의 경향은 수업관찰을 바탕으로 하면서 교사와 학생의 소통 장소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한문 수업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구방법 면에 있어서도 질적 연구 방법이 사용되어 한문과 교실 수업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한문교육관련 연구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한문 교육에 대한 연구의 밑바탕이 되는 한문 수업의 실제에 관심이 더욱 높아지길 기대한다.
그리고 앞으로 한문과 교실수업에서 연구를 위해 유념해야 할 것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에서 타 학문과 간학문적 수업 연구의 필요성이다. 특히 타학문에서 사용하는 질적 연구 방법론들을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문 교과 현상’을 규명하는 교실수업 연구가 필요하다.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는 한문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 상황의 독특성을 관찰하여 그 의미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실 수업 연구가 실천과 관련하여 유용하고 가치 있기 위해서는 한문교사와 연구자간의 협력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한문교사가 연구자간에 연구 문제를 정하거나 연구 설계를 하고 자료를 사용할 때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하게 될 때 한문교육과 관련된 교실수업에 대한 연구가 진전될 것이다.
이제 한문과 교실수업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과거에 비하여 많이 발전하였고, 한문교육관련 학위 소지자도 과거에 비하여 많이 배출되는 상황이다. 조만간 한문과 교실 ...
Through this article, the present researcher mentioned the recent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lecture for the Chinese classics and presented the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published recently. In addition, the thre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the future researches in the classroom lecture for the Chinese classics.
Firstly, it is needed to research the classroom lecture of other disciplinary courses.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actively accept the qualitative study methods used in other disciplines.
Secondly, it is needed to study the classroom lecture which identifies the ‘course phenomenon of the Chinese classics’. The research on the classroom lecture of the Chinese classics should be able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situational uniqueness of the Chinese classics classroom lecture by observing it.
Thirdly,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Chinese classic teachers and the researcher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for the research on the classroom lecture to be effective and valuable in relation to practice. When the Chinese classic teachers are able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processes such as study topic, study design, and data collection on equality with the researchers, the research on the classroom lecture of the Chinese classics can make any meaningful progress.
Even though it has been told from the past that the research and the actual field in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are separated, the efforts to overcome such separation has not been properly reflected into the research reality. In addition, it is regretful to think that while the mass media has been raising the issue of ‘classroom breakdown’, how much effort we have been making to actually look into the classroom lecture of the Chinese classics.
Now,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classroom lecture of the Chinese classics has increased much more than the past and there are many emerging degree holders in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compared to the past. It is expected that ‘field study without field’will disappear in the educational research on the Chinese classics with the efforts of many teachers who are performing their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educational frontline fiel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05-19 | 통합 | KCI등재 | |
2022-04-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漢文敎育硏究 -> 漢文敎育論集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1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5-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Journal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
2015-04-0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8 | 0.763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