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오대~송대 탑 내 동경 봉안 사례와 양상 = The Cases and Patterns of Bronze Mirrors Enshrined in Pagodas during the Five Dynasties and the Song Dynasty
저자
최주연 (독립연구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47(2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Bronze mirrors found in pagodas were regarded as simple offerings and thu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studies. Furthermore, the few studies on bronze mirrors enshrined in pagodas have focused on the line-engraved mirrors found in the pagodas of the Kingdom of Wuyu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mirrors enshrined in the pagodas. This study assumes that the bronze mirrors found in many pagodas in the Kingdom of Wuyue and the Song dynasty were enshrined for a specific purpose. To explore this assumption and accurately understand the artifa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location and method of enshrinement.
The number of bronze mirrors enshrined in pagodas increased during the Kingdom of Wuyue, with the mirrors expressing statues and inscriptions related to Buddhism rather than being simple offerings. This shows that the purpose of the bronze mirror changed.
The influence of the Kingdom of Wuyue continued during the Song dynasty; however, the pattern of bronze mirror enshrinement changed due to the culture and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The most common types of enshrined bronze mirrors were plain, and bronze mirrors from the Dang dynasty were also used consistently. Plain bronze mirrors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this period despite the lingering influence of the Kingdom of Wuyue because it was less laborious to engrave images and inscriptions such as the inscription of Buddha. Additionally, bronze mirrors were valued during this period because of the attention toward the imitation of the archaic bronze(仿古銅器) of the Song dynasty and the influence of the emperor. Moreover, it is believed that bronze mirrors were enshrined in pagodas as offerings as they were deemed valuable at the time.
There was a change in the method of enshrining bronze mirrors in pagodas during the Kingdom of Wuyue and the Song dynasty. During this time, bronze mirrors that were positioned on the floor or in iron boxes were intentionally attached to walls or hung from the ceiling. This method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ttaching to walls or the ceiling(嵌入鏡) and hanging from the ceiling(懸鏡). A typical example of hanging a bronze mirror from the ceiling can be seen in the Jingzhisa Temple Pagoda, and Teng County’s Fushengsa Temple Pagoda contains an example of attaching a bronze mirror to the ceiling. The methods of hanging or attaching bronze mirrors to the ceiling were closely related to the methods employed in Chinese tombs. Song dynasty burial chambers had a high and wide structure, so to defend against evil spirits(辟邪用), bronze mirrors were used to protect the burial rooms. Bronze mirrors were, therefore, placed high to illuminate the burial room. This was achieved in the ways mentioned above. As underground chambers became wider and higher, mirrors also protected the important areas of the chambers and illuminated the interiors.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methods of enshrining bronze mirrors in the pagodas during the Kingdom of Wuyue and the Song dynasty arose from the method of enshrining bronze mirrors in tombs at the time. Thereafter, pagodas, such as the Miaojuesa Temple Pagoda, in which the placement of a bronze mirror was actively considered from the design stage were constructed.
탑에서 발견된 동경은 단순 공양품으로 여겨져 동경 연구에서도 크게 관심 받지 못했다. 그리고 탑
내
봉안 동경 연구는 오월국 탑에서 발견된 선각불상문경에 집중되어 있어, 탑
내
봉안 동경에 대한 전반적 특징을 알기 어려웠다. 그렇기에 본고는 오대~송대 시기 많은 탑들에서 발견된 동경이 목적을 갖고 봉안되었을 것으로 생각했으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봉안 위치와 방식에 중점을 두었다.오대 오월국시기에 탑 내 동경을 봉안하는 사례가 증가했고, 동경은 단순한 공양품이 아닌 목적을 갖고 불교와 관련된 도상이나 명문이 새겨져 있는 봉안품이었다. 이는 동경의 사용 목적이 변화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송대까지 영향을 끼친다.송대는 오월국의 영향이 꾸준히 이어지면서도 송대 문화와 사회 분위기로 인해 동경 봉안 양상도 변화한다. 봉안된 동경의 종류는 소문경이 다수를 차지하며, 당대 동경도 꾸준히 사용되었다. 소문경은 오월국의 영향으로 선각불상문과 같은 도상과 명문을 새기기 용이했기에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또한 당대 동경은 송대 방고동기에 대한 관심과 황제의 영향으로 인해 귀하게 여겨져 탑을 조성할 때 당경을 공양품으로 봉안한 것으로 추정된다.오대~송대 탑 내 동경 봉안은 그 방식에서 변화가 있었다. 당대 지궁 바닥이나 철함 내 놓아두던 동경은 의도적으로 벽에 붙이거나 천장에 매달아 놓았다. 이 방식을 크게 두가지로 구분하여 벽이나 천장에 감입하는 방식(감입경: 嵌入鏡)과 천장에 매달아 놓는 방식(현경: 懸鏡)으로 분류했다. 천장에 매달아 놓는 방식으로는 대표적으로 하북 정지사탑(靜志寺塔)이 있으며, 천장에 감입한 예로는 하남(河南) 복승사탑(福勝寺塔)이 있다. 이렇게 동경을 천장에 매달고 감입하는 방식은 중국 묘실과의 관련성이 높다. 송대 묘실은 넓고 높은 구조를 갖고 있어, 벽사용 동경을 이용해 묘실을 지키고자 했다. 그렇기에 높은 곳에 동경을 두어 묘실을 비추게 했으며, 이는 앞서 언급한 두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탑 역시 지궁이 넓고 높아짐에 따라 지궁의 중요한 부분을 지키고, 내부를 밝게 비추고자 했다. 따라서 오대~송대 탑 내 동경 봉안 방식은 당시 묘실에 동경을 봉안하던 방식을 차용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후 섬서(陝西) 묘각사탑(妙覺寺塔)과 같이 적극적으로 설계 때부터 감입을 고려하여 동경을 놓을 자리를 마련해 놓은 예도 등장하게 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