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제강점기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과 물리적 도시공간변화 연구 = A Study on Physical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by Gyeong-Seong Sewage Works in Japanese Colonial Er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98(6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서울역사도심의 도시공간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던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공사기록을 근대지도에 실증하여 가시화하고 살펴봄으로써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방향 및 방식이 갖는 의미와 변화특성을 확인하였다. 일제강점과 근대도시화라는 사회적 국면에 의해 시행된 경성 ‘하수개수’ 사업은 경성이 갖는 특수한 도시지리적 특성에 따른 도시구조적 한계로 일관되고 총체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경성은 일제하 다른 식민지에 비해 도시개조가 어려운 자연지리구조를 가졌다. 내사산과 연결되어 미세혈관처럼 형성된 도시 물길은 총체적인 도로개수 및 ‘하수개수’를 어려움에 빠뜨렸다. 총체적이고 일관된 도시개조를 요구하는 시대적 국면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도시구조아래 한정된 예산과 기술력의 한계는 공사시기의 지연과 함께 공사계획과 기간, 공사방식 등을 변화시켰다.
경성1기 ‘하수개수’ 공사(1918~1924)는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소규모로 시행되었다. 정치적 의도와 목적에 따라 공사위치가 결정되었고, 물길의 지리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사방식(개거와 암거방식)과 공사규모(공사구간)가 결정되었다. 경성1기 ‘하수개수’ 공사는 청계천 이남 총독부 부근과 일본인 상업지역을 우선으로 대부분 암거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성1기 후반에는 청계천 이북 북촌지역도 공사가 시행되었는데 경복궁과 창덕・창경궁 양 궁궐사이에 입지한 다수의 학교 및 교육시설에의 접근성, 전차노선 연장 등이 이유로 작용했다.
경성2기 ‘하수개수’ 공사(1925~1931)는 조선총독부가 이전한 경복궁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조선총독부 이전에 따라 경복궁 서측지역이 빠르게 시가화되고 이 지역에 흐르던 백운동천 물길의 개수가 강력하게 요구되었다. 경성2기 ‘하수개수’ 공사에서 백운동천은 경성 내 가장 크고 긴 물줄기임에도 불구하고 암거방식으로 공사가 시행되었다. 그 외에 총독부의원과 경성제국대학 등 동북부지역의 관립학교 건립을 중심으로 하는 흥덕동천의 개거공사, 경성운동장과 장충단공원을 중심으로 하는 남소문동천의 개거공사가 시행되었다. ‘하수개수’ 공사위치와 공사방식을 통해 일제강점 통치시설 중심의 힘과 권력이 실현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경성3기(1933~1936), 경성4기(1937~1943) ‘하수개수’ 공사는 모두 암거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성3기, 경성4기의 공사기록 한계로 1936년 근대지도 대경성부대관을 활용하여 도시공간 내 물길과 복개도로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경성3기 ‘하수개수’ 공사 직후인 1936년 경성은 청계천 본천을 비롯하여 백운동천 상류지역, 삼청동천, 흥덕동천 일부구간과 남소문동천 일부구간이 복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으며 이는 하천의 지리특성에 기초한다.
경성 도시지리구조의 특수성은 총체적 근대도시 공간개조의 대단한 걸림돌이었다. 하수로로 활용되었던 미세하고 촘촘하게 연결된 도시 물길은 복개되어 도로의 모습으로 변화하는데 오랜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근대도시의 더러운 하수도로만 치부되었던 도시 내 자연 하천은 경성 ‘하수개수’ 사업을 통해 개수되었고 현재 서울 역사도심의 도시공간구조 및 도로형태, 하수관거의 기틀이 되었다. 서울 역사도심 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에 일제강점기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이 있으며, 시행과 변화특성을...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and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of Gyeong-seong Sewage Works by reproducing construction records of Gyeong-seong Sewage Works, which brought about a big chang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downtown Seoul. The Gyeong-seong Sewage Works, implemented by the strength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social phase of modern urbanization, was partially carried out for a long time due to urban structural limitations according to special urba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seong. Gyeong-seong was in a situation where urban renovation was more difficult than other colonie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Due to the city's waterways connected like naturally formed microvascular systems, it was difficult to perform total road renovation and 'sewage renovation'. Despite the era of rapid and total urban renovation, the limited budget and technical limitations of the special urban structure base changed the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plan, and construction method.
The Gyeong-seong 1st period of Sewage Improvement Works (1918-1924) was implemented on a small scale, focusing on Japanese residences.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intention and purpose. The construction method (opening and reclamation method) and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section) we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way. Most construction of Gyeong-seong 1st Sewage Treatment Works were carried out in a dark way, focusing on the vicinity of the Governor-General south of Cheong-gye Stream and the Japanese commercial area. In the second half of the Gyeong-seong 1st period, construction was also carried out in the Bukchon area north of Cheong-gye Stream due to accessibility to a number of schools and educational facilities located between Gyeong-bok Palace and Chang-deok and Chang-gyeong Palace.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seong 2nd period of Sewerage Improvement Works (1925-1931) was carried out around the area near Gyeong-bok Palace, which was relocated by Governor-General of Joseon. With relocation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 the western part of Gyeong-bok Palace was quickly urbanized and the number of Baek-un-dong Stream flowing in this area was strongly demand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seong 2nd period of Sewage Improvement, Baek-un-dong Stream was carried out in an underground method, although it was the largest and longest water stream in Gyeong-seong. In addition, construction of Heung-deok-dong Stream centered on the construction of government schools in the northeast (such as the Governor-General's Council and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nd the construction of Nam-so-mun-dong Stream centered on Gyeong-seong Stadium and Jang-chung-dan Park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location and method of the “sewerage” construc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power centered on Japanese colonial governance facilities was realized.
The construction of Gyeong-seong 3rd period (1933-1936), Gyeong-seong 4th period (1937-1943), and Sewerage was all carried out with a dark method. Construction records of Gyeong-seong 3rd and Gyeong-seong 4th periods were simply recorded in the Gyeong-seong-bu Civil Engineering Project Overview,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extension of number (length), and construction cost. Due to limitations of records,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waterways and covered roads in urban spaces were identified using the modern map “Dae-gyeong-seong Bu-gwan” in 1936. In 1936, shortly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3rd Gyeongseong Sewage Works, it was confirmed that Gyeong-seong remained uncovered, including the main stream of Cheong-gye Stream, the upstream area of Baek-un-dong Stream, Sam-cheong-dong Stream, Heung-deok-dong Stream, and some sections of Nam-so-mun-dong Stream. Since then, the main stream of Cheong-gye Stream was covered in the 1970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1.726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