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진왜란 시기 김천지역의 전황과 조선군의 대응 = The Warfare in Kimch’ŏn during the Imjin Warof 1592 and the Response of the Korean Forcesto the Japanese Invasion
저자
김성우 (대구한의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77(27쪽)
제공처
1592년 여름 일본군과 조선군 사이에 가장 뜨거운 공방전이 벌어진 곳은 경상 우도였다. 이 시기 이 지역은 전라도를 침공하려는 일본 제6군과 여기에 맞선 곽재우ㆍ정인홍ㆍ김면 부대 간의 공방전으로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 일본군은 의령의 기강 도하 작전에서 곽재우 부대의 저항에 부딪혔고, 김산ㆍ지례에서 무주로 진격하는 과정에서 김면 부대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쳤다. 7월 초순 전라도 무주와 금산, 그리고 경상도 지례 등 세 곳에서 동시다발로 전개되었던 일본군의 여름 대공세는 전라도와 경상도의 의병 및 관군의 강력한 저항에 막혀 무산되었다.
1592년 가을 이후 전세는 점차 조선군 측으로 기울어 갔다. 조선군은 일본 제7군의 양대 거점인 개령과 성주 수복에 전력을 집중했지만, 일본군의 대응도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양측은 일본군이 철군을 단행했던 1593년 2월 중순까지 김산ㆍ개령과 성주 지역을 중심으로 강대강으로 대치했다. 1592년 여름 일본군의 대공세와 그해 가을ㆍ겨울 조선군의 반격, 그리고 일본군의 대응이 지루하게 지속되면서, 오늘날 김천지역은 임진왜란 역사상 가장 격렬했던 전장이자 피해가 가장 집중되었던 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It was in the right Kyŏngsang Province that the Korean forces were engaged in the most fierce battle with the Japanese in summer of 1592. During that time, tensions peaked as the Japanese 6th Army, which tried to advance to Chŏlla Province, clashed with the army under the command of Kwak Chae-u, Chŏng In-hong, and Kim Myŏn. The Japanese encountered strong resistance from Kwak’s forces during their operation to cross the Kigang River, branch of the Nakdong River in Uiryŏng, and faced further fierce offensive from Kim's forces as they advanced toward Muju through Kimsan and Chirye Prefectures. The Japanese simultaneous offensives in three locations - Muju and Kŭmsan in Chŏlla Province, and Chirye in Kyŏngsang Province - in early July, were thwarted by the strong resistance of Korean militias and government troops in both provinces.
Since the fall of 1592, the tide of war gradually turned in favor of the Korean forces. The Korean army focused its efforts on recapturing Kaeryŏng and Sŏngju, the two strongholds of the Japanese 7th Army, though the Japanese put up a tough defense. Both sides continued a fierce standoff centered around Kimsan, Kaeryŏng, and Sŏngju until mid-February 1593, when the Japanese began their withdrawal. The Japanese offensive in the summer of 1592, the Korean army's counterattack in the fall and winter of that year, and the Japanese army's tedious response left the Kimch’ŏn area as one of the fiercest battlegrounds in the history of the Imjin War which suffered from the war the mos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