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에서 이혼법의 변화 - 한중일 비교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7-154(3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에서는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에서 나타난 이혼법의 변화를 일본과 중국,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검토하였다. 근세 동아시아에서 이혼은 남편이 아내를 버리는 행위를 의미했고, 남편은 아내가 동의하지 않더라도 이혼을 강행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여성은 이혼 제기 자체가 어려웠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의 이혼관행이 변화를 맞게 된 것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근대적 이혼법이 도입되면서부터였다.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문명사회로 거듭나고자 했던 한·중·일의 개명 엘리트들은 유교 규범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가족개혁을 통해 문명국가로 나아갈 동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들은 강제결혼을 비판하고 연애와 결혼, 이혼의 자유를 주장하였다. 동아시아 삼국 중 근대적 이혼법이 가장 먼저 도입된 국가는 일본이었다. 일본에서는 일련의 입법 활동 끝에 1898년 〈일본 민법〉이 제정되었고 여성의 이혼청구권이 법적으로 승인되었다. 그러나 일본의 이혼법은 아내의 간통만을 이혼원인으로 삼는 등 성차별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보수적인 색채를 띠었다. 그에 비해 중국에서는 반식민지 상태에서 가속화된 국민당과 공산당의 체제 경쟁 속에서 여성들의 권리가 강화된 이혼법이 제정되었다. 특히 1931년 〈중화소비에트공화국혼인조례〉는 이혼에서 당사자의 의사를 중시하는 가장 급진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혼한 여성에 대한 보호 조항을 삽입함으로써 여성의 권리를 적극 옹호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 이혼법은 일본 민법이 의용되었지만, 일본에서 보다 더 보수적으로 해석 적용되었다. 일제는 조선의 낮은 ‘민도’와 ‘관습’을 고려한다는 미명하에 이러한 보수적이고 성차별적인 법 해석을 정당화했다. 요컨대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삼국의 이혼법 변경 과정을 비교해 봄으로써, 서구 근대를 모방하고자 하였으나 가족의 영역에서는 일본적인 것을 지키고자 했던 일본적 근대가 얼마나 보수적이고 완고한 것인지, 그리고 그 완고한 일본법에 더하여 식민지적 차별이 덧씌워진 조선에서 근대적 변화가 얼마나 제한된 가능성 위에서 펼쳐져 갔던 것인지를 조망할 수 있다.
더보기This paper compares the cases of Japanese, Chinese, and colonial Korean divorce law during the East Asian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East Asia of the early modern period, divorce meant that a husband abandoned his wife and could force a divorce even if she did not agree.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for women to file a divorce. This divorce practice changed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divorce law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elites of these three countries, who sought to modernize their nations to stave off the threat of imperialist invasion, conducted family reform and criticized Confucian norms. As a result, forced marriage was criticized, and the freedom to love, marry, and divorce were advocated. Japan was the first country to adopt modern divorce law of the three. After a series of legislative activities, the government of Japan enacted a civil law in 1898 that legally granted women the right to divorce. Japanese divorce law, however, was conservative and sexist, recognizing adultery committed by the only wife as the reason for divorce. In China, divorce legislation was enacted that defended women"s rights during strife between the Nationalist and Communist parties. In particular, the 1931 Ordinance of the Marriage of the Soviet Republic of China not only contained the most radical content emphasizing the will of the parties in divorce, but it also actively defended women"s rights by inserting protection provisions for divorced women. In colonial Korea, divorce law was applied via Japanese civil law, but the same legal provision was interpreted more conservatively in the colony than in Japan. The civilization gap between Japan and colonial Korea that was created by the terms “the standards of the people”(mindo) and “custom” justified this conservative and sexist interpretation of the law. In short, by comparing the divorce laws of these three countries, we can understand the level of conservatism of Japanese modernity, which tried to imitate Western modernity. Japan attempted to maintain the norms of the Japanese family and limited modern changes in colonial Korea, which experienced discrimin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