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The Meaning of Post-Labor and the Value of a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Age of Intelligent Autom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23(13쪽)
제공처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meaning of post-labor and the valu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intelligent automation, where the value of human labor and knowledge is changing.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nature of Automatic Society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French technology philosophers Simondon and Stiegler. Based on this, the article reveals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a new life ‘ars’ in the post-labor society that will com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imondon's technical mentality and technical culture reveal a new model of post-labor existence that enables people to organize their work and public activities alongside AI, rather than in competition with it. Stiegler embodies Simondon's outlook by calling for a transformation of the crisis of labor and spirit caused by the algorithmic governmentality of Automatic Society into an opportunity for the invention of new kind of knowledge and work. The era of intelligent automation shifts the paradigm of life from labor productivity and expertise to post-labor and liberal arts. We need to cultivate life ‘ars’ so that the time freed from labor due to automation can be used to take care of our own lives and the lives of others, inherit our cultural traditions, and produce new values.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fostering digital literacy with a humanistic outlook in order for us to understand the human condition of living in an automated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o discover the value of the human spirit and the meaning of human life.
더보기이 글은 인간의 노동과 지식의 가치가 달라지는 지능 자동화 시대에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에 대해 논증한다. 특히 프랑스 기술철학자 시몽동과 스티글러의 관점에서 디지털 정보기술에 기반한 자동화 사회의 본질과 인간다운 삶의 조건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인공지능과 더불어 도래하게 될 탈-노동 사회의 새로운 삶의 기예로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시몽동의 기술정신과기술문화는 인공지능과 경쟁하는 노동이 아니라 인공지능과 더불어 자신의 일과 공적 활동을 꾸려갈 수 있게 하는 탈-노동의 새로운 존재 양식을 보여준다. 스티글러는 자동화 사회의 알고리즘 통치성에 의한 노동과 정신의 위기를 새로운 지식과 일의 발명 기회로 전환할 것을 촉구하며 시몽동의 전망을 구체화한다. 지능 자동화 시대는 노동 생산성과 전문성 중심에서 탈-노동과 자유교양 중심으로 삶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다. 자동화로 인해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시간을 나 자신과 타인의 삶을 돌보며 문화적 유산의 상속과 새로운 가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삶의 기예를 키워야 한다. 교양교육은 자동화 기술 환경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인간의 조건을 이해하고 인간 정신의 가치와 인간다운 삶의 의미를 새롭게 발굴할 수 있도록 인문학적 안목을 갖춘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