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팔공산 권역의 임진왜란 전황 연구 시론 = The Study of the Righteous Army Activity in the MT. Palgong Zon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40(3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rt the point of an argument with a key word as MT. Palgong(八公山), which is known to be a safe haven of Daegu local residents during Imjinwaeran, and to be a critical defense strongpoint in Gyeongsang Jwa-do Province.
The MT. Palgong was a crucial position where 2 invasion routes pass out of 3 penetration paths during Imjinwaeran. However, its research outcome was slight compared to this military significance.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military significance, which is possessed by the MT.
Palgong, and into the righteous army activity in the MT. Palgong zone, with naming it 'MT. Palgong zone as for Daegubu(Haean, Chilgok, Habin) and Hayang, Shinnyeong, Bugye that are the adjacent districts centering on MT. Palgong. Arranging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The military significance that MT. Palgong has during Imjinwaeran was confirmed to have played a role of a safe haven in war refugees, and to have functioned as the second government office in a local governor.
Also, it was identified to have been utilized as the base of righteous army activity in terms of the Righteous Army, and to have been used as an important defense strongpoint as for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MT. Palgong during Jeongyujaeran, and even as a storage place of the provisions and military supplies. Examining the righteous army activity in the MT. Palgong zone, it was progressed focusing on a small-scale battle rather than a large-scale combat. The period is concentrated on the early part of Imjinwaeran.
The reason is because of having prepared already for a disaster through a vast public meeting from before Imjinwaeran broke out. In addition, the battle in Daegu area(Haean, Chilgok and Habin) was oriented by confucian scholars(儒林) in Daegu centering on Yeongyeong Seowon. The righteous army activity in the area of Shinnyeong, Hayang and Bugye was initiated by righteous army's leader focusing on Gwon Eung-su. During the Peace Overtures, the patriotic soldiers in the MT. Palgong zone repaired the Gongsan Mountain Fortress, and took the lead in the termination of war through displaying all fighting power at the combat of the Gongsan Mountain Fortress.
본 연구는 임진왜란 당시 대구 지역민들의 피난처이자, 경상좌도의 중요한 방어거점인 八公山을 주제어로 하여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팔공산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3개의 침입로 중 2개 침입로가 지나는 중요한 장소임에도 그 연구 성과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는 팔공산을 중심으로 인접한 지역인 대구부(해안, 칠곡, 하빈)와 하양, 신녕, 부계를 ‘팔공산 권역’이라 명명하고, 팔공산이 지닌 군사적 의의와 팔공산 권역에서의 전황을 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진왜란 당시 팔공산이 지지는 군사적 의의는 전재민에게 안전한 피란처의 역할을, 지방관에게는 제2의 관아로서의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병들에게 있어서는 의병활동의 거점으로써 활용되었고, 정유재란 당시에도 팔공산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민들에게 중요한 방어 거점이자, 군량 및 군수품의 저장처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팔공산 권역의 전황을 살펴보면, 대규모 전투보다는 소규모 전투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그 시기는 임진왜란 초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것은 임진왜란 이전부터 지역유림들이 회합을 통해 전란을 미리 대비했기 때문이다. 또한 대구지역(해안, 칠곡, 하빈)전투는 연경서원을 중심으로 하는 대구유림들이 그 중심에 있었고, 신녕·하양·부계 지역은 관군 출신인 권응수를 중심으로 지역 의병장들이 가세하였음을 살펴보았다. 강화교섭기에는 팔공산 권역의 대다수 의병장들이 팔공산에 있는 공산산성을 보수하였고, 정유재란기에는 지역의병장들이 모두 합심하여 공산산성 전투에 참전하고 종전을 유도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3-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KCI등재 |
2015-03-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8 | 0.18 | 0.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0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