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광개토왕릉비문」 ‘辛卯年 條’ 연구사 고찰 - 기존 연구 내용과 釋文들의 分類를 중심으로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88(3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廣開土王陵碑文」에 명기된 ‘辛卯年 條’記事는 당시 高句麗·百濟·新羅·倭 사이의 관계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일부 判讀不能 字와 나름대로의 ‘구절나누기’를 통해 釋文과 해석이 학자들마다 다르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바이다. 물론 저마다 해석들이 ‘推斷’한 것에 불과한 것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倭 중심과 高句麗 중심’으로 그 의미가 나눠진다. 이는 日本·中國 학자들의 견해는 전자에 속하며, 南·北韓 학자들의 의견은 후자에 속하는 경우가 대다수 라 하겠다. 먼저 倭 중심적인 해석이라 하면, 倭의 行爲를 나타내는 것을 신묘년 조의 기본 내용으로 보는 것이며 이는 전적으로 記事 자체의 문법적인 면만을 고려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과 관련지으려 했던 것이다. 이는 『日本書紀』 神功紀에 보이는 ‘三韓征伐’을 倭 중심의 신묘년 조 해석과 연관시키려 한 점을 그 예로 들 수 있겠다. 高句麗 중심의 해석은 『三國史記』에 수록된 내용들을 근거로 신묘년 조를 분석하려는 경향에서 시작됐다. 이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구절나누기’와 ‘비문변조설’을 적절히 활용한 결과이기도 했다. 특히 記事에 등장하지 않는 高句麗를 의미상주어로 여기거나 태왕을 나타내는 ‘王’을 ‘海’字 대신하여 비정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기도 했다. 또한 永樂 6년에 단행된 ‘百濟討伐’과 관련해서도 신묘년조를 前置文으로 보며, 태왕이 그러한 토벌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으로 이를 해석하고자 했다.
더보기‘Shinmyo year Jo’Gisa(‘辛卯年 條’記事) specified on 「the rubbing of the inscription on the of Gwanggaeto the Great(廣開土王陵碑文)」 tells us the relation among Goguryeo(高句麗), Baekje(百濟), Silla(新羅) and Wae(倭). However, it is usual to say that the seokmoon(釋文) and interpretation of undecipherable letters through ‘dividing phrase’ are different among scholars. Even though, of course, the interpretations are inference(推斷), These are generally divided into ‘interpretations of the basis of Wae and Goguryeo’. The most view of scholars of Japan and China belongs to former and The most view of scholars of South and North Korea belongs to latter. First,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asis of Wae, actions(行爲) of Wae were regarded as a basic content of ‘shinmyo year Jo’ and it completely considered a grammatical side of Gisa. Also, it contextualized historical fact. it is a example that ‘Samhanjeongbeol(三韓征伐)’ in 『Nihon Shoki(日本書紀)』 Shingonggi(神功紀) was connect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shinmyo year Jo which was the basis of Wae. Secondly, the interpretation of the basis of Goguryeo started at tendency to investigate shinmyo year Jo with the contents in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 It was a result making use of a new method of ‘dividing phrase’ and ‘falsification of epigraph’. Especially, There were some processes that Goguryeo not to appear in Gisa was considered as sense subject and a letter of Hae(海) was thought as Wang(王) which menas supreme king. Also, regarding to ‘Baekjetobeol(百濟討伐)’ in Younglak 6 years, shinmyo year Jo was considered as Jeonchimoon(前置文) and it was interpreted as it had been unavoidable for supreme king to carry on subjugat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9 | 0.686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