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식민주의를 돌파하는 이주의 경험 -백석과 윤동주의 경우- = Experience of Immigration Breaking Through Colonialism - Case of Baekseok and Yoon Dongju -
저자
오문석 (조선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7-325(1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만주를 경유하는 문학사에서 이주의 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문제이다. 만주를 경유할 때, 조선와 일본의 관계는 혼돈에 빠지게 된다. 예컨대, 조선을 향해서 동일성을 강요할 때, 만주의 존재는 민족들 사이의 차이를 인정하게 만든다. 만주의 존재는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의 작동을 모순에 빠뜨리는 것이다. 백석과 윤동주는 그 혼돈의 경험을 잘 보여준다. 백석의 만주 이주는 조선에서 분리되어, 스스로 타자가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것은 고향으로 가는 통로의 차단을 배경으로 한다. 그것은 자기 자신으로 되돌아올 수 없는 경험이기도 하다. 이러한 경험을 그는 ‘쓸쓸함’이라 표현하고 있다. 쓸쓸함의 경험은 낯선 문화에 대한 이질감을 표현하되, 숭배와 비난의 방식을 취하지 않는다. 동일성을 중심으로 위계질서를 세우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윤동주는 만주에서 태어났지만 만주를 타향으로 간주하게 된다. 스스로 이주민의 정체성을 부여받은 것이다. 그 이후 그의 정체성은 만주, 조선, 일본 어디에도 정착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그의 정체성은 끊임없이 연기되는 형식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형식은 식민주의가 강요하는 정체성을 무기력하게 만들 수 있다. 이는 비단 식민주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주의 문학은 정주민 중심의 문학사에서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였다.
더보기In literary history passing through Manchuria, the issue of migration is not negligible. When passing through Manchuria,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Japan becomes chaotic. For example, when forcing identity toward Chosun, the existence of Manchuria causes the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ople. The existence of Manchuria contradicts the colonial ideology. Baekseok and Yun Dong-ju well demonstrated their experience of chaos. Baekseok's migration to Manchuria is distinct from Chosun’s experiences of becoming another person by himself. This is set by obstructing the passage to his hometown. Furthermore, it is an experience that cannot be returned to himself. He describes this experience as “lone.”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expresses a sense of heterogeneity toward unfamiliar cultures but does not assume the form of worship and criticism. This is because a hierarchical order is not established around identity. Meanwhile, Yun Dong-ju was born in Manchuria but considers Manchuria a foreign country. He was assigned the identity of a migrant. Since then, his identity has not settled in Manchuria, Chosun, or Japan. His identity assumes the form of continuous postponement. This form can render the identity enforced by colonialists lethargic and is not limited to colonialism. Literature pertaining to migration has not been evaluated comprehensively in the history of settler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