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K Zombie drama 서사의 공간사회학적 연구 -〈지금 우리 학교는〉을 중심으로- = Spatial sociological study of Korean zombie drama narrative - Focusing on 〈All of Us are Dead〉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7-170(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영상 문학에서 공간은 감독이나 작가가 특별히 선택하여 프레임 안으로 불러들인 곳으로 작가의 세계관을 표상한다. 2020년을 기점으로 공개된 한국의 좀비 서사 드라마들은 우리의 일상 공간에 밀착되어 있다. 좀비라고 하는 존재 역시 낯선 타자가 아니라 내 옆에 있던 소중한 존재로 그 되어가는 과정을 지켜볼 수밖에 없게 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지금 우리 학교는>은 학교를 배경으로 하여 주목된다. 오늘날 우리 학교는 공간을 운용하는 선생님들과 실제로 그 공간을 전유하는 아이들이 그를 지각하고 인식하는 감각이 달라 재현된 공간이 모순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행복하고 안전해야 할 학교를 지옥으로 만들어 아이들을 좀비로 변하게 만들어 버렸다. 게다가 학생 개개인의 욕구는 무시한 채 규율을 통해 질서를 확립하고, 감시와 통제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작동시켜 아이들이 자신의 일상적 시ㆍ공간을 전유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소외시켜 버렸다. 다행히 <지금 우리 학교는>의 등장인물들은 좀비라고 하는 존재가 만들어낸 균열을 통해 공간이 지닌 모순을 깨닫고, 이를 차이를 생산하는 실천으로 타계해 새로운 공간으로 창조해낸다. 미국의 좀비 서사물이 ‘생존’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나타나는 인간성에 초점화되어 있는데 반해 한국의 좀비 서사 드라마가 도덕적 규범의 위기에 초점화되어 있다고 할 때 이와 같은 공간적 실천이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는 크다.
더보기In media literature, a space is a place specifically selected by the director or writer to be brought into the frame. This represents the author’s worldview. Korean zombie epic dramas released in 2020 are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lives. Moreover, the zombies do not appear new. A precious person next to me becomes a zombie. In particular, <All of Us are Dead> receives significant attention because it is set in a school. Today, in our school, teachers who manage space and those who actually use space perceive and recognize different senses. Thus, the reproduced space exhibits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thereby transforming happy and safe schools into the opposite. Additionally, this space transforms children into zombies. Moreover, order is established through discipline while each student’s needs is disregarded. The space operates a system that enables surveillance and control, thereby alienating the children by not allowing them to adjust their daily time and space. However, the characters in <All of Us are Dead> realize the contradictions of space through cracks created by beings known as zombies. Through this practice of creating differences, a new space is creat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